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셀프 세차장 운영 상태 개선 최종 발표

Simulation Term Project #2. 셀프 세차장 운영 상태 개선 최종 발표. 200727172 장민혜 200727193 탁정아 200727199 황은진. Index. 프로젝트 소개 현재 운영상태 대안 & 최종 목표 수행내역 데이터 정리 및 분석 현재 모델 시뮬레이션 개선 모델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및 결론 도출 개선 전 - 후 모델 비용 비교 개선 전 - 후 모델 수익 비교 총 수익 비교를 통한 결론 도출. 횡단보도. 현재 운영 상태 모형. 외부 세척기.

Download Presentation

셀프 세차장 운영 상태 개선 최종 발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Simulation Term Project #2 셀프 세차장 운영 상태 개선 최종 발표 200727172 장민혜 200727193 탁정아 200727199 황은진

  2. Index • 프로젝트 소개 • 현재 운영상태 • 대안 & 최종 목표 • 수행내역 • 데이터 정리 및 분석 • 현재 모델 시뮬레이션 • 개선 모델 시뮬레이션 • 결과 분석 및 결론 도출 • 개선 전 - 후 모델 비용 비교 • 개선 전 - 후 모델 수익 비교 • 총 수익 비교를 통한 결론 도출

  3. 횡단보도 현재 운영 상태 모형 외부 세척기 진공 청소기 출입구 외부세차 인도 내부세차 관리실 빈 공간 관리인숙소 공터 고장

  4. 현재 운영 상태 • 관리자 1명, 직원 1명 • 직원의 역할 : 고장 시 수리 • 운영 시간 06 : 00 ~ 24:00 • 대기 발생 시간대 (주말) • 오전 08:00 ~ 10:00 / 오후 06:00 ~ 08:00 • * 가정 사항 - 관찰시간 : 토, 일요일 • 06:00~08:00,  16:00~18:00 (Peak Time) • 기계 사용비용은 시간에 대해 일정(물가 고려 X) • 고장 수리 비는 각 기계 마다 일정 • (외부 세차 기계 7만원, 내부 세차 기계 3만원) • 외부세차 사용 지불액은 2000원(관측 평균값) • 내부세차 고객 중에서 기계 사용 고객 36.3% • (관측 값 비율) • - 고객의 유형 분류를 한정 • (1) 도착 → 내부 → 외부 → 종료 • (2) 도착 → 외부 → 내부 → 종료 • (3) 도착 → 내부 → 종료 • (4) 도착 → 종료

  5. 대안제시 낮은 내부 세차 회전율 사용자 인터뷰 관리자 인터뷰 점유 시간에 비용을 부과 - 내부 세차공간의 사용 시작시간부터 시간 측정 - 30분 당 500원의 비용 적용 → 회전율 증가 * 고객 인터뷰를 통한 주관적 만족도 조사 대안 제시 직원의 행동 유도 - 기계사용 순서 및 요령 안내 → 고장빈도 & 대기시간 감소 - 도착 ,이동 고객 대기공간 안내 → 대기시간 감소 * 직원고용 비용과 이익증가율 비교

  6. 최종 목표 점유공간 비용 부가와 직원의 행동 유도를 따른 총 이익 증가 총 이익 = 운영수익 - 운영 비용 운영 수익 = 기계사용 지불액 + 공간점유 지불액 운영 비용 = 기계 운영 비용 + 직원 월급 + 스탑워치 비용+ 고장 수리 비용 (초기 투자 비용) 스탑워치 개 당 3,200원 자원 투자 비용 = (내부 공간 개수) 8개 * 3,200원 = 25,600 원 아르바이트 시급 3,800원 인력 투자 비용 = (한 달 근무 시간)4주 * 16시간 * 3,800원 = 486,400원

  7. 2 3 현재 모델링

  8. 현재 모델링 (continue…) <중심적인 Logic process>

  9. 현재 모델링 (continue…) <Internal wash> <external wash>

  10. 검증 360 Hours 524,533원 차이 돌아나가는 차량이 관찰 당시 거의 발생하지 않았음 (No Service = 0.04%)

  11. 최적 내부 공간 수(OptQuest) 최적 내부 공간 수 8 개but, 민감도 분석(시뮬) →9개 최적 기계 대수 최적 기계대수는 현재 기계 대수로 유지 기계비용(3,800만원)>> 기계 대 수 증가로 인한 수익 → 기계 감소 고려 but, 내부공간 수 변화 없으므로 현상 유지

  12. 개선 모델링 (continue…)

  13. 개선 모델링 (continue…)

  14. 개선 모델링

  15. 결과값(애니메이션) 개선 전 개선 후(직원 + 점유) 외부세차 차량 수 / 수익 내부세차 차량 수 / 수익 서비스 못 받은 차량 한달 총 수익

  16. 결과값정리 • 외부세차고객은 평균 2000원을 사용 • 내부세차고객의 36.3%가 청소기 이용

  17. 최종 평가 수익(revenue) 현재 기계 사용 수익 개선 기계 사용 수익 외부세차 수익 + 내부세차 수익 = 3268.1*2000 + 5722.3*500*0.363 = 6536200 + 1038597 =7,574,797원 외부세차 수익 + 내부세차 수익 = 3890.5*2000 + 4158.3*500*0.363 = 7781000 + 754731 = 8,535,731 원 960,934 원증가(12.7%) 현재 Avg.공간점유 수익 개선 Avg.공간점유 수익 현재 없는 시스템 = 0원 총사용 시간 * 차 대수 = 1,479,500 원 1,479,500증가

  18. 최종 평가 비용(cost) 현재 고장 수리 비용 개선 고장 수리 비용 빈도 * 평균 수리비 기계고장 = 0.38*7만원 = 26,600 원 진공청소기고장 = 0.32*3만원 = 9,600 원 총 고장 수리 비용= 36,200원 빈도 * 평균 수리비 기계고장 = 0.28*7만원 = 19,600 원 진공청소기고장 = 0.22*3만원 = 6,600원 총 고장 수리 비용 = 26,200원 10,000 원 감소 대안 제시 전 투자 비용 대안 제시 투자 비용 직원 월급 = 0원 스탑워치 비용 = 0원 직원 월급 = 486,400 원 스탑워치 비용 = 25,600 원 512,000증가

  19. 최종 평가 이익(benefit) 개선 시스템 수익 = 8,535,731 + 1,479,500 = 10,015,261원 비용 486,400 + 25,600 + 26,200 = 538,200 원 이익= 9,477,031원 현재 시스템 수익 7,574,797원 + 0 =7,574,797원 비용 0 + 0+ 36,200 = 36,200 원 이익= 7,538,597 원 1,938,434 원증가

  20. 제안한 대안 효과 확인 실제 총 이익(benefit) = 총 이익 – 기계 관리비 = 1,938,434 원 - a (기계수익 > a) 효과 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