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5

Section 1-3 고정 Fixation

Section 1-3 고정 Fixation. 고정 (Fixation). 정의 고정은 단백질을 안정화시켜 그 후 발생할 수 있는 변화에 저항할 수 있도록 조직을 변화시킨다 . 이 변화는 화학적 ( 고정액 ) 또는 물리적 방법 ( 열 , 건조 , 동결 ) 으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을 변성 (denaturation) 이라 한다 .

lorie
Download Presentation

Section 1-3 고정 Fixation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Section 1-3 고정 Fixation

  2. 고정 (Fixation) • 정의 • 고정은 단백질을 안정화시켜 그 후 발생할 수 있는 변화에 저항할 수 있도록 조직을 변화시킨다. 이 변화는 화학적(고정액) 또는 물리적 방법(열, 건조, 동결)으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을 변성(denaturation)이라 한다. • 절취된 조직을 물리,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조직의 변화와, 증명하려는 구성성분의 유실이나 존재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표본 제작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인위적으로 변형시키는 과정을 고정(fixation)

  3. 고정 (Fixation) • 고정의 5대 목적 • ⅰ) 보존효과 (preservation : autolysis (자가융해)의방지 - 가수분해 효소를 불활성화) • ⅱ) 치사작용 (killing : 살해, 세포의 기능을 정지), • ⅲ) 침투작용 (penetration : 조직 내부로의 고정액 확산), • ⅳ) 경화작용 (hardening : 유동성인 원형질의 반고체화, sol → gel) • ⅴ) 매염작용 (mordanting action : 염색단계에서 염색을 잘 되게 하는 작용) 이다.

  4. 고정제의 종류 • 응고형 고정제 • 세포내 단백질 분자의 기(group)가 서로 결합하고 엉겨 붙어 단백질 응고 (coagulation)가 일어나는 고정액으로서 조직내 가는 섬유상의 단백질을 그물 형태로 변화시키고, 박절하기에 적당한 경도를 주며, paraffin이 조직내로 쉽게 침투

  5. 고정제의 종류 • 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Mercuric chloride (승홍, 염화 제2수은,HgCl2) • 유독성 및 금속 부식성의 백색 결정체 • 장점 : 매우 강한 단백질의 고정과 매염작용으로 인한 염색성의 증가 • 단점 : 세포를 심하게 위축시키고, 침투가 느리지만 오랜 시간 고정 시 조직이 상당히 경화되는 작용이 있어 비교적 작은 조직편의 고정에 사용 • 승홍이 포함된 복합고정액은 Zenker’s, Helly, Maximow, Heidenhain susa, Schaudinn solution 등

  6. 고정제의 종류 • 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Mercuric chloride (승홍, 염화 제2수은,HgCl2) • 승홍으로 고정한 조직표본은 수은성의 침전물 즉 금속성 수은 또는 감홍(HgCl)으로 된 결정상 작은 흑색과립이 나타나는데 이는 염색 전에 Lugol's iodine과 5% sodium thiosulfate 과정을 거쳐 제거 Mercuric pigment

  7. 고정제의 종류 • 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Picric acid (피크린산) • 고정제와 염색에 모두 사용되는 유일한 물질 • Nucleoprotein을 매우 강하게 응고시키지만 DNA는 가수분해시키는 강한 산성물질 • DNA and RNA를 염색할 때는 picric acid 가 첨가된 고정액은 피하라. • 조직의 침투가 느리며, 세포를 심하게 위축시키기 때문에 단독 고정액으로 사용하지 않고 보통 다른 고정제(formalin, acetic acid, mercuric chloride 등)와 혼합하여 사용

  8. 고정제의 종류 • 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Picric acid (피크린산) • 피그린산이 포함된 고정액은 Boϋin, Rossmann, Gendre, Duboscque-Brazil solution 등 • 고정된 조직은 황색을 띠어 염색을 방해 → lithium carbonate를 70% alcohol에 포화시킨 용액으로 처리

  9. 고정제의 종류 • 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Chromium trioxide (무수크롬산, CrO3) • 적갈색의 결정물로 강한 단백질 응고작용 • 조직에 침투되는 성질이 느리고, 고정 후 수세를 8~12시간 충분히 해야 제거 • 수세가 불충분하여 조직내에 CrO3가 남게 되면, chromium tetroxide가 alcohol과 반응하여 녹색의 불용성인 chromium oxide로 변화되어 조직과정에 영향

  10. 고정제의 종류 • 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Ethanol (ethylalcohol) • water-soluble 조직의 구성요소 (glycogen, urate crystal)의 보존에 이용 • fat을 용해시키며, 조직을 overhardness와수축 • 고정기전은 조직 내 유리수 또는 결합수의 분자가 ethanol에 의해 치환되어 조직이 탈수 • 단백질이 응고되고 조직의 침투가 빠르지만 alcohol의 농도에 비례하여 조직의 경화 및 위축이 심하게 발생 • Alcohol에 고정하면 고정과 동시에 탈수되기 때문에 탈수과정이 필요없다.

  11. 고정제의 종류 • 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Aceton (CH3COCH3) • enzyme 특히 효소 (acid and alkaline phosphatase)를 조직학적으로 증명할 때 사용 • 고정은 냉장온도 (cold aceton (0~4℃))에서 빨리 고정하여야 하며 동시에 탈수도 이루어지므로 총 고정과 조직처리 시간은 많이 감소 • 매우 빠른 고정 작용을 보이나 심하게 shrinkage, distortion, overhardening에 주의

  12. 고정제의 종류 • 비응고형 고정제 (가교형 고정제) • 유리된 단백구조에 그 분자 내 결합을 나타낸 기가 표면에 표출하여, 그것들의 기와 고정액 사이에 화학반응이 일어나 거대한 망상분자 덩어리가 되어 단백질을 변성시켜 고정시키는 것으로, 단백질이 가수분해되어 peptide 결합이 분해되어 고정 • 가는 그물형태의 조직단백질 구조에 변화가 적어 세포의 미세구조 관찰에 적합

  13. 고정제의 종류 • 비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Formalin (formaldehyde, HCHO) • 100% formalin은 무색의 formaldehyde gas 37~40%가 물에 녹아있는 상태 (10% formalin or 3.7% to 4% formaldehyde) • 고정반응의 주요부위는 protein chains에 연결되어 methylene bridges를 형성한 amino acids의 side chains 에 있는 amino group

  14. 고정제의 종류 • 비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Formalin (formaldehyde, HCHO) • Lipids는 formaldehyde에 의해 보존되며, 탄수화물을 고정하지는 못하나 조직에 glycogen(당원)이 많이 존재할 때 proteins을 안정화하고(stabilizes) 고정 • 빛에 의해서 formaldehyde로부터 포름산(formic acid)이 발생할 수 있어서 미세구조의 보존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전자현미경검사에는 부적당 • 공기중의 산소(O2)에 의해 formic acid 로 산화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산화방지제를 첨가

  15. 고정제의 종류 • 비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Formalin (formaldehyde, HCHO) • 포름산(HCOOH)은 혈액이 풍부한 조직 내에 포함된 적혈구가 용혈되어 나온 혈색소(hemoglobin)와 결합하여 갈색의 산헤마틴(acid hematin)이란 과립(artifact)을 생성하는데 이를 포르말린 색소 (formalin pigment)라 한다.

  16. 고정제의 종류 • 비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Formalin (formaldehyde, HCHO) • 산성화된 포르말린의 산화방지제로 lithium carbonate(탄산리튬), sodium carbonate (탄산나트륨), calc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 등이 있으나 근원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10% 인산완충액 (neutral buffered formalin:NBF)을 제조하여 사용 • 살균력이 있어 방부제로도 이용되며 값이 싸고 조직 내 침투력이 강하며 고정이 양호하여 조직병리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는 고정액 • 조직침투력은 실온에서 1시간에 약 1mm 정도이며, 가온 및 진탕 시는 고정이 촉진

  17. 고정제의 종류 • 비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Potassium dichromate (중크롬산칼륨) • 크롬친화성조직, 골지체, 유사분열상, 적혈구 등의 보존에 우수 • 단점 : 조직의 침투가 느리고 멜라닌 색소가 표백되고, glycogen이 잘 보존되지 않아 단독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복합고정액의 한 성분으로 첨가 • 중크롬산칼륨이 포함된 고정액으로는 Müller, Regaud, Orth solution

  18. 고정제의 종류 • 비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Acetic acid(CH3COOH) • 주요 작용은 nucleoprotein의 precipitation과 preservation에 있다 – nuclei을 고정하는 능력이 있으므로 많은 고정에서 첨가하여 사용 • 세포구성 성분을 팽창시켜 단독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조직을 위축시키는 성질이 있는 picric acid나 mercuric chloride와 혼합하여 사용 • mitochondria와 Golgi body는 파괴

  19. 고정제의 종류 • 비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Osmium tetroxide (OSO4) • Lipids의 보존에 잘 되므로 Osmium은 paraffin processing 동안에 조직에서 지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fat의 small amounts를 검출하는데 사용 • 복합지질, 지방 등을 잘 고정하며 이 물질에 산화되면 검은색으로 나타난다. • 주로 세포의 미세구조 혹은 세포 포함물과 같은 매우 작은 미세구조를 관찰하는데 효과가 있어서 glutaldehyde와 함께 전자현미경을 위한 후 고정액 (2차 고정액, postfixative) 으로 주로 사용

  20. 고정제의 종류 • 비응고형 고정제의 종류 • Glutaraldehyde • molecule의 각 끝부분에 하나의 aldehyde group 이 붙어있는 dialdehyde 인 점이 formaldehyde 와의 차이 • penetrates slowly and pooly • 전자현미경을 위한 고정에 주로 이용되며, 그것은 다른 aldehydes 보다 미세구조의보존에 좋기 때문 • periodic acid- Schiff (PAS) stain과 같은 Schiff reagent를이용하는 염색에는 glutaraldehyde-fixed은 false-positive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용하여서는 안된다.

  21. 복합 고정액 • Formalin계 고정액 •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고정액이며, 가장 중요한 작용은 단백질분자의 amino group 사이에 methylene bridge를 형성하는 중합 작용으로, 단백질이 gel 상태로 변한다. • 고정 후 6~12시간 이내로 수세하면 이 결합은 다시 원래대로 전환 • 장점 • 값이 싸며 제조하기가 쉽고 비교적 안정하며 (완충액의 상태), 대부분의 염색에 특별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치 않아 가장 널리 사용된다. • formalin에 고정된 조직은 동결절편의 제작이 쉬우며, 지방이나 효소의 보존에 우수

  22. 복합 고정액 • Formalin계 고정액 • 단점 • 취급 시 피부에 자주 접촉하면 피부염을 일으키고 증발된 기체는 강한 자극성 냄새가 난다. • 혈액이 많이 함유된 조직을 산성화된 formalin 용액에 고정하면 acid formaldehyde hematein의 형성으로 갈색의 인공색소가 침착되며 이중굴절을 나타낸다. • 종류 • 10% 인산염 완충 중성 formalin (NBF : Neutral Buffered Formalin) • 10% Formol-saline 용액 • Formol-alcohol 용액 • Paraformaldehyde 용액

  23. 복합 고정액 • Alcohol계 고정액 • Absoluteethanol은 당원(glycogen)의 보존에 사용되며, absolutemethanol은 세포도말 표본이나 날인표본에 사용 • 장점 • 신속한 고정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RNA나 당원(glycogen) 등을 30분~2시간 이내에 탈수 및 고정 • 단점 • 적혈구가 용해되며, 너무 오래 고정하면 조직이 심하게 위축된다. 지질이 용해되므로 항산성 간균이나 수초(myelin)의 증명에 사용할 수 없다.

  24. 복합 고정액 • Alcohol계 고정액 • 종류 • Carnoy’s solution : Absolute alcohol + Chloroform + Glacial acetic acid • ⇒ 적혈구를 용해시킨다. • ⇒ 빠른 고정작용, 당원의 보존과 핵의 보존에 • 좋다. • ⇒ not be prolonged beyond 4 hours

  25. 복합 고정액 • Picric acid계 고정액 • 조직을 수축시키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세포를 팽창시키는 glacial acetic acid의 첨가로 조직의 균형을 주어야 한다. • 장점 • 당원의 증명에 좋으며, 조직에 신속히 침투 • 특히 Masson's trichrome, Mallory's PTAH 등의 염색에 우수 • 단점 • 적혈구를 용해 • DNA의 증명에 사용되는 Feulgen 반응에는 핵단백질이 가수분해되기 때문에 절대 금물

  26. 복합 고정액 • Picric acid계 고정액 • 종류 • Boüin solution : Picric acid 포화 수용액 + 40% formalin + Glacial acetic acid • ⇒ picric acid는 조직을 수축시키기 때문에 • 조직을 팽창시키는 acetic acid 와 함께 사용 • ⇒ acetic acid 로 인해 적혈구는 용해 • ⇒ excellent for trichrome stain • Dubosque-Brazil (D.B) solution : 80% ethanol + 40% Formalin + Picric acid • ⇒ 신장의 침생검의 고정에 우수

  27. 복합 고정액 • Mercuric chloride (HgCl2)계 고정액 • 중금속 고정제 중 가장 많이 사용 • Mercuric ion은 주로 단백질의 carboxyl group과 결합 • 장점 • 경색 또는 울혈이 발생한 조직 및 비장과 같이 혈액이 풍부한 조직의 고정에 우수 • 단점 • 금속을 부식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금속제 기구의 사용을 금한다. • 조직이 심하게 위축되므로 대부분의 빙초산을 첨가 • 동결절편의 제작이 어려우며, 고정후의 조직에 흑색 침전물이 침착

  28. 복합 고정액 • Mercuric chloride (HgCl2)계 고정액 • 종류 • Zenker solution • Potassium dichromate + Sodiun sulfate + Mercuric chloride + D.W. • 사용 직전 Zenker 원액 95ml에 빙초산 5ml를 첨가하여 사용 • 고정 후에는 반드시 mercury pigment를 처리 • acetic acid로 인해 erythrocytes를 lysis

  29. 복합 고정액 • Mercuric chloride (HgCl2)계 고정액 • 종류 • Helly solution • Zenker 원액 + Formalin 37~40% • erythrocytes를 잘 보존하지만 Zenker solution은 acetic acid 가 있어 nuclear fixative는 더 좋다. • 고정 후에는 반드시 mercury pigment를 처리 • Heidenhain 'Susa" solution • B-5 용액 • Maximow sol, Schaudinn sol

  30. 복합 고정액 • 중크롬산(dichromate)계 고정액 • 수용액내에서 Cr-O-Cr 복합체로 전환 • 부신수질(adrena medulla)의 chromatin granule을 증명할 때 필히 사용 • 장점 • 크롬친화성 조직, 사립체, 골지체, 적혈구의 보존에 우수 • 단점 • 당원의 보존이 나쁘며, 산화작용 때문에 PAS 반응의 강도가 저하 • 오래 고정하면 멜라닌 색소가 산화에 의해 표백

  31. 복합 고정액 • 중크롬산(dichromate)계 고정액 • 종류 • Müller solution • Regaud solution • Orth’s solution • potassium dichromate를 함유하고 있는 고정액은 고정 후에 반드시 수세하여야 하고, 고정 시간은 조절되어야 하며, 수세 후에 wet tissue 는 70% to 80% alcohol에 보관

  32. 복합 고정액 • Osmiun계 고정액 • Osmic acid는 주로 전자현미경 검사의 후 고정액 (post-fixative)으로 사용 • 불포화지질과 결합하여 지질이 지용제에 녹지 않게 된다. • 장점 • 전자 현미경 검사를 위한 조직의 고정 및 지질의 고정에 우수 • 단점 • 값이 비싸며 침투가 느리고 조직을 검게 착색하므로 대조염색을 하기가 어렵다.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환기장치가 잘된 장소에서 취급

  33. 복합 고정액 • Osmiun계 고정액 • 종류 • Flemming solution • 2% Osmium tetroxide + 1% Chromium trioxide + Glacial acetic acid • 12~24시간 고정하고 물에 수세한 다음 80% alcohol에 보관 • Champy solution • Altman solution

  34. 특수 고정액 • Electron-microscopy fixative • 전고정제로서 2% glutaldehyde (pH 7.2~7.4), 후고정제로 서 1~2% Osmium tetroxide 용액 • 박물표본을 위한 고정액 • Kaiserling solution • 방법은 Kaiserling Ⅰ고정에 1~5일간 고정하고 Ⅱ액에 1~6시간 두어 원래의 조직의 색을 재현시킨 후 Ⅲ액으로 옮기면 영구히 마르지도 않고 변하지도 않는다(본래의 색 유지). • 전시용 박물표본(museum preparation)을 제작하여 영구보존 해야 할 경우

  35. 고정의 형태 • 화학적 고정 • 침수고정 (immersion fixation, 담금고정) • 고정액에 조직을 침수시켜 단백질을 변성 • 대부분의 조직은 이 방법에 의해 고정 • 관류고정(perfusion fixation) • 고정액의 침투속도가 느린 경우 고안 • 조직괴 내부도 균일하게 고정을 유도 • 특수한 장기, 뇌, 폐, 췌장 등은 관류고정 • 자주 사용되는 관류고정액으로는 4% glutaraldehyde 인산염 완충액 • 관류 시간은 생체나 그 국소부위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5~20분이 적당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