1 / 13

무선 인터넷 기술

무선 인터넷 기술. 2006. 5. 12. 정보통신공학과 최성식. 무선 인터넷 접속 표준기술. WAP(Wireless Applicatoin Protocol) 해외 : 폰닷컴 , 에릭슨 , 모토로라 , Nokia,AT&T, 벨사우스 , IBM 국내 : SK 텔레콤 , LG 텔레콤 Markup Language : WML ME(Microsoft 의 Mobile Explorer) 해외 : MS + 퀄컴 => 와이어리스날리지 국내 : KTF Markup Language : MHTML W3C

layne
Download Presentation

무선 인터넷 기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무선 인터넷 기술 2006. 5. 12 정보통신공학과 최성식

  2. 무선 인터넷 접속 표준기술 • WAP(Wireless Applicatoin Protocol) • 해외 : 폰닷컴, 에릭슨, 모토로라, Nokia,AT&T,벨사우스, IBM • 국내 : SK텔레콤, LG텔레콤 • Markup Language : WML • ME(Microsoft의 Mobile Explorer) • 해외 : MS + 퀄컴 => 와이어리스날리지 • 국내 : KTF • Markup Language : MHTML • W3C • 해외 : MIT, INRIA, 게이오대학 등 300개 업체/학계 • 국내 : 없음 • Markup Language : CHTML

  3. 국내 통신사 Markeup언어

  4. mHTML • m-HTML(mobile HTML)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하여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언어 • 국내에서는 KTF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방식 • KTF 개발자 페이지 - http://kun.magicn.com/ • WAP기반의 WML이 자체적인 문법을 가지고 있다면 m-HTML은 HTML에 기반을 둔 언어 • 즉, 웹의 HTML을 모바일 환경에 맞도록 만든 언어 • m-HTML은 기존의 HTML을 알고 있으면 매우 배우기 쉽다 • m-HTML은 WAP과 같은 모바일 전용 프로토콜이 아닌 기존의 http방식과 호환이 되므로 웹서버에서 WML MIME 타입 설정과 같은 따로 해야 할 설정이 없다

  5. 모바일 플랫폼의 종류 • 지원 언어 기준 • Java: KVM, SKVM • C, C++ : 퀄컴의 BREW, SKT의 GVM , 신지 소프트, KTF의 MAP • Java, C, C++ : WIPI • 사용 방법 기준 • Interpreter (VM) 방법 : KVM, SKVM, GVM • Binary (Native) 방법 : MAP, Brew, WIPI

  6. 무선 단말 플랫폼

  7. 국내 무선 인터넷 플랫폼 • 자바 언어와 비 자바 언어(C, C++)로 구분 • 플래폼 채택사 비교 • SKT : GVM, XVM, Wi-Top • KTF : BREW, MAP • LGT : JavaStation(KittyHawk) • 무선 인터넷 표준 플랫폼 (WIPI) –이통 3사 채택

  8. MAP • 특징 • 느린 속도와 그래픽 사운드 등 한정된 표현의 웹브라우저 게임의 한계를 극복 •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등 어떤 형태의 컨텐츠 운영 가능 • 단말기 고유의 소프트웨어와 밀착된 형태로 상대적으로 빠른 연산 속도 •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의 빠른 구동을 위해 자체적으로 이미지,사운드 컨버터 지원

  9. Brew • 특징 • CDMA 칩을 사용하는 전 세계 어디서나 통용 장점 • 콘텐츠 개발 용이 • GpsOne을 이용한 GPS 서비스, 블루투스 연동, CMS 멀티미디어 기능, 소켓 통신(빌컴 적용 해야함) 파일 시스템을 이용한 영속적인 저장 기능 • 사운드 플레이어, 맵 뷰어, 게임, PIMS, E-mail 등을 위한 여러 가지 API 제공 • MIF(Module Information Format)를 통해 퀄컴의 협력 업체로 등록된 개발업체 만 모듈을 개발해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 • 자바 실행 환경 제공 • 퀄컴의 CDMA시장에서의 독점과 종속적인 구도 심화 우려

  10. GVM • 특징 • Mini C로 구성 • 적은 메모리/CPU사용 - 높은 통화품질 • 다양한 application 개발 용이 • TCP/IP에 직접 연결 - Browser에 관계없이 서비스 제공 • Midi 사운드 지원

  11. SK-VM • XCE(SK의 사내 벤처)에서 개발 • 로열티의 부담이 없이 사용 가능 • SUN의 표준 CLDC/MIDP 스펙과 호환되는 VM 환경을 독자적으로 구현 • 2001.8 서비스 시작 • 실행할 수 있는 콘텐츠 크기, 실행 메모리, 성능면에서 우수 • 멀티스레드 프로그램에서 강점 • 네트워크 기능이 강함

  12. 무선 인터넷 표준 플랫폼 (WIPI) • 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 다양한 Platform의 문제점 해결 • 정보 통신부 110억원 정부 예산 투입 ( 70, 40억) • 2001년 5월 시작 • 이동통신 단말기용 응용 프로그램 실행 환경을 표준화한 규격 • 정통부, 한국 무선 인터넷 표준화 포럼 (KWISF), 한국 전자 통신 연구원 (ETRI),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 이동 통신 3사 참여 • 분야 • 무선 인터넷 플랫폼 • SDK 등 서비스 개발환경 • 어플리케이션, 플랫폼 인증 도구, COD •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 2002.5 TTA 단체표준 TTAS.KO-06.0036(모바일 표준 플랫폼 규격) 채택

  13. 다양한 플랫폼으로 인한 복잡한 서비스 형태 SK Telecom KTF LG TeleCom GVM SK-VM MAP BREW CLDC/MIDP Content Provider Content Provider Content Provider Handset Vendor Handset Vendor Handset Vendor       KWISF를 통해 이통 3사 요구 사항을 만족 하는 표준 플랫폼 개발 SK Telecom / SK IMT KTF / KTiCOM LG TeleCom WIPI Implementation1 , WIPI Implementation2 ,    WIPI Implementationn Content Provider Content Provider Content Provider Handset Vendor Handset Vendor Handset Vendor       • 표준화 배경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