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3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1 학년 10 반 2 번 김경민.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목차. 대체에너지. 현황. 계획. 우리나라의 대체 에너지 각국의 대체 에너지. 각 에너지의 설명 , 규모 경제성 , 발전용량.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021657. 블랙아웃 공포 확산 … 신재생에너지로 녹색불 밝힌다. 2012.08.28.

Download Presentation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1학년10반2번 김경민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2. 목차 대체에너지 현황 계획 우리나라의 대체 에너지 각국의 대체 에너지 각 에너지의 설명, 규모 경제성, 발전용량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3.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021657 블랙아웃 공포 확산… 신재생에너지로 녹색불 밝힌다 2012.08.28 …에너지 소비량은 늘면서 신재생에너지에서 해답을 찾으려는 노력도 심화되고 있다. 국내 전력부족의 현실은 어느 정도인지부터 신재생에너지 기술 개발은 어디까지 와있는지, 주목받는 최근 신재생에너지 연구를 들여다보고 전력난의 해법도 찾아본다. …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신재생에너지에서 답을 찾으려는 연구자들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모든 에너지 소비를 100% 대체하고 마음껏 에너지를 쓰겠다는 꿈은 버려야 한다고 말한다. 현재 국내 에너지 소비량 중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3%대에 불과하다. 이같이 저조한 신재생 에너지 보급률을 오는 2030년, 11%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신재생에너지의 범주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태양열이나 풍력, 지열 발전 등은 물론 기존에 이미 활용하고 있는 수력도 포함한다. 또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저급한 석탄의 품질을 고급화하는 기술 등 생각보다 넓은 범위를 의미한다.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태양열부터 풍력, 폐기물이나 축산부산물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매스량까지 담은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RES-MAP'을 제작했다. 이 지도를 보면 국내에서는 다소 어렵다는 전망을 받았던 태양열이나 풍력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이용도 가능할 것으로 짐작된다. 현황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4. http://www.segye.com/Articles/NEWS/INTERNATIONAL/Article.asp?aid=20120318020929&subctg1=&subctg2=http://www.segye.com/Articles/NEWS/INTERNATIONAL/Article.asp?aid=20120318020929&subctg1=&subctg2= [세계는 지금] 각국 대체에너지 개발 현황 2012.03.18 일본 원전사고 이후 각국에서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 가능한 대체에너지 개발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독일은 지난해 전체 전력의 20%가량을 재생에너지에서 얻었다. 독일 전역에는 100만개에 달하는 태양광발전소가 있으며, 특히 시민들이 참여한 재생에너지 발전소가 많다는 점이 주목된다.…일본 역시 개발 규제를 완화하며 대체에너지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태양광과 풍력, 지열 등 일본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1%가 채 안 되지만 2020년까지 20%로 높인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일본의 ‘재생가능 에너지매입법’은 올 7월부터 민간회사가 만든 전력의 전량을 20년 동안 발전회사가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기업 중심으로 대체에너지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2009년 경기부양을 추진하면서 재생에너지 투자에 대해 세금을 깎아 주기로 했기 때문이다. 세계 최대 인터넷 검색엔진 업체 구글은 전기가 많이 드는 서버 구동을 위해 올해 재생에너지 중 가장 경제성이 뛰어난 풍력발전 투자를 더욱 늘린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구글의 전기 소모량 중 30% 정도가 풍력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 충당됐다. 구글은 지난해까지 재생 가능한 에너지에 9억1700만달러(약 1조300억원)를 투자했으며, 이 가운데 6억2200만달러를 태양광발전에 투입했다. 또 지난해 로스앤젤레스 인근 풍력단지인 알타윈드에너지센터와 모하비사막 풍력단지에 1억5700만달러를 투자했다. 또 오리건주 알링턴 근처에 있는 풍력단지 건설엔 1억달러를 투입했는데, 이 단지가 완공되면 세계 최대 풍력발전단지가 된다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5. 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1208/h20120801210438112020.htm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1208/h20120801210438112020.htm 에너지 확보의 패러다임을 바꿀 때가 됐다 2012.08.01 … 해양에너지는 대표적인 대체에너지다. 온실 가스나 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생산이 가능하고, 자원이 고갈될 염려 또한 없다. 초기 개발 비용이 높긴 하지만, 개발이 시작되면 대규모 생산이 가능한 점도 해양에너지의 장점이다. 게다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해양에너지 잠재력이 풍부한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해양에너지의 연구 개발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미 작년부터 전력 생산을 시작한 시화호 조력발전소(경기 안산 소재)는 해양에너지 강국을 향한 대표주자다.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발전시설용량 25만4,000kW로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바다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는 이뿐만이 아니다. 육상 생물들과는 또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 해양생태계, 이를 이용한 해양바이오 연구가 고부가가치의 대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태평양 심해저 열수구에서 분리한 고세균을 이용해 세계 최고수준의 생산성을 가진 바이오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을 꼽을 수 있다.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해양 초고온 고세균 이용 바이오수소 생산기술 개발' 연구는 이미 실증실험장의 건설을 완료하고 상용화를 위한 대량 생산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2018년까지 대량 생산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면, 고세균을 이용한 바이오수소의 생산은 국내 수소 수요의 5%인 연간 1만 톤, 비용으로 치면 1,000억 원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 1만 톤은 4만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하는 전력 소비량(가구당 월평균 전력 소비량 300㎾h 가정 기준)을 대체할 수 있을만큼의 양이다. 또한 미세조류를 이용해 기름을 생산하는 바이오연료가 있다. 담수와 해수에 골고루 분포해 서식하고 있는 미세조류는 일반적인 식량자원이나 육상식물인 대두유, 자트로파 등에 비해 단위면적당 8배 이상 높은 오일 생산성을 갖고 있다. 기존 바이오연료의 원료로 주목받아 온 옥수수, 사탕수수 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배양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 제거, 폐수 처리까지 가능해 친환경 대체에너지로 꼽힌다.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6. 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aid/2012/08/31/8806421.html?cloc=olink|article|default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aid/2012/08/31/8806421.html?cloc=olink|article|default 한국수자원공사, 바다·호수 위 태양광 발전소 … 220만 명이 1년 쓸 전기 만든다 2012.08.31 … 한국수자원공사는 7월 31일 합천댐에서 ‘K-water 수상태양광 상용모델 발전 개시 기념행사’를 갖고 세계 최대 규모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을 본격 가동했다. 합천댐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은 시설용량 500㎾급 규모로 4인 가족 170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수상태양광 발전은 육상 태양광 발전보다 약 10% 발전량이 많다. 또 광차단 효과로 저수지 녹조현상을 완화시키며 물고기들의 산란환경 조성에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번에 상업발전을 시작한 수상태양광 상용모델은 국내는 물론 세계 최대 규모인 동시에 세계 최초로 사업성을 확보했다. … 한국수자원공사는 대규모 수상태양광 제작기술에 있어 전 세계적으로 약 2년 앞선 기술력을 자랑한다. 또 최적 설계와 신공법 개발로 건설비용을 기존 대비 약 30%가량 대폭 절감했다. 물과 에너지의 융합을 통한 진정한 녹색기술 실현을 위해 호소수질에 영향이 없는 친환경 기자재만을 사용했다. 또 알루미늄 소재로 구조체를 제작함으로써 친환경성을 높였다. 한편 한국수자원공사는 앞으로 2022년까지 31개 댐에 단계적으로 1800㎿ 규모의 수상태양광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220만 명이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시설로 매년 160만t의 이산화탄소 감축효과와 395만 배럴의 원유수입 대체효과가 있다. 한호연 K-water 녹색에너지처장은 “K-water는 향후 민간기업과 공동으로 모델 표준화 및 최적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진출에도 앞장설 계획이다”고 말했다.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7. http://news.hankooki.com/lpage/economy/201208/h2012082502352821500.htmhttp://news.hankooki.com/lpage/economy/201208/h2012082502352821500.htm 에너지혁명 풍력·태양광… 만만찮은 역풍·먹구름 2012.08.25 … 정부는 2020년까지 세계 3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 아래 바람개비 형태의 대형 해상풍력 구조물을 모두 500기 세울 방침이다. … 발전용량만 250만㎾에 달한다. 이는 100만㎾급 원자력발전소 2기 반을 짓는 규모와 맞먹는다. … 언젠가는 바닥을 드러낼 석유ㆍ석탄 등 화석연료 부족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 특히 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지열,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등 대체에너지 가운데 요즘 가장 스포트라이트가 쏟아지고 있는 분야는 풍력인데, 그 중에서도 해상풍력이 각광을 받고 있다. 해상풍력은 일단 바다라는 광활한 해상 위에 짓다 보니 대규모 단지개발이 육상에 비해 쉽다. 또 산과 언덕 등에 건립할 필요가 없어 산림훼손 우려로 인한 환경파괴도 적다. … 태양광 역시 대표적 신재생에너지로 꼽힌다. 지난 2009년 307억 달러이던 시장규모가 10년 뒤인 2019년 98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정부는 전망하고 있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는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 세계 10위 국가인 우리나라에 현재는 물론 미래에도 꼭 필요한 에너지"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아직 현실적으로 상용화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력생산을 위해선 기존 발전 역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무엇보다 현재 가장 큰 걸림돌은 경제성이 떨어지는 생산 원가다.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 원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것에 비해 상당히 비싸 다. 한전에 따르면 화석연료의 발전단가를 1㎾당 100원으로 가정했을 때, 태양광은 197원, 풍력은 189원, 바이오는 184원, 연료전지는 181원, 해양에너지는 179원 등이다. 결국 신재생에너지가 시장성을 갖추려면 이른바 '그리드 패러티(Grid Parityㆍ태양광이나 풍력 등 대체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 데 드는 발전원가가 화석연료 발전원가와 같아지는 시점)에 언제쯤 도달하느냐에 좌우될 수밖에 없다. 자원업계에서는 이르면 수년에, 늦어도 5~7년 안에는 대체에너지 시장이 본격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계획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8.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204/h2012042622474221950.htm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204/h2012042622474221950.htm 서울시 "신재생에너지로 원전 1기 분량 대체" 2012.04.26 서울시는 시내 주요 건물 옥상에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하는 등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활용해 2014년까지 에너지 200만 TOE를 절감하겠다고 26일 밝혔다. 1 TOE는 석유 1톤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말하며 200만 TOE는 원전 1기 수요를 대체할 수 있는 규모다. 서울시는 먼저 공공청사, 학교, 업무용 건물 등 1만여 공공·민간 건물의 옥상과 지붕에 290MW의 태양광발전소인 '햇빛발전소'를 설치한다. 자치구별로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신재생에너지를 자체 생산하는 '에너지 자립마을'도 구당 1개소 이상씩 조성할 예정이다. 또 건물에만 적용하던 '에너지(온실가스) 총량제'를 2014년부터 도시개발계획 수립 시에도 적용하고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 비율은 현재 6%에서 2014년 10%이상까지 강화한다. 중대형건물, 공공임대주택, 사회복지시설, 학교 등 1만2,200여개의 에너지다소비 건물에는 3년간 에너지 절약시설을 개선 또는 설치하는 건물에너지 효율 개선사업(BRP)을 실시한다. 이와 관련 에너지 진단 의무대상도 현재 2,000TOE 이상(총면적 7만8,000㎡이상)에서 2013년부터 1,000TOE 이상 건물로 확대하기로 했다.아울러 공공청사 및 도로시설, 지하철역사, 지하상가, 대형업무시설, 백화점 등 다중이용시설의 781만5,000여개 조명도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 조명으로 교체한다. 교통 분야와 관련해서는 자동차를 시간제로 공동 이용하는 '카 셰어링' 사업을 올해 중 시행하고 현재 9%에 머무르고 있는 '대형건물 승용차요일제' 가입률을 2014년까지 50%(6,900개소)까지 높일 계획이다. 이밖에 대규모 비상 정전에도 자체 상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131개소 건립과 작은 낙차에서도 발전 가능한 소수력 발전소 5곳 건립도 추진한다. 시는 이 같은 대책으로 2014년부터 매년 2조800억원의 원유수입 대체효과와 더불어 4만개의 에너지분야 녹색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475920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475920 제주 신재생에너지 대체 '카본 프리 아일랜드' 발표 2012.05.02 제주특별자치도는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50%를 대체하고, 2030년까지 100% 대체하는 ‘카본 프리 아일랜드 제주 바이 2030(Carbon Free Island Jeju by 2030)’ 계획을 2일 발표했다. 도는 이를 위해 1단계로 올해를 ‘탄소 없는 섬 시범모델 구축’의 해로 정하고 가파도를 신재생 에너지 100%로 대체하는 카본 프리 아일랜드로 구축, 오는 9월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세계자연보전총회(WCC) 참가자들이 돌아볼 수 있도록 코스화할 계획이다. 2단계로 2020년까지 해상풍력 1GW, 육상풍력 300㎿, 태양광 30㎿ 등을 생산, 신재생 에너지로 50%를 대체하고, 2030년 제주 총 전력사용량 5268GWh의 68%인 3585GWh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어 3단계로 2030년까지 도 전역을 탄소 없는 섬으로 조성키 위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 2GW, 육상풍력 300㎿, 태양광 100㎿ 등을 생산, 2030년 제주 총 전력사용량 5268GWh의 124%인 6561GWh를 공급키로 했다. 도는 이 계획이 마무리 되면 2030년 온실가스가 90%이상 감축되고, 신재생에너지를 유엔에 청정개발제(CDM) 사업으로 등록, 연간 354억원의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생산유발효과 13조4900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5조8000억원, 일차리 창출 4만개 등 지역 관련산업과의 시너지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제주도는 풍력 등 녹색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 생산 여건이 우수해 탄소 없는 녹색성장 도시 조성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10. 개발 규제를 완화하며 대체에너지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본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1%가 채 안 되지만 2020년까지 20%로 높인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현재 국내 에너지 소비량 중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인 저조한 3%대에서 신재생 에너지 보급률을 오는 2030년, 11%까지 끌어올리려는 목표가 있다. 지난해 전체 전력의 20%가량을 재생에너지에서 얻었고, 독일 전역에는 100만개에 달하는 태양광발전소가 있다. 기업 중심으로 대체에너지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구글의 전기 소모량 중 30% 정도가 풍력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 충당됐다 정리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방안 대체에너지

  11.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발전시설용량 25만4,000kW로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함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해양 초고온 고세균 이용 바이오수소 생산기술 개발' 연구는 2018년까지 대량 생산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면, 국내 수소 수요의 5%인 연간 1만 톤, 비용으로 치면 1,000억 원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수소 1만 톤은 4만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하는 전력 소비량을 대체할 수 있을만큼의 양임 미세조류를 이용해 기름을 생산하는 바이오연료가 있다. 담수와 해수에 골고루 분포해 서식하고 있는 미세조류는 일반적인 식량자원이나 육상식물에 비해 단위면적당 8배 이상 높은 오일 생산성을 갖고 있다. 기존 바이오연료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배양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 제거, 폐수 처리까지 가능해 친환경 대체에너지로 꼽힘 합천댐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은 시설용량 500㎾급 규모로 4인 가족 170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한편 한국수자원공사는 앞으로 2022년까지 31개 댐에 단계적으로 1800㎿ 규모의 수상태양광 개발을 추진할 계획으로,220만 명이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시설로 매년 160만t의 이산화탄소 감축효과와 395만 배럴의 원유수입 대체효과가 있다

  12. 정부는 2020년까지 바람개비 형태의 대형 해상풍력 구조물을 모두 500기 세울 방침이다. 발전용량만 250만㎾에 달한다. 이는 100만㎾급 원자력발전소 2기 반을 짓는 규모와 맞먹는다. 서울시는 시내 주요 건물 옥상에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하는 등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활용해 2014년까지 에너지 200만 TOE를 절감하겠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이 같은 대책으로 2014년부터 매년 2조800억원의 원유수입 대체효과가 있을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030년까지 100% 대체하는 ‘카본 프리 아일랜드 제주 바이 2030계획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해상풍력, 육상풍력, 태양광 등을 생산, 2030년 제주 총 전력사용량 5268GWh의 124%인 6561GWh를 공급키로 했다. 도는 이 계획이 마무리 되면 2030년 온실가스가 90%이상 감축되는 등 다양한 이점이 있을것으로 예상

  13.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