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9

NFS & FTP

NFS & FTP. 2014 Wheel Seminar I’m EGG. 이 세미나에서는 무엇을 다루나요 ?. 이 세미나에서는 무엇을 다루나요 ?. NFS 가 무엇이고 어떻게 쓰나요 ? FTP 가 무엇이고 어떻게 쓰나요 ?. Special Thanks to Suckzoo ( 휠장 ), Naldo , Whitegold Wiki pedia God Google. 센 - 빠이 !. NFS 가 뭐임 ?. NFS: N etwork F ile S ystem. NFS: 네 트워크 파 일 시 스템.

mora
Download Presentation

NFS & FTP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NFS & FTP 2014 WheelSeminar I’m EGG

  2. 이 세미나에서는 무엇을 다루나요?

  3. 이 세미나에서는 무엇을 다루나요? NFS가 무엇이고 어떻게 쓰나요? FTP가 무엇이고 어떻게 쓰나요?

  4. Special Thanks to Suckzoo(휠장), Naldo, WhitegoldWikipediaGod Google 센-빠이!

  5. NFS가 뭐임?

  6. NFS:Network File System

  7. NFS: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8. NFS:Server/Client 기반 원격 파일 접근 프로토콜

  9. NFS:1984 Sun 개발

  10. NFS :서버에서 공유한 디렉토리를마운트해서,자기 것처럼 사용한다

  11. Mount(마운트) :파일시스템 구조 내에 있는 일련의 파일들을 사용자나 사용자 그룹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

  12. NFS :UNIX system에서 주로 이용

  13. NFS :RPC기반!

  14. NFS :RemoteProcedureCall 기반!

  15. RPC :원격 프로시저 호출

  16. RPC :프로그램이 다른 주소 공간에서 원격 제어를 위한 프로그래머의 세사한 코딩 없이 함수나 프로시저의 실행을 허용하는 기술

  17. Portmap(Port mapper):RPC 서비스에 이용되는 동적 포트 할당 기능

  18. 준비물 설치:sudo apt-get install nfs-commonnfs-kernel-serverportmap

  19. 서버설정부터 ㄱㄱ

  20. /etc/exports/NFS Server에서 공유할 디렉토리, 디렉토리별 옵션 설정하는 파일

  21. /etc/exports/[share-dir] [client] (option)[share-dir] : 공유 디렉토리의 절대경로[client] : 공유 허가할 호스트 목록(host, domain, ip)

  22. /etc/exports option • ro(Read Only) – 읽기전용 • rw(Read Write) – 읽쓰 • no_root_squash – client의 root가 NFS에서도 root • root_squash – client의 root는 없는 놈(nfsnobody)취급 • secure – client의 지정 포트 사용 • insecure – 모든 포트 허가 • sync – client가 파일 시스템 변경 할 때 즉시 동기화

  23. /etc/exports/ 기분좋은예시/srv/homes/ hostname1(rw,sync,no_subtree_check) hostname2(ro,sync,no_subtree_check)

  24. 공유할 디렉토리에 권한을 안주면 큰일남chmod –R ugo+rwx [directory]

  25. RPC 확인법rpcinfo -p

  26. rpcinfo –pnfs : NFS 서비스 관련portmap : RPC 연결 관련nlockmgr : 파일 잠금, 동시 수정 방지기능

  27. Clientㄱㄱ

  28. 마운트mount –t nfs [host]:[share dir] [mount dir]

  29. /etc/fstab/마운트를 영구적으로 하자설정파일을 바꿔버림

  30. /etc/fstab/Hostname:[share-dir] [mount-dir] nfs [option] [dump] [system_checking]

  31. /etc/fstab/192.168.0.2:/data  /nfsnfsbg,soft,rw 0 0

  32. showmountshowmount [server] : NFS로 접속한 서버 조회showmount –e [server] : NFS 공유 가능 디렉토리조회

  33. unmount [dir]

  34. NFS 마무으리

  35. FTP가 뭐임?

  36. File Transfer Protocol

  37. File Transfer ProtocolTCP/IP Protocol을 이용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 전송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

  38. FTP의종류

  39. FTP의종류 -> 두가지

  40. Anonymous FTPFull Service FTP

  41. Anonymous FTP계정이 없어도 누구나 접속 가능(공개)Full Service FTP미리 발급된 계정이 있어야 함(비공개)

  42. FTP의데이터 연결방법도 -> 두가지

  43. ActivePassive

  44. Active Mode

  45. 갓썩주 Server Client 5151로 쏴줘 오키 ㄱㄱ 오키 20 21 5151

  46. Passive Mode

  47. 갓썩주 Server Client 패시브 할거임 오키3267 포트 씀 3267 열었음 ㄱ 오키 3267 21 5151

  48. Active VS Passive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