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7

2002. 1

SI trend in 2002. 2002. 1. 현대정보기술 노 형 준 Hjrho@shinbiro.com 019-360-0906. 144.4. US$ billion. 22.6. 13.4. 7.1. 2000. 2001. 2005. 1999. Data Resourced from KIEC. Worldwide trend. I . Worldwide trend Growth of e-Commerce. ( during 1 st Q of 2001). B2C (2.1%, 0.4 bil. USD).

nikki
Download Presentation

2002. 1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SI trend in 2002 2002. 1 현대정보기술 노 형 준 Hjrho@shinbiro.com 019-360-0906

  2. 144.4 US$ billion 22.6 13.4 7.1 2000 2001 2005 1999 Data Resourced from KIEC Worldwide trend I . Worldwide trend • Growth of e-Commerce

  3. (during 1st Q of 2001) B2C (2.1%, 0.4 bil. USD) G2B (3.7%, 0.7 bil. USD) B2B (93.6%, 17.5 bil. USD) Data Resourced from KNSO Worldwide trend B2C e-Commerce • The most rapidly growing business models in B2C Area • Cyber stock trading, Internet bidding and retail e-commerce. • Notably, cyber trading constitutes 69.3% of the total stock trading volume as of September 2001 • Major Items traded in Internet Shops • Computers and Accessories (23.7%), Electronics(20.4%), Travel and Reservation Service(8.2%), Home Products(8.0%), Books(5.8%)

  4. E-business Ratio 10% 6 Major Industries (Auto, Electronics, Shipbuilding, Steel, Machinery, Textile) Others 6% 5% 4% 3.5% 2.5% 2% Korea US Korea US Worldwide trend B2B e-Commerce • Korean Companies’ Interest in B2B e-Commerce has explosively expanded in 2000 • B2B e-Commerce ratio is about 3 % in Korea

  5. Domestic trend II. Domestic trend • Well-developed Infrastructure • broadband network with fiber optics: 144 areas (End-2000) • Nationwide High-Speed Information Network: by 2005 • Subscribers of Broadband Internet Services (Sept-2001) • More than 7 million Subscribers * Reuters: ... the leading country for broadband Internet connections, according to an OECD report. …South Korea is well ahead of Canada and the United States...the 4.3 million broadband connections in South Korea were the result of fierce competition between providers of cable Internet and DSL, a technology for turning ordinary telephone lines into broadband pipes (4/23/2001)

  6. Connection Charge, USD User/ Population (%) Domestic trend Broadband Internet Users(1) & Connection Charge(2) • NetValue statistics, Aug~Nov. 2000 • 20 Hours/week, KRNIC, Dec. 2000

  7. Domestic trend • Number of Mobile-phone Internet Users (End-2000) • 15.8 million persons • Mobile-phone users: 26.6 million persons • Favorable Legal Framework • In Feb. 1999, ‘The Basic Act on e-Commerce’, ‘The Electronic Signature Act were established • At least one year earlier than any other countries

  8. Domestic trend Government Policies • On Feb. 15, 2000, President Kim Dae-jung issued “Comprehensive Policies for e-Commerce Development” • 40 action programs, including enhancing consumerconfidence, expanding infrastructure, etc. • Committee on Electronic Commerce Policy • On Apr. 27, 2001, “e-Business Initiative in Korea” wasannounced • Upgrading comprehensive policies for e-commerce By grafting world-class IT infrastructure on the traditional industries, e-transformation will be boosted to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within 3 years

  9. 1996-1997 1998 1999 2000 b2c 태동 2001-2002 b2c 개념도입 B2b 등장 및 성장 • 컨텐츠유료화 성숙 • mCommerce초기진입 • eMP 필요성부각 • eiP시장 지속 성장 • eCRM필요성 인식 Cyber Expo ‘98 삼성몰출현 B2c가능성 Portal출현 표준화 필요성 제기 b2c 개발 붐 b2b 출현 b2c급성장 (커머스위주) b2b eMP출현 B2b 원년 Portal Renewal IMF도래 eCommerce Solution 등장 Venture 급성장 Domestic trend 국내 e-business 연혁

  10. Domestic trend e-Business Barriers in Korea • Lack of Collaboration among Corporations • In case of US automakers : Covisint.com • Limited e-Business Resources • Rare Success story • Financial Resources • e-Biz Manpower • Unsound Business Practices, Lack of Innovative mind • Underdeveloped e-Biz enabler : Standardization, e-Payment

  11. e-Portal Strategy Planning & 구축 IT Infra Strategy Planning & 구축 Marketing 및 CRM 강화 ERP의 도입 Solution 프로젝트 / EAI 솔루션 ISP / BPR의 확산 e-Transformation / OCM 기업 내 Marketplace 해외 SI 프로젝트 진출 Major Issues in 2002 2002년 SI 주요 현안 ※ 1999 ~ 2001년까지의 e-Business의 열풍에 의해 주춤했던 IT 기반의 사업이 활발히 전개됨 ※ 국내 및 해외경기의 회복세에 힘입어 IT 투자가 확대됨

  12. e-Portal Strategy Planning & 구축 Major Issues in 2002 Hub Portal Customers Back Office Systems Electronic Storefront • Front분야는 Community형성을 통한 고객확보가 관건 • 확보된 고객의 Retain과 Order율 향상이 성패를 좌우 On/Off Line을 망라하는매개체 필요

  13. Major Issues in 2002 현재 기업 포털은 Cost Center로서 이것을 Profit Center로 변환하는 것이 주된 관점이 되고 있다. 특히 금융,유통,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변화가 예상된다. Ex) 정통부 금융포털 - 예금/보험 비즈니스 통합 - 상품 및 서비스 구조 개선을 통한 고객 서비스 강화 - 마케팅 경쟁력 강화 - 고효율 영업채널 확보- 투자효과 극대화 * 전자상거래의 표준은 EDI와 함께 ebXML이 유력함; 1999.11 UN/CEFACT,OASIS(IBM,SUN,HP,Fujitsu,ORACLE) • 영업조직의 체계화 • 지식의 개인화 탈피 • 전사적인 지식 관리의 기초 마련 조직적 측면 업무적 측면 고객적 측면 • 전자처리로 작업 시간 절약 • 체계적인 통합고객 관리 • 최소의 조직으로 최대효과 성취 • 예금,보험 통합 서비스 제공 • 내부고객 영업지원 서비스 • 실시간 인터넷상의 정보 조회가능 투자비용적 측면 • 프로세스 개선에 따른 시간 및 인력비용 절감 • ISP 추진으로 실천 가능한 계획을 수립하므로 중복투자 위험 제거 • 관련부서의 시너지효과 기대

  14. IT Infra Strategy Planning & 구축 Major Issues in 2002 • 뉴욕 테러사태 이후 IT Infra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 • 정부기관 : GDC 설치 예정(백업센터 및 통합 데이터 베이스 구축) • 금융감독원은 금융기관에 대하여 DRS (재해복구시스템)에 대한 대책과 • IT Process 및 조직관리에 대하여 대책을 마련할 것을 권고 하고 있다. • 따라서,고객 정보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각 금융기관 및 서비스,유통기관은 아래의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 IT Infra Blue Print • DRS(Backup Center) • IT Process Modeling • *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

  15. Marketing 및 CRM 강화 CRM 적합성 테스트 환경분석 (3C분석) 시장분석 고객분석 CRM전략 방향 설정 고객에 대한 오퍼 결정 개인화 설계 커뮤니케이션 설계 CRM실행 및 지속적 평가/보완 CRM시스템 구축 • 목표고객에게 어떤 상품/부가적 혜택을 제공할 것인가? • CRM 오퍼는 어떤 시점에서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 고객별로 어떻게 차별화 할 것인가? • 고객별로 어떻게 커뮤니케이션 할 것인가? • 고객에 대한 CRM의 오퍼, 개인화 및 커뮤니케이션 계획은 적합한가? • CRM전략을 구체화 하기위해 어떤 시스템이 필요한가? • CRM은 1회성 활동이 아니라 마케팅 혹은 경영활동 자체라 할 수 있음 • CRM을 통해 얻고자 하는 효과가 무엇인가? • 누가 우리의 핵심고객, 목표고객인가? • 고객의 어떤 행동을 유도함으로써 수익을 확대할 것인가? • CRM을 통해 얻고자 하는 기대효과가 무엇인가? • 기대효과 달성을 위해 필요한 핵심활동은 무엇인가? Major Issues in 2002 불경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으로써 마케팅에 대한 집중은 당연하다. 기업은 이를 위해, • 분석CRM : 기존 DW/OLAP의 심화 • 마케팅 프로세스의 정립을 위한 BPR 및CRM 체계 정립(CRM Strategy Planning) • CRM Package 도입 (Siebel,SAP-CRM 등) • 운영CRM : Sales Promotion 의 강화

  16. Major Issues in 2002 • CRM에 대한 관심이 폭발하면서 주요 IT벤더들이 CRM 시장 선점을 위한 마케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글로벌 리더들의 대다수가 CRM을 이미 도입하거나 도입 추진중인 상태에 있다. IT시장조사 전문기관인 AMR리서치에 의하면 세계 CRM시장은 연평균 46%로 성장하여 2003년에는 약 168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이러한 고속성장 시나리오를 뒷받침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전산업분야에 일고 있는 ‘Customer centricity’의 수용과 웹기반 CRM에 대한 관심고조, 그리고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 및 차별화 방안모색 등이 있다. • CRM시장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지배적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고속성장에는 몇가지 장애요소가 있다. 특히, 경제상황의 악화에 따른 IT투자 축소가 올해 CRM시장 확산의 주요 걸림돌이 될 것이다. • CRM시장이 이처럼 여러 변수를 갖고 있지만, 선도기업들이 CRM을 전략적 관점에서 수용하고 있고 이러한 추세가 다수 성공사례를 만들면서 시장확산의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된다. (Source: KRG 보고서)

  17. ERP의 도입 Major Issues in 2002 2001년에는 제일제당,한화,효성 등 2진 그룹사 중심으로 전개)가 되었다면, 2002년에는 - 국영기업체(한수원,KT물류,가스공사,담배인삼공사 등) - 중견기업(동서식품, 하이트맥주, 유한양행, 현대백화점, 방송사 등) - 제조업(현대자동차, 모비스-부품유통, 인천제철-철강업체 등) 삼성,LG 현대, SK 등 그룹사 위주 정부기관 중견기업 삼성전자 중소기업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 1995 1999 2002 2005

  18. Solution 프로젝트 / EAI 솔루션 Major Issues in 2002 • 기존ERP를 완성한 기업에서 확장ERP를 도입할 예정임. • CRM • SEM : ABC – 대학병원 등 BSC – 제조업체 위주 BW – XERP와의 연계를 위한 기반 • SCM • HRM/OCM ※ EAI 솔루션 기존 시스템과 ERP/Solution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Package to Package보다는 효과적으로 링크가 되는 EAI 도입이 필수적인 입장으로 예견된다.

  19. ISP / BPR의 확산 Major Issues in 2002 • ISP는 3가지 유형으로 전개 • 전통적 기법 : Navigator,Method/1,IE • Issues Driven 기법 : ERP,CRM,SCM을 통합하기 위한 모델 • e-Transformation 기법 : ISP,BPR,ERP,OCM을 통합 • 90년대 초반에 유행했던 BPR은 주로 기업의 15개 내외의 핵심프로세스중 중요한 2~3개의 • 프로세스를 개선하는데 중점을 둔 것에 반하여, 2002년에 예상되는 BPR은 • 기업 전체의 프로세스 자동화를 목표로 한다. • 95%의 프로세스를 컴퓨터가 수행하고5%의 예외관리를 사람이 한다. • ERP가 적용되기 어려운 금융,유통,서비스 분야에 적용 된다. • BPR의 범위가BNR (Network),BSR (Scope)등에 까지 확산 된다. • 고객 및 협력사의 Value Chain을 통합한 Digital Value Chain의 재설계. * BPM (Business Process Management) – eBiz의 프로세스 표준화 • * BPMI-BPM을 위한 협회(한국에서는 핸디소프트가 유일하게 가입)

  20. e-Transformation / OCM Major Issues in 2002 e-Transformation OCM(조직변화관리) • 오프라인 기업의 온라인화를 위한 • 전사적인 변화관리 체계의 도입 • - 경영전략 • 정보전략 • BPR • ERP도입 • 솔루션 도입 • IT Infra • 변화관리 • 전반적인 사업 변형을 위한 프레임웍으로써의 • e-Transformation이 중요하다. E-Biz을 지향한 기업 변화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전반적인 디지털 경영혁신을 위하여 조직구조와 인적자원, 기업문화의 변화를 기획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변화관리의 주된 요소는 전직원의 교육에서 출발 미국.유럽 등에서는 기업들이 변화관리 프로그램 채택

  21. Major Issues in 2002 • Large companies are accelerating their e-Transformation • Investment in e-Business (200 Major Companies) • (2000) 2 billion USD (2001) 2.5 billion USD (25% Increase) • E-Transformation cases • Samsung Electronics : 85% of parts procured through Internet • POSCO : launched PI(Process Innovation) in June. 2001, 95% procured electronically

  22. 기업 내 Marketplace Major Issues in 2002 정부주도 및 산업전반에 B2B에 대한 인식의 확산이 가속화 인터넷 전자입찰,구매시스템,공동물류체계구축 업종별 Marketplace 구축 (산자부) 업종별 표준화 및 공용DB구축 공공부문의 e-Biz 조기도입 산업부문 B2B 시범사업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 정보화 격차해소 전자상거래 촉진 국가산업기반 경쟁력 확보 디지털 산업단지 구축 지역 ASP 센터 확산 중소기업ASP 시범사업(정통부) / 디지털 산업단지 조성사업 (중기청) 지역 ASP 센터 구축 (중소기업 ERP 서비스) 1만개 중소기업 정보화

  23. Major Issues in 2002 • 개방형 MarketPlace • 기업과 기업간의개방형 MarketPlace는 현실적인 장벽에 부딪혀 어려움을 겪고 있음. ex) GTWeb, 엔투비, 캠라운드 등 • 기업내부 MarketPlace • 기업내부의 Marketplace가 중요하게 대두됨 • 자동차 부품공급을 위한 MarketPlace는 조달원가를 15% 절감 • E-Procurement는 시장상황 침체 • SAP는 Commerce One (Marketsite)과 공동 개발하여 SAP-Marketset 개발 • ERP와 연동 • 생산부품조달을 위한 Marketplace 지원 • 국내 추진 기업 :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국방 조달, 한국전력, 한국통신

  24. 해외 SI 프로젝트 진출 Major Issues in 2002 • 인도 • 1999년부터 2000년 사이 인도의 인터넷 사용자 증가 속도는 아태 지역에서 가장 높은 255%에 달했다. • 추정 인구 10억의 인도 인구 중 대략 0.6%만이 현재 웹에 접속하고 있는데 이는 6백만 명에 해당하는 수치임. • 가장 많은 인터넷 서퍼들은 젊은 남자 대학생들이며 가장 보편적인 온라인 활동 네 가지는 전자우편, 채팅 룸 이용, 직업 검색 및 새로운 인터넷 사이트 검색임 • 2001년 말이면 인터넷 이용자 수가 79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 수치는 2005년이면 4천만 명으로 폭증할 것이다. • 접속률은 젊은 층과 부유층에서 가장 높고(전체 인구의 접속률이 0.5%인데 비해 10%에 달함),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 지역에서 가장 높다. • 인도는 아태 지역에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웹 시장이 될 것이다.현재 6백만 명(전체 인구의 6.8%)인 인도의 인터넷 이용자 수는 2005년 연말까지 전체 인구의 4%선인 4천만 명으로 폭증할 것이다. • 인도에서 사이버 키오스크는 가장 중요한 인터넷 접속 수단으로 남을 것이다. 특히, 시간당 사용 요금 인하, 높은 가용성, 간편한 사용법 및 핵심 인터넷 이용계층인 학생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공유 등으로 인해 사이버 카페의 생존력은 해가 갈수록 강해질 것이다. • PC나 모바일 전화와 같은 다른 인터넷 접속 장비들에 드는 비용은 대다수의 인도인들에겐 여전히 비싼 수준이어서 이용하기 힘들 것이다. • 온라인 구매율은 낮은 수준에 머물 것이다. 보안 문제, 오프라인 제품에 비해 너무 높은 온라인 제품 가격, 낮은 신용 카드 이용률, 만져본 뒤에야 구매하는 구매 습관 등이 주요 장벽이 될 것이다. • 베트남 중앙은행 등 동남아 시장 기진출 베네주엘라 등 남미지역의 NID 사업 가능성 • 향후 중국 시장의 진출 기회 확대 (WTO가입에 따름) 인도 등의 풍부한 IT 인력의 활용 기회 포착 • 한국의 경쟁력 보유 산업분야의 솔루션 해외진출 가능 해운 / 건설 / 금융 / 통신 / 유통 • SI 및 IT 분야의 Global Marketing 지원을 위한 인력 양성 시급

  25. Major Issues in 2002 • Connecting the Globe • Completing global paperless e-trade system • All export & import related workflow, including contracts, fulfillment and settlement, are to be processed on-line • Trade networks of 6 countries, namely, Korea, China,Japan, Singapore, Taiwan and Hong Kong are to be connected • Strengthening the cooperation activities with major strategic countries, such as China, India, EU, etc. • Korea-U.S. joint Statement on e-Commerce (Nov. 1998) • Korea-Japan IT Cooperation Initiative (Oct. 2000) • the 1st ASEM Seminar on e-Commerce in Seoul held in Oct. 2001 • Support for IT industry’s advancement into overseas markets

  26. Major Issues in 2002 • Technology trend

  27. Major Issues in 2002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