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6

3 장 . 페도라 리눅스 설치

3 장 . 페도라 리눅스 설치. 페도라 리눅스를 설치한다 . 기본설치 외에 고급 설치 기법을 알아본다. 3 장 . 페도라 리눅스 설치. “ 페도라 서버 ” 설치 실습 Fedora Core 4 설치 CD 1 번 삽입 Vmware 에 설치시 ISO 파일 이용을 권장 부팅 초기화면에서 “ Enter ” 키 텍스트모드로 설치하려면 “ linux text ” 입력 CD 체크화면에서 “ Skip ” 선택 설치중에 오류발생시 CD 체크를 수행해 볼 것 그래픽모드의 환영메시지

Download Presentation

3 장 . 페도라 리눅스 설치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페도라 리눅스를 설치한다. 기본설치 외에 고급 설치 기법을 알아본다.

  2.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페도라 서버” 설치 실습 • Fedora Core 4 설치 CD 1번 삽입 • Vmware 에 설치시 ISO 파일 이용을 권장 • 부팅 초기화면에서 “Enter”키 • 텍스트모드로 설치하려면 “linux text”입력 • CD 체크화면에서 “Skip”선택 • 설치중에 오류발생시 CD체크를 수행해 볼 것 • 그래픽모드의 환영메시지 • 설치언어는 “Korean(한국어)”선택 • 이제부터는 메시지가 한국어로 나옴 • 키보드는 “U.S. 영어” 선택 • 별도의 한국어 키보드는 없음 • 설치유형은 “Workstation”선택 • 디스크 파티션 분할 설정에서 “Disk Druid를 이용한 수동파티션 설정”을 선택 • 스왑파티션  1GB (1024 MB) • / 파티션  나머지 전부 (약 7GB)

  3.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페도라 서버” 설치 실습 (계속 …) • 부트로더는 “GRUB”선택 • 네트워크 설정은 수동으로 입력 • Vmware 에 설치시에 • IP : 192.168.xxx.100 • 넷마스크 : 255.255.255.0 • 게이트웨이 : 192.168.xxx.2 • DNS : 192.168.xxx.2 또는 공인된 DNS 서버 주소 • 방화벽 설정에서 “SELinux”는 “사용하지 않음”으로 체크 (주의) • 시간대는 “아시아/서울” 선택 • 루트 암호 설정  소문자 “password”로 입력 (권장)

  4.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페도라 서버” 설치 실습 (계속 …) • 패키지 설치 기본에서 “기본 소프트웨어 패키지 설치” 선택 • 설치 시작 • 설치 중에 CD를 바꿔주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해당 CD로 교체 ------------------------------------- • 설치 종료 후에 재부팅 되며, 환영메시지 나옴 • 라이센스에 동의 • 날짜와 시간 확인 • 화면 해상도 설정 • 모니터를 “Samsung SyncMaster 4S”로 선택하면 대부분의 모니터가 잘 지원됨 • 일반사용자 추가화면에서 “fedora”이름의 사용자 추가 (생략해도 됨) • 로그인 화면에서 “root”또는 “fedora”로 로그인 • 시스템을 종료하려면, 화면 왼쪽 상단의 [데스크탑] >> [로그아웃] >> “컴퓨터 끄기”를 선택

  5.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Vmware Tools 설치 • Vmware 상에 페도라 설치 후에, Vmware메뉴의 [VM] >> [Install Vmware Tools]를 선택 • VmwareTools-5.0.0-xxxxx.i386.rpm 파일을 설치 • Vmware의 Suspend 기능 • “잠깐 멈춤” 기능 • Vmware의 Snapshot 기능 • 현재의 OS환경을 저장해 놓는 기능 • 추후에 필요시 지정해 놓은 Snapshot으로 되돌릴수 있음 • Fedora를 설치하고 부팅한 후에 “설치직후(부팅)”이라는 이름으로 Snapshot을 저장해 놓을 것  추후 실습에서 계속 사용됨 • Vmware 5.0 이후부터는 Multi-Snapshot 지원

  6.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페도라 클라이언트” 설치 • “페도라 서버”와 동일하게 설치하되 • Memory는 96MB • HDD는 IDE 4GB • 디스크 파티션은 “자동 파티션 분할” 선택 • IP주소는 192.168.xxx.201 로 입력 • 설치유형은 “개인용 데스크탑”으로 선택 • “페도라 서버B”설치 • “페도라 서버”와 동일하게 설치하되 • Memory는 64MB • HDD는 IDE 8GB • 디스크 파티션은 “자동 파티션 분할” 선택 • IP주소는 192.168.xxx.200 으로 입력 • 설치유형은 “워크스테이션”으로 선택 • “패키지 기본 설치”에서 “설치할 소프트웨어 패키지 사용자 설정하기”를 선택해서 X윈도우 및 관련 툴은 설치하지 않음

  7.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윈도우즈 클라이언트” 설치 • Memory는 64MB • HDD는 IDE 4GB • Windows XP 또는 2000 을 설치

  8.  클라이언트 PC 준비 부팅디스켓 또는 1번CD로 부팅  설치할 파일을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자동 설치됨 웹서버 준비 하드디스크에 페도라CD 복사   를 반복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고급설치1>100대에 PC에 동시 설치 (웹서버 이용)

  9.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아파치 웹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설치 실습 • 호스트OS 또는 윈도우즈PC • 윈도우즈용 아파치를 http://www.apache.org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 • 1번~4번 CD에 있는 “Fedora”디렉토리를 통째로 아파치 홈 디렉토리에 복사 (C:\Program Files\Apache Group\Apache2\htdocs\Fedora\) • Windows XP SP2 또는 Windows 2003 SP1 에서는 방화벽 기능을 Off 해야 함. • 페도라를 설치할 PC • CD1번 또는 디스켓을 넣고 부팅 • “linux askmethod”를 입력하여 설치 진행 • 설치방법을 선택하는 창에서 “HTTP”선택 • 현 PC의 IP정보 입력 • 웹서버의 IP주소 입력 및 Fedora 디렉토리는 “/”로 입력 • 설치 진행 (그래픽 모드 또는 텍스트 모드) 주의 : 네트워크 설치시에는 RAM이 200MB 이상이어야만 한글모드에서 그래픽 설치가 지원된다.

  10. RAID 1 안녕하세요? 페도라입니다 안녕하세요? 페도라입니다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고급설치2> RAID1에 페도라 설치 • RAID1의 개념  자세한 사항은 6장에서 소개

  11.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RAID1에 페도라 설치 • 위 그림과 같이 3개의 하드디스크가 장착된 PC 준비 (Vmware 활용) • 페도라서버와 동일하게 설치 진행

  12. “/”파티션 (실제사용량 4GB) Primary-Master IDE 0:0 hda Primary-Slave IDE 0:1 hdb Secondary-Slave IDE 1:1 hdd /boot RAID1 (동일한 내용) swap 4GB 4GB 1 GB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RAID1에 페도라 설치 (계속 …) • 디스크 파티션 분할 설정 부분에서 “Disk Druid를 통한 수동 파티션 설정” 선택 • 교재의 부록을 참조해서 아래 그림과 같이 파티션 설정

  13.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RAID1에 페도라 설치 (계속 …) • 최종으로 완성된 파티션 • 나머지 설치과정은 “페도라 서버”와 동일함

  14. “/”파티션 (실제사용량 4GB) Primary-Master IDE 0:0 hda Primary-Slave IDE 0:1 hdb Secondary-Slave IDE 1:1 hdd /boot RAID1 (동일한 내용) swap 4GB 4GB 1 GB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RAID1에 페도라 설치 (계속 …) • 1개의 하드디스크가 고장나도 아무런 이상 없음

  15.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페도라 기본 설치 (그래픽모드) • 페도라 네트워크 설치 (텍스트모드) • 페도라를 RAID1에 설치 정 리

  16.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 현재까지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Redhat 9 설치 • RAID5에 페도라 설치 • 동일한 하드디스크 3개 이상필요 • Vmware 사용시 SCSI하드디스크를 활용하면 됨 • 실무에서 리눅스파티션을 나누는 사례를 조사 추가 학습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