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3

평생교육론 4

성인학습 이론. 평생교육론 4. 성인학습 이론. 경험학습 Andragogy 안드라고지 자기주도학습 의식화 이론 (해방적 학습 ) 전환학습 이론. 콜브의 경험학습모형. 구체적 경험. 능동적 실행. 반성적 관찰. 추상적 개념화. 경험학습 (Experiential Learning). 1. 구체적 경험 (Concrete Experience)

marrim
Download Presentation

평생교육론 4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성인학습 이론 평생교육론 4

  2. 성인학습 이론 • 경험학습 • Andragogy 안드라고지 • 자기주도학습 • 의식화 이론 (해방적 학습) • 전환학습 이론

  3. 콜브의 경험학습모형 • 구체적 경험 • 능동적 실행 • 반성적 관찰 • 추상적 개념화

  4. 경험학습 (Experiential Learning) 1. 구체적 경험 (Concrete Experience) 일상생활 속에서 접하는 모든 경험이 학습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을 이해하는 기본적 관점으로 잘 이해되지 않거나 정서적 불편함을 제공하는 경험을 접함으로써 학습이 시작되는 것 2. 반성적 관찰 (Reflective Observation) 이 과정을 통해서 개인은 학습을 촉발한 구체적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는 인지적 성찰활동을 수행하고 의미를 탐색한다.

  5. 경험학습 (Experiential Learning) 3. 추상적 개념화 (Abstract Conceptualizing) 구체적인 경험에 내포되어 있는 근본적이고 추상적인 지식, 원리, 가정을 끄집어 내어 그것을 규정하는 단계. 즉 내적 가공을 통해서 탐색, 추출해 낸 의미와 원리를 학습자가 내적 수준(개념적, 인지적 수준)에서 획득하는 과정 4. 능동적 실행(Active Experimentation) 학습자가 인지적 수준에서 새롭게 획득한 의미와 내용을 기초로 자신의 외현적 행위를 새롭게 함으로써 외부 환경과 사태를 조정 가공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6. Malcolm S. Knowles (1913-1997) Andragogy

  7. 성인 교육학 • Andragogy 그리스어의 성인을 의미하는 andros와 지도하다를 의미하는 agogus • Pedagogy 그리스어의 아동을 의미하는 paidos와 agogus가합쳐진 합성어 • 어른은 어린이와는 다르게 배운다.

  8. 성인교육학 노울즈가 주장하는 성인학습자에대한 5가지 가정 (Knowles’ 5 assumptions of adult learners) • 학습자의 개념 (Concept of the learner) • 학습자의 경험 (Learner’s experience) • 학습의 준비도 (Readiness to learn) • 학습성향 (Orientation to learning) • 학습의 동기 (Motivation to learn)

  9. Assumptions of Andragogy and Pedagogy 자아개념 (Concept of the learner) 자아개념 (Concept of the learner) 타아 의존적 교사가 언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하여 전적인 책임이 있다. 아동은 학습의 결단과 요구의 충족에 있어서 권위자의 지시에 따르려는 의존적인 존재이다. • 자기주도적 • 의존적인 존재 독립적인 존재. 교사는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격려하고 양육한다. • 학습자의 자발적, 능동적 참여

  10. Andragogy & Pedagogy 경험 경험 학습자의경험은 우연한 사건, 외적인 사건,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아동의 자아정체성은 대부분 외적인 자료에 의해 형성된다. 즉 대부분 교사, 교과서 저자, 시청각 자료의 생산자, 그리고 다른 전문가로부터이다. • 경험이 늘어난다. 풍부한 성인의 경험(삶, 교육, 직업, 결혼, 가정, 자녀)은 성인교육에 있어서 학습의 재료이다. 더 나아가서 사람은 수동적으로 습득한 것 보다는 경험으로부터 얻은 학습에 보다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교육에 있어서 우선적인 방법은 경험적 방법 즉 실험실습, 토론, 문제해결 사례 실제 훈련등이다.

  11. Andragogy & Pedagogy 학습준비도 학습준비도 사회(특히 학교)가 배워야 한다고 요구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배울 준비가 되어있지만 실패의 두려움과 같은 압력은 크다. 거의 그 나이에 같은 것들을 배울 준비가 되었다. 그러므로 모든 학습자를 위한 단계별로 구성된 규격화된 교육과정으로 만들어진다. • 알고자 하는 욕구가 있거나 자신의 실생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들을 배울 준비가 되어 있다. 그러므로 교육자는 학습자들이 알고자 하는 욕구를 발견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고 도구와 과정을 만들 책임이 있다. 학습 프로그램은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것과 학습자의 준비 정도에 따른 것으로 구성해야 한다. 즉 자아완성, 능력 및 기술개발, 자기발전 등과 같은 것

  12. Andragogy & Pedagogy 학습 성향 학습성향 학습자들은 교육을 교과중심적으로 보고(subject oriented) 미래를 위한 준비로 배운다. 따라서 교육과정은 교과 중심으로 주제의 논리를 따라서 고대로부터 현대의 역사나 단순한 것에서부터 복잡한 수학이나 과학으로 구성된다. • 학습자들은 교육을 그들의 잠재력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능력을 키우는 과정으로 본다. 오늘 배운 것은 내일 사용 할 수 있기를 원한다. 따라서 학습경험은 능력 발전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것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중심의 교육(problem solving)이며 수행 중심의 교육이다.

  13. Andragogy & Pedagogy 동기 동기 외재적 요소 • 내재적 요소-직무만족, 자아 존중감 증진, 삶의 질 향상

  14. 파울로 프레이리 해방적 학습(Paulo Freire, Emancipatory Learning,1921-1997) • 브라질의 민중교육가 • 1921년 레시페 출생 • 레시페 대학에서 신학, 언어학, 철학 등 수학 • 1963년 글랏트 정부가 추진하던 성인 문해 교육 프로그램 책임자 • 군사 쿠데타로 칠레로 망명 • 미국 하버드대 교수, 스위스 제네바 세계교회협회 교육분과 자문 • 1997 사망

  15. 해방적 학습(Emancipatory Learning) • 해방적 학습은 개인의 생각과 행동, 그리고 존재가치를 규정하는 사회적 규범, 윤리, 문화적 신념 등과 같은 사회문화적 틀을 벗어나 독자적 존재로서 개인의 자기의식을 각성하려는 의도를 내포한 학습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 해방적 관심에 입각한 교육과 학습은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의 인간성의 회복을 최우선의 목적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16. 해방적 학습(Emancipatory Learning) • 은행 예금식 교육 (banking education) • 문제 제기식 교육 (problem posing education)

  17. 은행 예금식 교육 (banking education)

  18. 은행 예금식 교육 (banking education) • 학교교육-사회적 억압과 불평등의 구조를 깨닫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과정 • 교사-학생들이 마땅히 터득해야 할 지식과 기능을 전수하는 역할 • 학습자-교사가 전하는 지식과 기능을 참된 것으로 믿고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존재, 주어진 현실에 적응하는 객체의 상태에 머무르며 자신의 현실에 대한 의식적 자각이 이루어지지 않고 또 그럴 필요성도 요청받지 않는다.

  19. 문제 제기식 교육 (problem posing education) • 억압적인 사회질서 극복의 원리, 방법 • 교사와 학습자 모두가 미완적 존재임 인정 • 학습자의 요구와 상황을 이해하고 그에 따라서 자신이 추구하는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등을 끊임없이 개선해 나간다. • 의식화는 자신들의 상황에 내재되어 있는 문제들을 간파할 수 있는 상태 • 인간성의 회복 또는 해방

  20. 문제제기식 교육과 은행예금식 교육의 논리 의식화 해방/ 주체적 각성 인간성 회복 문제제기식 교육 은행예금식 교육 전 의식 상태 침묵의 문화/ 수동적 객체 비인간화 프락시스

  21. Paulo Freire(후레이리)의 교육관 (1) 인간역사에 있어서 인간화가 끊임없이 부정되었다고 본다. (2) 교육은 사람들을 길들이거나 그들의 압제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다고 보며 중립적이라고 보지 않는다. 세상을 읽을 줄 아는 능력개발 즉 비판의식을 개발해야 한다. (3) 소외 받고 억압되어 있는 자들이 교육의 주체이다. 그들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고 그들만이 비인간화된 현실을 바꿀 수 있다고 본다.

  22. Paulo Freire(후레이리)의 교육관 (4) 비판적 문해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교육방법으로 문제 제기식 교육방법을 발전시켰다. 교사와 학습자 간의 관계가 수평적이며 동반자의 관계이다. 상호존중, 권위주의 지식주의 극복 (5) 프락시스의 균형 잡힌 결합을 강조 (6) 체제 안주적인 교육이 아니라 더 나은 방향으로 세상을 바꾸는데 적극 참여하기를 격려하는 변화지향적 교육.

  23. Freire의 교육에 대한 철학적 배경 • 맑스주의 해방신학 • 진정한 인간의 해방은 하부구조의 개혁만 아니라 상부구조내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본다. 문화, 지식, 이념 속에 숨어 있는 계급의식을 밝혀내고 이들을 변화시키는데 큰 관심을 갖고 있다. • 인간관: 인간의 존엄성, 존경, 주체자, 변혁자. 성경적인 관점의 인간관 추구, 사랑, 믿음, 희망, 그리고 겸손으로 표현된다.

  24. Freire이론의 비평 • 강점: 사람을 존중하고 학습자에 대한 높은 관점을 가지고 있다. 학습자들은 교사로부터 단순히 지식을 주입 받는 대상이 아니고 성찰과 실천을 통해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바라본다. • 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내게 기름을 부으시고 나를 보내사 포로 된 자에게 자유를, 눈 먼 자에게 다시 보게 함을 전파하며 눌린 자를 자유롭게 하고 주의 은혜의 해를 전파하게 하려 하심이라 하였더라 눅4:18-19 • 그리스도인들을 새롭고 신실한 삶의 방식을 가지도록 이끌어준다.

  25. Freire이론의 비평 • 문제점: 지나친 흑백논리의 단순함-지배자와 피지배자, 일관성 없는 시간관-현재와 미래의 실천에 초점 과거에 대해서는 경시, 사람에 대해 너무 낙관적, 상황적 해석학은 성경의 왜곡된 해석으로 이끌었다. 정치적 분석이 성경적 신학보다 우위에 있을 수 있고 성경을 중요한 준거로 보지 않음, 혁명적 전략의 실행-엄청난 저항과 적개심을 부를 수, 복음은 지배자와 피지배자 모두 하나님, 서로 그리고 창조물들과 함께 화해를 부르심

  26. 갈라디아서3:28 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남자나 여자나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

  27. 전환학습 (Transformative Learning) • ‘전환’: 성인학습자가 세상을 인식하고 해석하는 틀, 즉 관점의 전환, 즉 학습자 자신의 행위나 사고를 조정하기 위해서 기존의 경험 해석의 틀을 바탕으로 실행하는 경험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해석 혹은 재해석의 과정-선글라스 • 의미도식(meaning schema): 다양한 일상적 상황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사용하는 습관적 해석의 규칙과 그 내용-예: 어른에게는 존대말 • 의미관점(meaning perspective): 새로운 경험이 기존의 경험과 관련하여 해석되고 재구조화되는 가운데 개입하는 일종의 가정, 신념, 전제의 구조 –명절 때 여성의 역할에 대한 기대

  28. Mezirow의 전환학습이론의 핵심 • 전환학습의 핵심은 성인의 독특한 학습과정이자 성인발달의 특성으로서의 의미 관점의 변화를 강조하는 것 • 첫 번째 변화의 가능성: 의미 도식의 변화가 축적되면서 관점의 변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예, 명절에 주부가 감당해야 할 역할에 대한 생각이 바뀌는 것 • 두 번째 변화의 가능성: 개인의 보편적인 생애주기나 사회적 역할과 관련하였을 때 예상하니 못했던 이례적인 경험을 접하고 그에 대해 기존의 관점이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관점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급진적 형태로 이루어지는 관점의 변화-예, 실직, 이혼, 질병, 가족의 사고 등을 겪게 되면서 개인의 생각이나 삶에 대한 태도가 바뀌는 것

  29. Mezirow의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이론 1) 케노시스(Kenosis, 신성포기)와 학습: 사람들의 삶을 정당화시켜주는 가정적 틀들을 점검하지 않으려고 하거나 못하는 것은 죄성의 본질적인 부분이다. 예수님은 그의 반대자들에게 계속적으로“저희가 보아도 보지 못하며 들어도 듣지 못하며 깨닫지 못하니라” (마13:13)라고 이야기 하신다. 예수님은 이런 사회적, 종교적으로 조건화된 사람들의 가정적 틀(관점, 세계관)들에 도전하셨다.

  30. Mezirow의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이론 배운다는 것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마음 문을 여는 것이다. 학습은 하나님이 그리스도인들에게 열어주시는 새로운 무엇인가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들에 대해 실험해보고, 모험해보고, 도전해 보는 것을 의미한다.

  31. Mezirow의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이론 2) 전환학습을 위한 교육 a. 사람들이 항상 맞을 것이라고 가정한 것과 경험한 것, 들은 것, 읽은 것 사이에서의 불일치에 노출시키는 것을 활성화 하는 사건 b. 가정들을 명료하게 표현하는 것, 즉 지금까지 무비판적으로 동화되어 왔고 대부분 비의식적으로 깔려 있는 가정들을 인식하는 것 c. 비판적 자아성찰 즉 가정들에 대해 질문하고 조사하는 것(어디로부터 왔고 이것들을 갖고 있음으로 오는 결과들 그리고 왜 그것들이 중요한 것인지)

  32. Mezirow의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이론 d. 대안적인 관점들에 열려있는 것. e. 증거들이 검토되고 논쟁들이 평가되고 대안적인 관점들이 참고되고 지식이 동의에 의해 만들어지는 대화에 참여하는 것. f. 좀 더 열려 있고 더욱 효과적으로 정당화하기 위하여 가정들과 관점들을 수정하는 것. g. 전환된 가정들이나 관점들과 일치하는 방식 하에서 수정된 것들에 대해 행동하고 이야기하고 생각하는 것

  33. Mezirow의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이론 3) 전환학습을 위한 교수전략 (1) 활성화시키는 사건 만들기: ‘만일 이것을 다른 관점에서 보면 어떨까?’, ‘이 같은 관점에 내재되어 있는 가정들은 무엇인가?’ ‘우리가 보편적이고 일반적이라고 간주 해 온 것들의 이면에 깔려 있는 것들이 있지 않을까?’ (2) 가정들을 표현하고 명료화시키는 것 : ‘지능이 나이가 들면서 감퇴한다고 믿는가?’, ‘그럼 지능이란 무엇인가?’, 너의 견해는 너의 경험으로부터인가 혹은 당신이 아는 누군가의 경험으로부터인가?

  34. Mezirow의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이론 (3) 비판적 자아성찰 ‘가장 최악의 교수경험이나 직장상사와의 가장 좋았던 상호작용’ 등을 기억해 보라고 시킨다. 그들은 그 사건들에서 ‘무엇이 발생했고 누가 관여되어 있으며 무엇이 가장 좋고 나쁜 경험으로 만들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것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었을 것인지 기술한다. 그 사건들의 분석은 주로 소 그룹이나 전체 반으로 이루어지며 참가자들이 그들의 가정을 조사하게 도와주고 성찰을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35. Mezirow의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이론 (4) 대안들에 개방적이 되게 하는 것 역할극은 학습자들에게 그들의 관점을 포기하지 않고 대안적 관점을 시도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별히 유용하다. 비판적 논쟁은 논쟁적인 주제가 선정되고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것과 반대되는 것을 가지고 학습자들은 그들의 견해를 확인하고 그들의 것과 반대되는 입장을 취하면서 그 주제에 대하여 논쟁한다.

  36. Mezirow의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이론 (7) 수정된 관점을 통한 실천 학습자들이 그들의 가정을 전환할 때 대안책과 새로운 방식의 생각에 눈을 열 때 교수에서 그것은 신비로운 순간이다. 교육가들은 사용하는 모든 전략에서 균형잡힌 도전, 지원, 학습자 역량강화 등을 제공해야 한다.

  37. 다윗의 전환학습 실천 사례및현대판 다윗과 골리앗 • 첫째 다윗은 새로운 싸움 기술을 적극 사용했다. 다윗은 칼로 싸우는 기존 방식이 아니라 '투석'이라는 싸움 기술을 활용하였다. • 코닥·아그파 등이 세계 필름시장을 장악하고 있던 시절에, 후발주자는 필름의 성능을 개선하는 연속적인 연구개발이 아니라, 디지털카메라로 필름을 퇴출시킨 것이 와해성 기술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38. 다윗의 전환학습 실천 사례및현대판 다윗과 골리앗 • 둘째, 다윗은 싸움의 규칙을 바꿔 버렸다. 고대의 일대일 싸움에서는 근접해서 몸을 부딪치는 백병전이 일반적이었다. • 최근 한국이 반도체·디스플레이·정보통신 기기 등 세트(완제품) 산업에서 일본을 압도하자 일본은 수익성이 낮은 세트 조립품 대신에 세트에 들어가는 소재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 일본은 산업 경쟁의 룰을 조립기술에서 소재기술로 바꿔버렸다. 그 결과 우리나라가 일본에 의존하는 소재 물량이 연간 200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39. 다윗의 전환학습 실천 사례및현대판 다윗과 골리앗 • 셋째, 다윗은 골리앗의 노출된 빈틈을 노렸다. 골리앗은 창이나 칼로 가해질 일격에 대비해 몸통·다리·팔·무릎까지 보호하는 청동 갑옷을 입고 있었다. 이 정도면 웬만한 총알도 막을 수 있는 방탄복 수준이었을 것이다. • 수년 전 몇몇 대기업이 국내 냉장고 시장을 장악하고 있던 시절, 한 냉장고 후발기업이 '김치냉장고'라는 제품으로 냉장고 틈새시장을 파고들었다. 결과적으로 김치냉장고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일반 냉장고와 마찬가지로 집집마다 김치냉장고를 사들이게 하였다. 이처럼 선두주자가 간과하고 있는 틈새 영역에 집중하는 과학기술 혁신 전략은 효과가 높다.

  40. 비판 이론의 공헌과 성인학습 • 자본주의 사회에서 잠식되어 가는 개인의 자율성과 권리를 지켜내고 민주성의 가치를 확산하는 수단으로서 평생교육의 의의를 부각하는 데 튼실한 버팀목의 역할 •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억눌리는 개인들을 의식화하고 이들의 실천을 촉발함으로 정의의 원리가 존중되는 사회개혁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헤게모니를 바꿀 수 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