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3

東醫寶鑑

東醫寶鑑. 2014 Tel:02-584-3489 mobile: 010-8276-6213. http :// www.kcontent.co.kr. Contents. 1. 동의보감소개. 2. 동의보감 WEB 버전의 특징 및 장점. 3. 동의보감 일러두기. 4. 동의보감 이용방법 예시. 5. 가격표. 1. 東醫寶鑑 소개. 東醫寶鑑이란. 東醫寶鑑의 특징.

Download Presentation

東醫寶鑑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東醫寶鑑 2014 Tel:02-584-3489 mobile: 010-8276-6213 http://www.kcontent.co.kr

  2. Contents 1. 동의보감소개 2. 동의보감 WEB버전의 특징 및 장점 3. 동의보감 일러두기 4. 동의보감 이용방법 예시 5. 가격표

  3. 1. 東醫寶鑑 소개 東醫寶鑑이란 東醫寶鑑의 특징 우리 민족의 위대한 한의학 백과전서 동의보감은 조선 중기의 이의 허준 선생이 1596년(선조 29년)에 왕명을 받아 어의 정작, 이명원, 양레수, 김응탁, 정예남 등과 함께 찬집하였는데, 정유재란으로 일시 중단되었다가 그 뒤 계속되어 1610년에 마침내 완성한 방대한 의학백과사전으로서 당시까지의 국내외의 한의학 발전 자료들 뿐만 아니라 의학, 약학, 생물학, 철학적 내용까지도 풍부하게 수록하고 있다. • 2009년 유네스코( UNESCO) 세계기록유산 등재 • 한의학 연구의 필수 고전 – 역대 고금의서 약 180여종을 참고하여 요체를 정리 • 민족 문화 이해를 위한 지식의 보고 – 중국의학과 구별되는 자주의학으로 독자적인 의학의 전통 • 대체의학 연구를 위한 필수자료 - 미 존스홉킨스 의과대학병원의 경우 한국 경희대학교 한방병원과 교류를 통해 한방을 결합한 대체의학연구를 진행 • 현대의학 연구를 위한 동식물 및 처방 자료 - 한의약 세계화 는 새 정부의 140개 국정과제 중 하나

  4. 2. 東醫寶鑑 WEB버전의 특징 東醫寶鑑 WEB버전의 특징 • 한문 , 원본, 번역본 모두 수록하여 서로 대조 • 전문(全文) 검색 기능 • 연관어 검색을 통해 현대 어휘로 고전 문헌 검색 가능 • 유니코드에 의한 한자 표현 • 5개편, 112개장, 3,543개 중항목, 7,401개 소항목을Tree 구조로 체계화 • 병명, 약재, 처방, 원주, 법제, 원어 등을 시각화함으로써 체계적인 접근 • 현대 우리말 번역

  5. 2. 東醫寶鑑 WEB버전의 특징 기존 번역과의 차이

  6. 2. 東醫寶鑑 WEB버전의 특징 CD-ROM과의 차이

  7. 3. 東醫寶鑑 일러두기 일러두기 * 구성 1. 동의보감의 구성체계에 맞추어 6개편, 112개장, 3,534개 중항목, 7,401개 소 항목으로 나누었다. 2. 원문, 번역문, 원본을 서로 대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연관검색 1. 한의학 고전의 내용적 특성에 맞추어 검색어와 연관된 단어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예컨대 “천초”를 검색하면 川椒, 꼭두서니, 조피, 조피열매 등의 연관검색어를, “감기”를 검색하면 感氣, 疳氣, 상한, 패독산, 설리고, 풍한열, 외감내상 등의 연관검색를 보여준다. 3. 연관검색어를 이용하면 동의보감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8. 3. 東醫寶鑑 일러두기 일러두기 • * 본문표시방법 • 약재이름 • 당귀(當歸) • 처방이름 • 薑墨丸 • 병명 • 五色痢 • 법제 • 枳殼麩炒 • 원주 및 보충적 설명 • 六君子湯方見痰飮 • ※ 원문에는 모든 본문에 표시하여 이해를 도왔으며, 번역문에서는  주로 처방 및 약재를 설명하는 본문에 표시하였다.

  9. 3. 東醫寶鑑 일러두기 일러두기 * 주해 1. 역주는 내용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설명이 필요한 부분을 골라서 실었다. 역주는 여강출판사 동의보감을 참조하였다. 2. 약재 이름은 『전통동양약물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약재의 현대적 학명과 기원을 주석으로 달아주었다. * 도량형 1. 처방의 경우 용량의 ‘냥’, ‘푼’, ‘리’의 단위를 현대 감각에 맞게 ‘g’ 단위로 환산했다. 1돈은 4g, 1근은 600g으로 기준하여 ‘냥’, ‘푼’, ‘리’ 등을 ‘g’으로 고쳤다. 약용량이 정수로 끝났을 때에는 소수점 아래를 두지 않았다. 2. ‘자, 치, 촌, 잔, 홉, 되, 말’ 등으로 표시된 도량형 단위는 그대로 두었다. 3. 검실대, 탄자대, 오자대 등 알약의 크기를 표시한 것은 도량형 단위로 고치지 않고 검실만하게, 달결 노른자위만하게, 벽오동씨만하게 등의 우리말로 풀어 썼다.

  10. 4. 東醫寶鑑 이용방법 예시 이용방법-초기화면 및 목차

  11. 4. 東醫寶鑑 이용방법 예시 이용방법-검색

  12. 4. 東醫寶鑑 이용방법 예시 이용방법-본문 레이아웃

  13. 4. 東醫寶鑑 이용방법 예시 이용방법-주석 및 참고사항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