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1

골프산업 분석 국내 골프산업의 Leader – 팬텀 제 2 도약기 맞은 팬텀 경영전략 및 비전 투자포인트 경영성과

골프산업 분석 국내 골프산업의 Leader – 팬텀 제 2 도약기 맞은 팬텀 경영전략 및 비전 투자포인트 경영성과. 골프산업 분석. 골프산업 위상 골프산업 현황 Market position. 레저산업 시장규모. 골프산업 시장규모. 경제성장 (1 인당 GDP). ( 억원 ). ($). ( 억원 ). CAGR 6.7%. CAGR 22.5%. CAGR –2.0%. 레저시설별 이용자 평균 이용회수. 경제성장의 감소에도 레저산업과 골프산업은 꾸준한 증가추세

Download Presentation

골프산업 분석 국내 골프산업의 Leader – 팬텀 제 2 도약기 맞은 팬텀 경영전략 및 비전 투자포인트 경영성과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골프산업 분석 • 국내 골프산업의 Leader – 팬텀 • 제2도약기 맞은 팬텀 • 경영전략 및 비전 • 투자포인트 • 경영성과

  2. 골프산업 분석 • 골프산업 위상 • 골프산업 현황 • Market position

  3. 레저산업 시장규모 골프산업 시장규모 경제성장(1인당 GDP) (억원) ($) (억원) CAGR 6.7% CAGR 22.5% CAGR –2.0% 레저시설별 이용자 평균 이용회수 • 경제성장의 감소에도 레저산업과 • 골프산업은 꾸준한 증가추세 • 전체 레저산업은 연평균 6.7% 증가로 • 뛰어난 성장성 보유산업은 아님 • 그러나, 레저산업중 골프산업의 경우 • 연평균 22.5%로 높은 성장성 보유 • 이용자 평균 이용회수는 골프장이 9.1회로 1위 1.7회 2.1회 2001년 2.3회 9.1회 2.4회 2.6회 2.8회 (자료 : 통계청) 골프산업 위상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레저산업내 비중확대 ”

  4. 국내 골프장수 증가추이 국내 이용자수 증가추이 (개소) (천명) CAGR 10.1% CAGR 14.8% 향후 국내 골프인구 전망 (천명) • 국내 골프장수, 이용자수는 높은 성장세 • - 골프장수는 연평균 10.1% 증가 • - 이용자수는 연평균 14.8% 증가 • 국내 골프인구의 대중화는 향후 높은 성장을 예상 • - 퍼블릭 이용객수 2010년까지 연평균 10.1% 증가 예상 CAGR 10.1% 골프산업 현황 “탁월한 성장성 ”

  5. 골프공 부문 시장점유율(%) 골프웨어 부문 시장점유율(%) 골프공 부문 국내1위 골프웨어 부문 상위업체의 각축 엘로드 (16%) 볼빅 (29%) 이동수 (25%) 팬텀 (33%) 팬텀 (17%) 빅야드 (29%) 슈페리어 (24%) 아스트라 (18%) 초이스 (9%) Market Position “국내 브랜드의 선점 “

  6. 국내 골프산업의 Leader - 팬텀 • Corporate Identity • 연구개발력 • 제품력 • 원가 경쟁력 • SWOT 분석

  7. 국내 골프산업 Leader • 골프공 부문 3위, 국내업체 중 1위 • 골프의류 부문 11위, 국내업체 중 4위 해외시장 개척 Leader • 전세계적으로 22개국에 수출 • 기술력 기반 미국, 일본등 대형거래선 확보 • 현지 중국공장의 영업활성화로 • 중국내수시장에서의 높은 매출 성장가능성 연구개발력 • 세계 4번째 2PC Golf Ball 개발 • 세계 3번째 3PC Wound Ball 개발 • 14개 골프볼 상품화, 3개 특허획득 국내 골프산업 성장의 최대수혜주 제품력 • 국내 : 15년 최장수 골프볼 브랜드 보유 • 1/2/3PC Ball 생산 line 국내 최초 보유 • 해외 : 98년 NIKE와의 대규모 OEM 계약 체결 • 골프산업 ’95~’00년 연평균 22.5% 증가 • 퍼블릭 이용객 ’01~’10년 연평균 10.1% 증가 • 골프산업의 성장과 대중화 • -> 국내1위의 골프전문업체인 팬텀의 매출 및 수익확대 원가경쟁력 • 매출액 증가대비 효율적 설비투자 능력 • 골프공부문의 지속적인 매출원가 하락 Corporate Identity “국내 골프산업의 리더 –팬텀 ”

  8. 1976년 이후 순수 자체 기술력기반 골프공 개발에 주력 : 14개 골프볼 상품화, 3개 특허획득 연구개발 인력 Consulting 2명 Core Compound 미국특허출원 • 2000~2001 Super Soft 2PC Ball 연구개발 총괄 2명 9명 Core 개발 2명 • 1999~2000 New Double Cover 3PC Ball • 1998~1999 Super 442 Up-Grade QC 1명 Cover 및 공정 개발 2명 • 1998~1999 432 Dimple • 1997 Lady용 Ball 한국특허 획득 • 1996~1997 3PC Double Cover Ball • 1995~1996 3PC Wound Ball(Surlyn Cover) • 1992~1993 Soft 2PC Ball • 1992~1993 세계 3번째 3PC Wound Ball(Balata Cover) 416 Dimple 특허 획득(한국, 미국) • 1988~1991 2PC Golf Ball • 1983~1984 세계 4번째 2PC Golf Ball • 1976~1977 1PC Ball 연구개발력 “축적된 경험과 기술력 ”

  9. 제품력 I “모든 소비자 수요에 대응 ”

  10. 골프공부문 매출형태(’01) OEM 제품 수출현황 RANGE(10.4%) POWER-TARGET(0.6%) POWER-CONTROL(1.1%) HI-SOFT(1.4%) POWER-DISTANCE(6.4%) SUPER 442(2.8%) 기타 (2.1%) 세계수준의 기술경쟁력으로 수출거래선 확보 OEM 77.3% 미주 (79.2%) 일본 (18.7%) • 1998년 ‘볼공급에 따른 행동규약 및 지침서’를 3년간 약정 • 2001년 상기 약정 3년간 연장 (백만원) : • 1998년 2년간의 성능 및 수행테스트를 거쳐 NIKE와 약정계약 • -> NIKE의 골프공 OEM업체는 브릿지스톤과 팬텀으로 • 세계적인 기술력 인정 • 2001년 약정 연장계약 • -> 향후 안정적 거래관계 유지 • NIKE사의 골프사업 확대의 강한 의지로 2002년 골프클럽 부문 진입 • -> 골프공부문 매출액 증가에 큰 영향 NIKE OEM 매출추이 제품력 II “해외에서 인정한 기술력 ”

  11. 효율적 설비투자 골프공 부문 매출원가율 (백만원) (백만원) (%) • 매출확대에 따른 고정비 감소 • 골프공부문 생산성 급격 향상 • 지속적인 공정개선 • 전체적인 원가율 하락 • 최소한의 설비투자로 매출증대 극대화 • 설비효율성 대폭 개선 • 가동률 향상 원가 경쟁력 “탁월한 생산 효율성 ”

  12. 골프공부문 국내 1위업체 • 해외시장 개척 리더 • 세계수준 자체기술력 • 축적된 경험 • 성공적 구조조정 • 양호한 재무구조 • 우수한 수익성 • 높은 나이키 매출의존도 • 낮은 세계시장 브랜드 이미지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 골프인구 확산 • 중국시장 진출 • 해외 대형 OEM 거래선 • 확보가능성 • 외산 선호 심리 • 의류부문 낮은 진입장벽 SWOT 분석 “확고한 국내시장 리더 –팬텀 ”

  13. 제2도약기 맞은 팬텀 • 제2도약기 맞은 팬텀 • 영업 - 안정적 기반구축 • 재무 - 건전한 재무구조 • 산업 - 골프의 대중화

  14. 제2의 도약기 국내 골프산업의 대중화 영업, 재무의 안정적 기반구축기 (백만원) (만명) 골프산업의 성장 - 골프장 이용자수 추이 팬텀의 성장(우) - 골프공 부문 매출액 추이 제2도약기 맞은 팬텀 “안정 성장 / 수익기반 확충 + 산업환경 개선 ”

  15. 인원감축 매출 및 수익성 향상 (백만원) (명) (백만원) 97 99 65% 인원감축 ’00~’02 안정적 기반구축 ’97~’99 구조조정 조직구조 축소 대형거래선 확보 (개) 조정전 현재 (백만원) 본부 2 2 NIKE OEM 매출추이 팀 13 7 실 0 1 비수익사업 축소 및 정리 • 골프클럽 및 기타 용품 부문 정리 • 수입의류 부문 축소, 2000년이후 정리 영업 –안정적 기반구축 “고통과 결실 ”

  16. 부채비율 및 차입금비율 유보율 (%) (%) • 구조조정에 이은 감자 • 지속적인 이익 확대 • 급격한 유보율 개선 • 구조조정으로 차입금 대폭 상환 • 영업개선으로 영업현금흐름 확대 • 부채비율 및 차입금비율 안정궤도 진입 재무 –건전한 재무구조 “성장을 위한 기반구축 / 세계적 거래처 확보 기반구축 ”

  17. (천명) (천명) 골프 저변 확대 3,000 11.8%  • 박세리선수의 1997년 미LPGA대회 우승 • 골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완화 • 국민소득수준의 향상 • 접대문화의 변화 • 여성의 여가시간 확대 국내 골프인구 연평균 11.8% 증가(99~01) 26.5% 증가 2,000 8.8% 증가 26.5%  1,000 퍼블릭 골프장 이용자수 연평균 26.5%증가(99~01) 0 부유층의 사치성 스포츠 대중화된 레저/스포츠/엔터테인먼트 골프산업 구조의 변화 유통망의 확대 고객층의 대중화 • 백화점, 대리점 • C.C • Road Shop • 홈쇼핑 • 인터넷 쇼핑몰 • 대형할인점 • 부유층 • 남성층 • 40대 이후 • 중산층 • 여성층 • 30대 이후 산업 - 골프의 대중화 “골프 대중화의 거센 물결 ”

  18. 경영전략 및 비전 • 차별화된 마케팅 • 국내 : 브랜드 making • 해외 : 대형거래선 확보 • 비전

  19. 차별화된 마케팅 “산업 환경 변화에 탄력적 대응, 선도 ”

  20. Target (%) (백만원) • Market -> 내수시장 위주 • : 국내외적으로 수입브랜드 장벽은 아주 높은 상태 • - 해외시장 : OEM 공급선 확대, 유수의 distributor와의 제휴 • -> 자체 브랜드 making 포석 • - 내수시장 : 국내 1위의 경쟁력 기반 브랜드 level-up 주력 • Customer -> 부유층 및 중산층의 고객 • : 골프의 대중화로 부유층의 기존고객과 중산층의 신규고객 상존 • - 기존고객 : 고기능/고가제품 유도 • - 신규고객 : 실속있는 소비패턴에 맞는 신상품 출시 현황 및 전략 • 적극적 제품/이미지 광고 • STAR Marketing보다 직접적인 매체비중 강화 • - 잡지, 라디오, TV, 인터넷등의 다양한 매체로의 광고 • 브랜드 이미지 making • 제품 다양화 – niche market 개발 및 활성화 구조조정에 이은 제2도약기 준비 국내 : 브랜드 making “기존 기반 확대 + 팬텀 이미지 제고 ”

  21. OEM 공급선 확대 • 미주, 일본, 동남아 등 22개국에 자체브랜드 및 • OEM방식으로 골프공 수출 경력 • NIKE(미국) : OEM제품 수출의 안정적 거래관계 • -> 일본, 유럽등으로 OEM공급선 확대 • 캐나다 • 영국 • 미국(NIKE) • 네덜란드 직접시장 공략 • 일본 • 중국(QDS) • QDS(중국) : 중국시장내 높은 성장잠재력 • -> 중국시장내 자체브랜드 판매 • 태국 직수출 및 OEM공급선(현재) 내수시장 직접 진출(예정) 간접시장 공략 • 호주 • OEM 납품을 통한 간접 소비자 접촉 • 향후 직접/브랜드 수출 기반 확보 세계속의 팬텀 성장/수익/브랜드의 조화 OEM 공급선 확대 브랜드 이미지 set-up • 제품력/원가 우수성 활용 • 미주/일본시장 위주 고가/직접 수출 해외 : 대형거래선 확보 “공격적 직/간접 세계시장 진출 ”

  22. “Total Golfware Leading Company” • Brand 인지도 확보 • 해외 대형거래선 확보 • entertainment로서의 골프문화 선도 - 핵심 관련 사업 다각화 - 골프꿈나무 육성의 적극적 지원   국내 골프문화 선도기업 제2의 도약기 마케팅 강화 / 브랜드 making / 해외시장 개척 / 신규사업 추진   국내 골프산업 선도기업 • 골프공부문 국내업체 1위 • 골프의류부문 국내업체 4위 • 해외시장 개척 Leader 비전 “세계적 골프전문업체 –팬텀 ”

  23. 투자포인트 • 경험과 기술 • summary

  24. 1 • 국내 최장 업력 • 국내 최대 골프전문업체 • 국내 최초 자체기술 2PC 골프공 개발 • 국내 최초 2PC 골프공 해외시장 수출 • 국내 최고의 골프문화 선도업체 • - 국내 최초 골프 open 개최 • - 골프 꿈나무 육성 • 국내 최고의 성장성/수익성 • NIKE OEM업체 2개사(팬텀, 브릿지스톤) • 제2의 도약기 진입 • - 성공적 구조조정 + 골프대중화 • 1/2/3PC Ball 기술/시설 보유 및 total 생산 2 • Total golfware 세계 4대업체 진입 • 아시아/미주/유럽/호주 4대륙 진출 4 3 • 제품력/가격경쟁력/브랜드 파워의 배양 • 기술/생산/마케팅의 조화 경험과 기술

  25. 성장 수익 • 고가브랜드 비중 확대 • 생산효율성 개선으로 원가구조 개선 • 외형신장을 통한 고정비 비중 축소 • 골프산업 지속 성장 전망 • 골프 대중화의 최대수혜주 • 해외시장 개척 • Total golfware 지향 • 구조조정의 값진 경험 • 수익성 기반위의 성장 • 영업현금흐름 확대를 통한 • 안정성 향상 • 등록 계기 재무구조 level-up • 국내 골프 대중화 선도 • 국내 선도업체로서의 골프대중화에 • 대한 사명감 • 기존 골프인구 vs. 신규 입문자 • 동시 접근 안정 문화 summary

  26. 경영성과 • 매출 및 수익 • 주요비율/상대비교 • 주당지표

  27. 매출액 (백만원) (백만원) • ’99매출 축소는 구조조정 • 골프공 매출은 지속 성장 • 골프공 매출액(백만원) 당기순이익 (%) (백만원) • 구조조정 이후 수익모델 정착 • 외형확대의 생산성 향상 기반 수익성 확대 • 인당 생산성/수익성 비약적 신장 매출 및 수익

  28. 성장성 수익성 상대비교 (%) 1999 2000 2001 (% YoY) 1999 2000 2001 (%) 팬텀 볼빅 영업이익률 당기순이익률 ROE ROA 1.5 1.4 7.1 1.5 14.0 4.0 15.0 5.1 12.5 8.6 33.8 13.8 매출액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EPS증가율 총자산증가율 -5.4 -102.2 -101.3 -5.7 26.3 1,087.2 650.6 21.2 36.2 21.9 193.3 -4.1 ROE (%) 33.8 5.3 당기순이익률 (%) 8.6 4.4 ROA (%) 13.8 3.4 부채비율 (%) 104.6 51.2 차입금비율 (%) 38.6 32.2 매출액대비 이자부담율 (%) 1.3 1.6 안정성 활동성 총자산회전율 (x) 1.6 0.8 (%) 1999 2000 2001 (x) 1999 2000 2001 총자산 회전율 고정자산 회전율 매출채권 회전율 재고자산 회전율 1.1 3.1 5.6 12.9 1.3 3.8 3.1 11.8 1.6 5.9 3.6 11.9 유동비율 부채비율 차입금의존도 유보율 110.0 189.1 42.5 18.5 113.4 201.7 38.6 37.7 156.5 104.6 18.9 94.7 주요비율/상대비교

  29. FY98 FY99 FY00 FY01 기말자본금 (백만원) 26,000 5,300 5,300 5,300 기말발행주식수 (천주) 5,200 1,060 1,060 1,060 평균발행주식수 (천주) 2,365 2,249 1,060 1,060 주당순이익 (원) -9,917 128 958 2,810 주당현금흐름 (원) -9,636 337 1,440 3,337 주당순자산 (원) 340 5,925 6,883 9,734 PER (x) -1.0 78.3 10.4 3.6 PCFR (x) -1.0 29.6 6.9 3.0 PBR (x) 29.4 1.7 1.5 1.0 * 주가는 희망공모가 밴드 최저치인 10,000원 기준 주당순이익(원) 주당순자산(원) 주당지표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