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1

02. 환경 분석과 전략

02. 환경 분석과 전략. II. 비즈니스 기획과 프레젠테이션. 1. 현황 파악. 현황 파악의 필요성. 기획 현황 파악 → 문제 도출 → 원인 규명 → 처방 기획의 배경 현황을 압축한 내용 기획의 필요성 상태와 상황을 통해 제기. 정보 VS 지식. 현황파악에 가장 필요 상황 파악에 도움. 정보. 기획자의 지식은 현황파악에 가장 편리한 도구 판단에 도움. 지식. 1. 정보 수집. 정보 대상의 움직임을 동료 , 상사 , 의사 결정자에게 알리는 활동 정보의 생명 적시성 정확성

lida
Download Presentation

02. 환경 분석과 전략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02. 환경 분석과 전략 II. 비즈니스 기획과 프레젠테이션

  2. 1. 현황 파악

  3. 현황 파악의 필요성 • 기획 • 현황 파악 → 문제 도출 → 원인 규명 → 처방 • 기획의 배경 • 현황을 압축한 내용 • 기획의 필요성 • 상태와 상황을 통해 제기

  4. 정보 VS 지식 • 현황파악에 가장 필요 • 상황 파악에 도움 • 정보 • 기획자의 지식은 현황파악에 가장 편리한 도구 • 판단에 도움 • 지식

  5. 1. 정보 수집 • 정보 • 대상의 움직임을 동료, 상사, 의사 결정자에게 알리는 활동 • 정보의 생명 • 적시성 • 정확성 • 가장 설득력 있는 정보 • 통계화된 조사 데이터

  6. 가. 기획의 정보원 • 기초정보 • 기획의 바탕이 되는 정보 • 신문, 잡지, 도서, 인터넷, 평소 수집 정보 • 보강정보 • 기획의 근거가 되는 정보 • 취재, 관찰, 통계 데이터, 전문자료 • 보조 정보 • 기획의 설득력을 높이는 간접 정보

  7. 나. 정보의 속성 • 주체성 • 사람에 따라 의미와 가치가 다르다 • 목적성 • 의미와 가치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다 • 환경성 •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8. 다. 정보의 체계 • 데이터 • 사실들의 일정한 흐름이나 규칙적인 패턴을 정리한 것 • 정보 • 데이터들 중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이나나에게 필요한 범용적인 것들

  9. 2차 정보Intelligence • 지식Knowledge • 1차 정보Information • 데이터 • Data • 사실 • Fact

  10. 라. 정보와 지식 • 기획을 위한 지식 • 사실이 지닌 의미를 찾아내고 새로운 가치로의 전환을 추진할 수 있는 힘 • 기획자의 지식 수준 • 대안의 수준을 결정함

  11. 정보와 지식의 속성

  12. 마. 정보관리 사이클 • 수집 • 활용 • 정보 • 마인드 • 분석 • 판단

  13. 2. 논리적 분석 • 정보가 지닌 가치나 의미를 판단 • 목표 달성, 과제 해결에 활용 여부 결정

  14. 가. 분류의 개념 • 전체와 부분의 관계 파악 • 요소의 경중 판단 • 중복, 누락 없을 것 MECE

  15. MECE(미씨) • 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 상호 배타적이며 모였을 때 완전히 전체를 이루는 것 • 정보수집, 분석, 아이디어 창조 등 문제해결 각 단계에서 누락과 중복 없이 검토를 수행하는 것

  16. MECE No MECE A A B C B 전체 : 전략의 주체 A : company(회사) B : competitor(경쟁사) C : customer(고객) 전체 : 생물 A : 포유류 B : 어류

  17. MECE 사례

  18. SWOT 분석

  19. 나. 논리적 분석 • 분류된 현황에서 숨겨진 원인과 결과, 그 연결고리, 대책과 과제를 찾아내는 것 • 로직트리(Logic tree) • 주요과제를 MECE 사고에 기초해상위 개념을 하위 개념으로논리적으로 분해하는 기술

  20. LogicTree 과제1 • 근본적 원인1 • 원인 A • 주요과제 • 근본적 원인2 과제2 • 원인 B

  21. A상품의 판매 이익 개선이 가능한가? • 고정 비용 절감이 가능한가? • 비용 절감이 가능한가? • 변동 비용 절감이 가능한가? • A상품의 판매이익 개선이 가능한가? •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한가? • 판매량 확대가 가능한가? • 시장 점유율을 올리는 것이 가능한가?

  22. 로직 트리(Logic Tree) 주의사항 • 전체 과제를 명확히 해야 한다. • 분해해 가는 가지의 수준을 맞춰야 한다. • 원인이 중복되거나 누락되지 않고 각각의 합이 전체를 포함해야 한다.

  23. 3. 문제 유형과 기획 • 문제의 판단 기준 → 기획의 컨셉트, 기획의 구조에 영향을 줌 • 제조, 판매, 자금, 인사, 경리, 기술의 문제 • 과거, 현재, 미래 문제 • 논리적 문제, 창의적 문제 • 당면 문제와 숨어있는 문제까지 해결 요구됨

  24. 원인 지향 목표 지향 과거 현재 미래 발생형 문제 -이탈 문제 -미달 문제 탐색형 문제 -개선 문제 -강화 문제 설정형 문제 -개발 문제 -달성 문제

  25. 가. 발생형 문제 • 당장 해결해야 할 문제 • 문제의 원인이 내재 → 원인지향문제 • 기준 일탈 문제 • 기준 미달 문제

  26. 나. 탐색형 문제 • 현재 상황의 개선과효율 향상의 문제 • 잠재 문제 – 숨어있는 문제 •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찾음 • 예측 문제 – 발생할 수 있는 문제 • 현 상황을 예측방법으로 미래 문제 탐색 • 발견 문제 • 문제 없는 현재 상황을 (벤치 마킹을 통해) 개선, 향상 시킬 수 있는 문제

  27. 다. 설정형 문제 • 장래의 경영 전략의 문제 • 미래 지향적 새로운 과제, 목표를 설정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 → 목표지향 문제 • 무경험 → 창조적인 노력이 요구됨

  28. 2. 대책 개발을 위한 전략 전략은 조직의 방향을 설정하고, 조직이 중시하는 가치를 결정하며, 분명한 방향 의식을 부여한다.

  29. 1. 전략 수립의 기본 원칙 • 전략은 선택에서 시작된다. • 기회비용 최소화할명확한 선택 기준 • 실행에 집중함으로써 효과를 발휘한다. • 목표를 향한 전략활동 집중 전개 • 경영자원 투입 → 피드백 • 진정한 차별화는 Only One(남과 다름)을만드는 것이다. • 고객 대상 전략 전개 →고객이 인정

  30. 2. 전략 수립 과정 SWOT분석 과제도출 외부환경 비전 설정 (과제/목표) 일반환경 산업환경 과제도출 전략평가 전략수립 일반과제 중요과제 핵심과제 목적성 적합성 집중성 선택과 집중 차별과 혁신 내부능력 경영자원 조직능력 피드백

  31. SWOT 분석

  32. 3. 전략을 위한 창의력 개발 • 현대 전략 • 남(과거, 경쟁사)과 차별화 • 고객의 욕구를 자극 • 새로운 가치를 제공 • 현대 전략의 원천 → 창의력

  33. 가. 창의력의 개념 • 경험과 지식을 해체하고 결합하여 가치 있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힘 • 새로운 것을 탄생시키는 과정 • 새롭고 신기한 것을 만드는 것 • 새롭고 유익한 착상의 실행

  34. 창의력 방해물 • 나만의 틀 • 고정관념 • 편견 • 선입관

  35. 나. 창의력 구성요소 • 유창성 • fluency • 독창성 • originality • 자원결합 • 가치발견 • 유연성 • flexibility • 민감성 • sensitivity

  36. 유창성 • 다양한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가 • 주어진 주제를 대처하는 능력 • 말의 유창성 • 연상의 유창성 • 표현의 유창성

  37. 유연성 • 주어진 주제를 활용하는 능력

  38. 독창성 • 창의적 아이디어 • 브레인스토밍기법 • 질보다 양 • 비판, 평가 엄금 • 자유분방 : 어떤 내용이든 • 무임승차 : 타인의 아이디어에 편승하여 자기 아이디어를 내라.

  39. 민감성 • 높은 감수성 • 문제를 찾아내고 대안 고민이 시작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