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영추포럼

영추포럼. 2003 년 10 월 문화예술 혁신과 필드의 네트워크 구조 (Art Innovations and the Network Structure of Art Fields) 신동엽 연세대 경영대학. 문화예술의 혁신은 어디에서 오는가 ? 시대정신 (Zeitgeist): 거시적 시대정신의 흐름과 역사적 문화예술 발전 단계의 산물 .

maris
Download Presentation

영추포럼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영추포럼 2003년 10월 문화예술 혁신과 필드의 네트워크 구조 (Art Innovations and the Network Structure of Art Fields) 신동엽 연세대 경영대학

  2. 문화예술의 혁신은 어디에서 오는가? • 시대정신(Zeitgeist): • 거시적 시대정신의 흐름과 역사적 문화예술 발전 단계의 산물. • Determinism(결정론): 거시적 조건이 자동적으로 결과 결정한다고 봄. • 개인 예술가의 천재성/창의성(Individual Genius): • 천재적 개인의 확률 분포에 의해 문화예술 혁신 결정. • 환원주의(Reductionism): 개인 이해하면 거시적 결과 이해할 수 있다고 봄 • 문화예술분야의 네트워크 구조(Network Structure of Art Fields): • 각 문화예술분야 마다의 사회구조, 특히 예술가나 예술 분야들간의 연결 관계(networks) 구조가 결정적 영향. 문화예술 혁신 사례의 재해석.

  3. 혁신의 실제 원천: Where do innovations come from? • 다양한 혁신들의 실제 창출 과정: Most innovations come from a novel recombinationof existing ideas, knowledge, and paradigms, rather than inventions or creations.(기존 아이디어, 지식의 창조적 재결합) • 전제 조건 1: Diversity of existing ideas, knowledge, and paradigms. 다양성, 차별성을 가진 하위 필드의 존재. • 전제 조건 2:이들간 연결 (Networking). 필드의 네트워크 구조의 역할. • 전제 조건 3: Novel and systematic integration. 단순한 합 + alpha. 새로운 기반 논리(underlying logic). 기존 패러다임들과 구조적 차별성.

  4. 네트워크(Network)란? Tie Node Tie Node • Node:개별 구성 단위. 개인, 지역, 집단 등. 아이디어, 정보, 지식 보유자. • Tie: Node들간의 연결관계. 아이디어, 정보, 지식의 흐름. • Networking: Node들간의 tie를 구축하는 행위. • A. L Barabasi (2002), Linked: The New Science of Networks.

  5. 네트워크 의 중요성 • 작은 세상현상(small world phenomenon):네트워크 연결망의 파워. •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네트워크를 통한 관계 자체가 새로운 가치 창출의 기반.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지식이나역량보다는, 타인이나 다른 집단들과 의 네트워킹을통한관계기반가치/혁신 창출. • 네트워크 구조의 중요성:어떤 네트워크 구조는 다른 네트워크 구조에 비해 새로운 가치와 혁신 창출에 더 효과적. 네트워크 구조의 의식적 향상 노력이 문화예술을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의 혁신 창출에 결정적 역할.

  6. 혁신창출의 네트워크: 약한 연결의 강함 • Strength of Weak Ties:새롭고(novelty), 다양한(diversity) 아이디어, 정보, 지식은 강한 연결이 아닌 약한 연결을 통해 습득됨. • Homophily(유유상종) & Isomorphism(동형화):잦은 긴밀한 접촉은 유사 성을 초래. • 구조적 틈새(Structural Holes):네트워크 파당(clique)들 사이의 틈새. • 대부분의 혁신 창출자:약한 연결을 통해 구조적 틈새를 파악하고, 서로 분리되어 있던 다른 아이디어, 지식, 패러다임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창조 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새로운 가치와 혁신 창출.

  7. 혁신 확산의 네트워크: 허브(Hub)의 역할 • 허브(Hub):예외적으로 Tie가 많은 Node. 전체 사회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 다른 Node들과의 아이디어, 정보, 지식 습득, 확산에 중추적 역할. • SARS, St. Paul, Internet대란의 공통점:네트워크 Hub의 중요성. • 혁신 확산:누군가 Hub의 지위를 가지고 있거나 역할을 수행할 때 전체 필드로 급속히 확산됨. Hub가 없는 네트워크에서는 혁신이 고립된 Node(isolated nodes)들에 의한 일회성 실험으로 끝날 가능성.

  8. 혁신 정착과 향상의 네트워크: 파당(Clique) • 파당(Clique):서로 내부적으로 강하고 중복적으로 연결된 Node들의 집합. • 배태(Embeddedness):파당에서는 Node들의 아이디어, 정보, 지식, 의견, 행동 등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 네트워크 관계 속에 배태. 서로 응집, 지원, 공유, 협력, 감시 등 활발. • Homophily(유유상종) & Isomorphism(동형화): Clique내에서의 self- censoring. 서로 유사한 아이디어, 지식을 점진적으로 정교화. • 향상(Improvement):창출된 혁신이 더욱 정밀하게 향상되고 체계화되며 정착되는데는 그 혁신에 commitment하는 파당의 역할이 필수적.

  9. 다른 분야들간의 연결과 문화예술 혁신 • 약한 연결의 활용:서로 분리되어 발전해오던 다양한 문화예술분야나 또는 타 분야들과의 연결 네트워크를 통한 문화예술 혁신. • Mozart, Schoenberg, Kandinsky, Cage, Cunningham, Gaugin, Pink Flyod, 조용필, 서태지, Glass, Pollock 등의 공통점. • Structural Hole 활용: A novel recombination of existing diverse art fields. 다른 문화예술 필드들을 결합하여 예술적 혁신 창출한 사람들.

  10. 동일 분야내 다른 장르간 수평적 연결 • 동일 문화예술 분야내 파당성으로 인해 서로 접촉이 제약되어 있는 다양 한 하위 장르나 학파간 연결을 통해 혁신. • 대중음악: (Bob Dylan: Folk + Rock). (조용필:트로트 + Rock). (서태지: Hip Hop + Rock + 트로트).

  11. 동일 예술분야내 다른 지역간 연결 • 지역간 접촉 제약으로 인한 분리와 구조적 틈새로 인한 차별성과 다양성을 약한 연결을 통해 결합하여 혁신 창출. 후발지역의 추격 가능성 • 고전음악: (Mozart: German Tradition + Italian Tradition). (Bartok:서 유럽 고전음악 + 민속음악), (윤이상:현대음악 + 한국 전통음악). (황병기:한국전통음악 + 현대음악) • 시각예술: (Gaugin:인상파 + 타히티 민속미술).(이응로, 서세옥:동양 화 + 서양화) (Giacommeti:서유럽 조각 + Africa 민속 조각) • 현대무용: (Graham:서구 현대무용 + 동양 무용). • 건축: (Wright:서구 건축 + 동양 전통 건축)

  12. 동일 예술 분야내 다른 계층적 분야간 연결 • High Culture & Pop Culture:동일 분야내 계층적 지위 구조로 인한 접촉 제약에서 초래되는 차별성과 다양성을 약한 연결로 결합. • 음악: (Pink Flyod, YES, ELP, Beatles, Hendrix: Rock + 고전음악), (Gershwin, Ravel:고전음악 + Jazz). (Glass: 현대음악 + Rock. Live, Bowie) • 시각예술: (Lautrec:인상파 미술 + 상업 미술). (Lichtenstein: 현대미술 + 만화). (Warhol: 현대미술 + 상업미술). (백남준:현대미술 + 대중 매체).

  13. 동일 예술 분야의 다른 시대 패러다임간 연결 • 시대간 예술 패러다임의 차별성과 다양성에서 오는 구조적 틈새 활용. • 고전음악: (Brahms:낭만파 + 고전파). (Shnittke:현대음악 + 바로크 음악). (Stravinsky:현대음악 + 고전파). • 시각예술: (Michelangelo:르네상스 + 그리스 조각) (Picasso:현대미술 + 고전 미술) • 현대무용: (Ruth St. Denis, Ted Shawn: 현대무용 + 고대 이집트 무용)

  14. 다른 문화예술 분야들간의 연결 • 전혀 다른 예술가군으로 분류되는 문화예술 분야들간의 접촉 제약으로 인한 구조적 틈새 활용. 가장 큰 차별성과 다양성의 가능성. • 시각예술 + 음악: (Kandinsky & Schoenberg). (Cage & Pollock). (Debussy:고전음악 + 인상파 미술). • 음악 + 현대무용: (Cage & Cunningham)

  15. 복수 분야간 동시 연결과 협력 • 3개 이상 복수의 다른 문화예술 분야의 동시 연결을 통한 혁신. 문화예술 분야의 진정한 네트워킹과 거시적 혁신의 기반. • 1910-20 Paris: Ballet Russes. Diaghilev, Nijinsky, Stravinsky, Satie, Pacasso, Dali, Chagall. • 1940-50 NYC: Cage & Cunningham & Pollock. • Chaplin, Dylan, Cogteau, da Vinci:개인 수준에서 시도. • Cage + Taylor + Horst: 현대 음악, 현대 무용, 평론.

  16. Strong Tie와 파당의 양면성 • 문화예술의 두 가지 진보 방식: Exploration(탐색) & Exploitation(활용) • 정착, 향상: 파당의 긍정적 역할(인상파 등). 특정 혁신에 commitment하 는 동질적 예술가집단의 공동 노력 없이는 혁신이 간헐적 event로 끝남. • Learning Myopia(근시안적 학습):파당이 너무 강한 경우 기존 패러다임 의 당연시와 그 내부에서의 Exploitation에만 집착. 혁신 장애. • 파당의 폐쇄성: Self Censorship. 1950년대 MFA의 Pollock 거부.

  17. Hub의 중추적 역할 • 필드 전체의 혁신에 결정적 역할:구조적 틈새 파악, 연결, 혁신 전파, 자원 동원 등. • Hub의 다양성:예술가 또는 관련자. Cage, Manet, Diaghilev, Sachs, Krens. 황두진 • 개인 아닌 Collective Entity Hub:집단, 포럼, 문화예술 단체, 대학, 집안 (Medici), 정부, 대중매체 등.

  18. 개인 예술가의 핵심적 역할 • 네트워킹과 혁신:모든 네트워킹이 다 혁신으로 연결되지는 않음. 단순 모방(imitation)이나 병렬적 나열, 이전(tranfer)이 대다수. 서태지 컴백 실패와 Hardcore Rock의 단순 모방. • 분야간 거리와 혁신성:구조적 틈새 연결하는 예술 혁신의 경우 기존 분야간 Art Space에서 서로 거리가 멀수록, 그리고 다양한 요소 연결할 수록 더 혁신적. 그러나 이들간 새로운 체계적 통합은 훨씬 더 어려움. • 예술가 개인의 창의성과 천재성이 개입하는 부분임. • 그러나 개인의 천재적 창의성이 있더라도 네트워킹 없이 완전히 새로운 invention을 기대하기는 어려움.

  19. 문화예술 커뮤니티의 공동 프로젝트 • 문화예술혁신: 모든 문화예술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공동 프로젝트. • Networking is costly:다른 분야가 연결과 파당 내부의 응집력 구축은 모두 시간과 노력, 자원 소요. • 누군가에 의한 의식적 노력 필요: Hub의 구축, 기존 다양한 분야들간 구조적 틈새 발견, 접촉, 창의적 연결, 계속적 향상과 전파 등은 모든 문화예술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의식적 노력을 필요로 하는 공동 프로 젝트. 네트워킹의 필드로서의 영추포럼의 의의.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