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

Linux/UNIX Programming 통신 및 압축 명령어 최미정 강원대학교 컴퓨터과학전공

Linux/UNIX Programming 통신 및 압축 명령어 최미정 강원대학교 컴퓨터과학전공. PING. 통신 및 압축 명령어. 원격지 컴퓨터의 상태 (accessible 여부 ) 를 확인 $ ping host-name // alive or dead check $ ping –s host-name // packet 송수신 확인. TELNET (1/4). 통신 및 압축 명령어.

lieu
Download Presentation

Linux/UNIX Programming 통신 및 압축 명령어 최미정 강원대학교 컴퓨터과학전공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Linux/UNIX Programming 통신 및 압축 명령어 최미정 강원대학교 컴퓨터과학전공

  2. PING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원격지 컴퓨터의 상태(accessible 여부)를 확인$ ping host-name // alive or dead check$ ping –s host-name // packet 송수신 확인

  3. TELNET (1/4)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telnet”은 원격지에 있는 상대방 컴퓨터에 자신의 컴퓨터를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가 마치 원격지 컴퓨터의 터미널인 것처럼 동작하게 해주는 서비스임 • 이 기능을 이용하면 멀리 있는 컴퓨터를 사용자는 자기자신의 컴퓨터처럼 이용 할 수 있음 • 상대방 컴퓨터에 telnet을 이용하여 접속하려면 상대방 컴퓨터에 사용자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단, 공개된 호스트가 있어서 사용자 등록이 안된 사용자도 telnet접속을 허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4. TELNET (2/4)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사용법 $ telnet domain_name (or IP_address) $ telnet // telnet mode로 진입 telnet> open domain_name (or IP_address) telnet> help // telnet 명령어의 사용법 출력 telnet> quit( 원격지 컴퓨터와 접속을 끊고 telnet프로그램을 종료) telnet> close( 원격지 컴퓨터와 접속을 끊고 telnet프로그램은 종료하지 않음)

  5. TELNET (3/4) 통신 및 압축 명령어

  6. TELNET (4/4) 통신 및 압축 명령어

  7. FTP (1/7)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네트워크(인터넷) 상의 컴퓨터끼리 서로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 FTP는 주로 대용량의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기 위하여 자주 사용됨 (파일 송수신 속도가 비교적 빠른 프로토콜임) • FTP 서버: 대용량의 Hard Disk에 ftp를 위한 자료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컴퓨터로서, telnet과 마찬가지로 접속하려는 상대방 컴퓨터에 등록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알아야 함(단, 상대방 컴퓨터에 정식으로 등록되지 않아도 누구나 접속할 수 있는 ftp 서버가 있음  anonymous ftp)

  8. FTP (2/7)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사용법 $ ftp IP_Address(or Domain Name) ftp> quit // ftp 종료 ftp> ?(or help) // ftp 명령어의 목록을 보여줌 ftp> ! // ftp를 잠시 중단하고 UNIX shell을 시작함 $ 명령어 수행 // UNIX shell 명령어를 실행 $ exit // 다시 ftp 로 복귀 ftp> close // 원격지 호스트의 접속을 끊고 ftp에는 그대로 있음 ftp> user user_name// FTP Login 과정에서 잘못하여 “ftp>” Prompt로 빠진 경우, ftp 상태를 빠져나가지 않고 다시 로그인 할 수 있음

  9. FTP (3/7)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사용법 (계속) ftp> cd directory// 지정한 디렉토리로 이동 ftp> cdup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ftp> dir // 긴 디렉토리의 목록을 보여줌 ftp> ls // 짧은 디렉토리의 목록을 보여줌 ftp> pwd // 현재 디렉토리의 이름을 표시 ftp> lcd directory// 디렉토리의 이동(자신의(local) 컴퓨터에서) ftp> get file// 지정한 파일 하나를 가져옴 ftp> mget files// 여러 화일을 가져 옴 (wild card 사용도 가능)

  10. FTP (4/7)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사용법 (계속) ftp> put file// 지정한 파일 하나를 전송 ftp> mput files// 여러 화일을 전송 (wild card 사용도 가능) ftp> ascii // 전송 모드를 ascii mode로 (텍스트 파일 전송 시, 기본 설정) ftp> bin // 전송 모드를 binary mode로 (실행 파일 전송 시) ftp> prompt // mget이나 mput 전송 시 프롬프트 on/off

  11. FTP (5/7) 통신 및 압축 명령어

  12. FTP (6/7) 통신 및 압축 명령어

  13. FTP (7/7) 통신 및 압축 명령어

  14. 기타 원격지 컴퓨터 명령어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rlogin: Remote Login의 줄임 말로 telnet과 동일한 기능임$ rlogin hostname [–l loginname] • rsh: Remote Shell의 줄임 말로 원격지 컴퓨터의 명령어를 실행시킴$ rsh hostname command // login/passwd가 같은 경우에 유용

  15. 파일 압축 및 복원 (1/11)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UNIX 상에서 큰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파일을 압축하여 보관 및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파일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압축 해제) 할 수 있음 • 파일 압축에 따른 파일 확장자의 종류 • .tar • .Z • .gz or .z • .tar.gz or .tar.z

  16. 파일 압축 및 복원 (2/11)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tar • 이 명령어는 정확하게 얘기하면 압축 프로그램이 아니고, 단순히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어주는 프로그램임 • 유닉스 기반의 압축 프로그램들은 도스와 달리 여러 개의 파일을 한번에 묶어서 압축해 주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일단 tar를 사용하여 여러 파일을 묶은 후에 압축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함 • 압축: $ tar –cvf target.tar files // wild card 사용 가능 • 복원: $ tar –xvf target.tar • 목록 확인: $ tar –tvf target.tar • c  create, v  verbose, x  extract, …

  17. 파일 압축 및 복원 (3/11)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tar 사용 예제

  18. 파일 압축 및 복원 (4/11)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compress/uncompress • 압축 프로그램 : $ compress files • 복원 프로그램 : $ uncompress files • 유닉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압축프로그램으로 널리 사용 • 확장명이 대문자 Z임에 주의 ( 소문자 z인 경우에는 gzip을 사용한 것임)

  19. 파일 압축 및 복원 (5/11)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compress/uncompress 사용 예제

  20. 파일 압축 및 복원 (6/11)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gzip • 압축: $ gzip files • 복원: $ gzip –d files • 도스용 ZIP 프로그램과 비슷한 방법으로 압축하게 되어 있어서 압축률과 속도면에서 우수함 • 압축된 파일의 확장자는 “.z”나 “.gz”임

  21. 파일 압축 및 복원 (7/11)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gzip 사용 예제

  22. 파일 압축 및 복원 (8/11)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tar + compress (확장자: .tar.Z) • 파일 생성(tar  compress): 먼저 tar로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은 후, 이 파일을 compress를 사용해서 압축함 • 파일 복원(uncompress  tar): 먼저 uncompress를 사용해서 압축을 해제한 후, tar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파일을 풀어냄 • 다음과 같이 하면 간략하게 한번에 처리 할 수 있음 • 압축: $ tar cvf – files | compress -c > target.tar.Z • 복원: $ zcat target.tar.Z | tar xvf – • zcat은 “.Z”을 압축을 풀지 않고 내용을 확인(압축 파일을 풀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tar.Z 를 풀 때 아주 유용(-: standard input의 의미)

  23. 파일 압축 및 복원 (9/11)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tar + compress 사용 예제

  24. 파일 압축 및 복원 (10/11)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tar + gzip (확장자: .tar.gz or .tar.z) • 파일 생성(tar  gzip): 먼저 tar로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은 후, 이 파일을 gzip을 사용해서 압축함 • 파일 복원(gzip -d  tar): 먼저 gzip을 사용해서 압축을 해제한 후, tar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파일을 풀어냄 • 다음과 같이 하면 간략하게 한번에 처리 할 수 있음 • 압축: $ tar cvf – files | gzip > target.tar.gz • 복원: $ gzip -cd target.tar.gz | tar xvf –

  25. 파일 압축 및 복원 (11/11) 통신 및 압축 명령어 • tar + gzip 사용 예제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