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8

글로벌 시대의 해외진출 전략

글로벌 시대의 해외진출 전략. 를 통한. 한국산업인력공단 글로벌일자리지원국장 이연복. 이 ( 李 , lee ) 연 ( 年 , yeon ) 복 ( 馥 , bog ). 정보화지원국장 , 기획평가팀장 , 인재개발팀장 , 검정계획팀장 등.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 ( 인력개발학과 )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 ( 산업경영공학 ). 목 차. 세계 각국의 인력정책 현황 해외취업역사와 글로벌 일자리사업 평가 K-MOVE 를 통한 글로벌 일자리 창출 전략 세계 인력이동 추이 해외취업 성공 Tip.

nola-joyner
Download Presentation

글로벌 시대의 해외진출 전략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글로벌 시대의 해외진출 전략 를 통한 한국산업인력공단 글로벌일자리지원국장 이연복

  2. 이(李, lee) 연(年, yeon) 복(馥, bog) 정보화지원국장, 기획평가팀장, 인재개발팀장, 검정계획팀장 등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인력개발학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산업경영공학)

  3. 목 차 세계 각국의 인력정책 현황 해외취업역사와 글로벌 일자리사업 평가 K-MOVE를 통한 글로벌 일자리 창출 전략 세계 인력이동 추이 해외취업 성공 Tip

  4. Ⅰ. 세계 각국의 인력정책 현황

  5. 1. 글로벌 인력이동 트렌드 글로벌 인재의 이동현황 • OECD 국가로 유입하는 외국인 인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전문인력의 비중 증가 • * 미국은 취업이민의 41.1%, 영국은 취업허가 발급의 37.4%, 캐나다는 경제이민의 • 84.8%를 전문인력이 차지(2004년 기준, 영국은 2002년 기준) • * 미국은 최대 외국 전문인력 유입국이며, 인도 IT 부문 인력의 해외 진출 활발 • 개도국 → 선진국, 선진국 → 선진국 형태의 고급인력 이동, 아시아 지역 등 역내 교류도 활발 주요국 대응 • 고급인력을 선별할 수 있는 점수제, 쿼터제 등의 • 시스템을 마련하여, 자국 노동시장에서 필요로 • 하는 인력을 선별 유치 • 저숙련 인력의 입국은 엄격하게 통제하고 • 관리하는 한편, 전문기술을 가진 기술인력의 • 입국에 대해서는 개방ㆍ적극적인 정책

  6. 하이퍼노마드(Hyper Nomad) • 많은정보를 창출하고 향유하는 창의적인 직업을 가지고 유희적으로 살아감 • 하이퍼노마드 리더들이 세계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시대가 도래할 것 • - 프랑스의 세계적 석학 자크 아탈리 ☞ “일자리를 찾아 고국을 떠나는 현상을 호모노마드(Homo Nomad)라 한다. 이런 현상은 역사적으로 자연스러운 일이며 매년 10억 이상 인구가 여행을 떠나고, 매년 약 1000만 명이 조국을 떠난다. 이제 우리의 젊은이들은 일자리의 신대륙을 개척하는 하이퍼노마드(Hyper Nomad)가 되어야…” 어느 글로벌 기업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인사담당 전무 : • 우리 청년의 글로벌 경쟁력은 과거에 비해 저하되었다는 평가 • - 글로벌은 단순한 영어습득과 다른 개념으로, 어릴 때부터 글로벌 개념의 體化가 필요 • 글로벌 기업 듀폰의 경우 22년 전 중국인 50명→ 현재 8천명(한국인 성장세와 • 비교불가) 우리 청년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외진출 전략이 요구됨

  7. 2. 주요국 외국인력 정책 동향(1) 주요 7개국은 “적극적 전문인력 유치와 체계적인 미숙련인력관리”를 기본방향으로 제시 (미국, 호주, 독일, 프랑스, 일본, UAE, 카타르) -2012.7. 기재부 발표자료 유학생, 우수인력 • 유학생을 미래의 자원으로 활용하려는 경향(다양한 국비지원 프로그램) • 정책적인 우수인력 도입을 추진(연령,학력,자격증 등에 따라 체류자격 부여 차등) 미숙련인력 • 고용/노동허가제를 통해 미숙련인력의 취업직종과 쿼터 등을 엄격 관리 • 고용부담금(미국), 외국인고용세(프랑스) 등 징수하여 초과수요 방지(자국인 고용보호) 사회통합사업 • 사회 통합을 위한 언어, 기본소양, 역사 교육 등 실시(일본, 중동국가 제외) • 외국인력 보호를 위한 차별금지법 제정/ 자국의 노동법 동일하게 적용

  8. 2. 주요국 외국인력 정책 동향(2) IT분야 인력수요 꾸준히 증가패션직종 유망 간호사 부족현상 심화 미국 • 연간 약 8천명을 정부초청 장학생으로 유치(졸업 후 12개월 체류가능) • 다중 우선순위제도로 우수인력 유치, 고용허가제를 통해 미숙련인력 유치 기술인력 부족현상 건설기능.기술 직군/ 단순조리 직종 비전문직(청소,농장관리, 육가공) 최저임금 호주 • 유학생 연간 3천명 유치(주당 20시간 근로 허용), 우수인력은 점수제로 영주권 부여 • 고용주 추천제를 통한 미숙련인력 도입

  9. 2. 주요국 외국인력 정책 동향(3) IT분야 자격증 소지자 비자발급 용이 섬유디자이너, 간호사, 사회복지사 수요 일본 • 우수인력도입 포인트제도 시행(영주 허가에 필요한 체류기간 5년) • 기능실습제도를 통해 미숙련인력을 도입(66직종 121직무: 농업, 어업, 건설, 기계금속 등) UAE Cotent 02 ‘제2의 중동 Boom’ 범정부 차원의 중동진출 활성화 대책 추진, 2012년 공단 해외취업지원 사업을 통해 UAE 65명, 카타르 107명 취업 • FREE ZONE을 설치하여 외국 벤처기업 유치 • 고용허가제와 스폰서제도를 통해 미숙련외국인력 도입 카타르 • 개별기업에서 외국우수인력 직접 채용 • 고용허가제와 스폰서제도(최근에는 자국민들 취업을 위해 노력하는 경향)

  10. 3. 국가별 해외인력진출 지원사례(1) 우리나라 해외인력 진출 프로그램 : 취업,(연수), 인턴, 봉사 재정지원 위주 프로그램 신흥국가 국민의 해외진출을 위해 국가 차원의 적극적 지원 (예) 필리핀 : 세계4위 인력 송출국 정부차원의 인력송출 시스템 운영 - 민간고용 대행사 정부규제(정부인가, 실적에 따른 라이센스 갱신) 선진국 자유로운 노동력의 이동, 교환 프로그램에 중점 국가는 정확한 정보 제공, 이동 촉진을 위한 장애제거에 주력

  11. 4. 해외인력진출 지원사례(2) 유럽연합 • 인력교류 : 소크라테스 프로그램 • -경제·군사·정치에 이어 문화적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1987년 마련한 유럽 내 대학교류 • 프로그램인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을 95년에 확대 • - 유치원부터 대학원 이상까지 모든 교육기관의 학생, 교사, 교수, 행정요원 교류 • 정보제공 : EURES 네트워크 • - 각 국 노동행정기관들과 연계, 유럽 근로자들의 자유로운 이동성 지원 • - 27개 EU국에 노르웨이 등 EEA와 스위스까지 총 31개 국가 참여 1993년 설립 • - 네트워크 참여 노동행정기관에서 850여명의 EURES 카운슬러가 근무(유럽전역 구인구직 • 정보 제공 및 상담)

  12. 4. EU내 이동 : EURES 웹포털 (www.eures.europa.eu/ 31개국, 25개 언어) 일자리 2,006,361개 구직자 1,244,445명 구인자 32,482명 등록 (2013.12.30현재)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를 통한 구인,구직정보제공

  13. Ⅱ. 해외취업의 역사와 글로벌 일자리사업 평가

  14. 1. 우리인력 해외진출의 역사 유이민에서 이민으로 중국, 러시아,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7,400여 명)으로 이주 6.25 후 삶의 터전을 찾아서 전쟁고아, 미군 결혼 여성, 혼혈아, 학생 등이 입양, 가족재회의 목적으로 미국, 캐나다 등으로 이주 1910 ~ 1944년 1962 ~ 현재 글로벌화를통한 해외진출 활성화 1945 ~ 1961년 1900년대 초 강제징용 일본, 중국, 러시아 등에 주로 일본제국의 강제 징용 형식 해외진출 산업화 미국·캐나다 등의 이민문호 개방과 가족초청 등으로 민간 이민이 활성화 되고, 간호사 등 전문인력 및 광부, 건설인력 등이 독일과 중동 등으로 진출 정확한 정보와 효과적 프로그램을 통해 스펙을 초월해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세계무대로 진출! <재외동포 : 720만 > 창의와 실력을 바탕으로 세계 속의 한국인으로!!

  15. 2. 해외취업 정책 연혁 「K-Move」 국정과제로 추진 2013 2008 「글로벌 청년리더 양성 사업」 국정과제로 추진 청년실업률 해소를 위한 해외취업 해외 외국인력 수용정책으로 취업국가 다변화 시대 도래 2000s 외환위기 이후 해외취업 활성화를 위해 공공해외취업알선 재개 1998 1990s 1991 해외 개발공사 폐지 (KOICA에이관되었으나 사실상 폐지) 1970s 유가상승으로 인한 대량 건설붐으로 국내 건설인력 중동 진출 1960s 한국-서독 정부간 협정에 의거 광부/간호사의 서독 진출

  16. 3. 해외취업지원사업 평가(1) 추진실적 • 1998년부터 2013년까지 공단 해외취업지원사업을 통해 21,564명 해외취업 • ‘09-’12년에는 글로벌 청년리더 양성사업이 국정과제로 추진되어 외교통상부, • 고용노동부, 교육과학기술부 등 8개 부처 합동 추진(인턴,봉사,취업 등 49,936명 해외진출) 연도별 해외취업 현황 (단위: 명)

  17. 3. 해외취업지원 사업 평가(2) 주요 국가별 해외취업현황(‘98~’13) 직종별 해외취업현황(‘98~’13) 사무/서비스 63.9% 총 평 • 청년들의 취업무대를 국내 노동시장에서 세계시장으로 확대 • 구인 수요처(Pull)에 대한 고려 없이 인력양성·공급 측면(Push)에서 접근 • 양적 확대에도 불구, 진출지역·업종이 다양하지 못하고, 일자리 질 저하 등 문제점 노정 • 관(官) 주도의 사업 추진으로 민간의 역동성과 청년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토록 하는데는 한계

  18. Ⅲ. K-Move를통한 글로벌 일자리 창출 전략

  19. 1. 우리 고용노동시장 현실 ① 저성장, 저고용 ② 노동시장의 양극화 경제성장률 추이 (한국은행) 고용형태(통계청) 임금격차(통계청) ①. 평생능력개발 ② 국가자격관리 ③ 외국인고용지원 ④ 해외취업지원 ⑤ 숙련기술장려 9.3% 100% 100% 100% 8.8% 6.0% 63.2% 61.3% 2.0% 33.3% 1990 2000 2010 2012 전체 비정규 정규 비정규 대기업 중소기업 근로자 수 평균임금 고용률(15-64세)은 10년 이상 정체 대/중소기업, 정규/비정규직간 임금격차 발생 OECD 평균에 못 미치는 수준 고용률 70% ③ 저출산 고령화 ④ 인력수급의 미스매치 핵심노동인구(25-49세) 비중 (SERI) 청년실업률 대학진학률 72.5% 14.4% 영토확장을 위한 글로벌 스펙초월 시스템 구축 10.5% 68.6% 8.8% 61.5``% 7.7% 52.8% 53.6% 42.7% 48.8% 영국 미국 일본 한국 한국 미국 일본 독일 2010 2020 2030 인력공급 : 높은 청년 실업률 및 대학진학률 2019-23년경 노동력 부족 예상 인력수요 : 중소기업 인력부족 심각

  20. 2. 일자리 영토확장 환경분석 • 인적자원 우수성(IT,의료,플랜트 등) • 우리나라의 글로벌 진출기업 증가 • 해외진출 정보 수집, 분석, 제공 • 기능 취약 • 언어능력 부족 Strength Weakness S W O T • 신흥시장의 인프라 확충 및 고성장 • 한류 브랜드 격상 • 각국 취업난 → 고용보호주의 • 취업비자 발급요건 강화 • (현지 자격취득 요구, 취업비자 쿼터) Opportunity Threat 약점보완 강점강화 • 선진국 전문직종 인력진출 확대 • 신흥시장 일자리 발굴 • 해외 진출정보관리 체계 혁신 • FTA 체결시 비자쿼터확보 및 자격상호인정 확대 해외진출종합정보망 구축, 인력공단-KOTRA-KOICA-한상-해외진출기업간 네트워크 강화

  21. (2) 구직자의 글로벌 역량 강화 3. 추진방향 글로벌 진출기회 확대를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의 패러다임 전환 추진방향 스펙위주 스펙초월 단순취업 영토확장 공급자중심 수요자중심 • 청년이 꿈.끼.열정만으로 세계시장에 도전할 수 있는 해외진출의 場 마련 관(官)주도 민관협업 • 범 정부적 협력과 해외 720만 디아스포라의 유.무형 가치 창출 • 취업,봉사,인턴,창업 등을 융복합하여 일자리 창출 기반 구축 추진전략 (3) 해외일자리 개척 • 해외취업 정보 • 인프라확충 ① 스펙초월해외취업시스템 : K-MOVE 멘토단 ① 민관 협의체 구축 및 네트워크 활용 ① K-MOVE 포털 추진과제 ② K-MOVE 헬프데스크 ② K-MOVE 스쿨

  22. 4. 추진전략별 세부추진과제 • 양질의 해외진출 정보 제공 • ① K-MOVE 포털 구축 [수요처 발굴] (민·관 글로벌네트워크) [구직자인력풀 총괄] (해외커리어인력DB통합) K-MOVE 종합협의체 (민∙관 협의∙심의기구) 동남아 Ⅰ.청년인재 선발·분류 《글로벌 스펙초월취업지원시스템》 EPS • 구직자 면담·분류 • ⅰ) 취업트랙 • - 연수필요성 판단 • ⅱ) 창업트랙 • ⅲ) 봉사트랙 선진국 MOU G.Corp 취업 인턴 KOTRA KBC Ⅱ. 인재양성·멘토링 KOICA • K-MOVE School • 글로벌청년창업지원 • 권역별 멘토링 권역별 해외인재지도 Recruiting Co. 봉사 창업 재외공관 Ⅲ. 해외 진출 지원 OKTA • 일자리통합관리 • 해외취업인센티브 • 청년-수요처 매칭 MENTOR COMMUNITY 커뮤 니티 트위터 페이스북 글로벌 노동력 이동 동향 모니터링, 해외취업정보 수집․분석․제공 인프라 확충

  23. 양질의 해외진출 정보 제공 • ② K-MOVE 헬프 데스크 • K- Move 헬프 데스크 를 통해 국내 취업준비 단계부터 취업 후 현지 정착에 • 이르는 전 과정 관리 • 취업만료 후 귀국자에 대한 경력관리, 국내외 재취업 등 지원(K-MOVE 포털 활용) 취업 후 연수 중 /취업 중 취업 전 • K-MOVE 멘토 발굴, 멘토링 • 지원을 통해 조기정착 지원 • 대사관 등 관계기관 협력, • 취업 중 애로사항 해결 • 재취업상담 , 귀국지원 등 • 경력관리 서비스 • 현지고충 상담실 • 연수 만족도 조사 • 수료 후 미취업자 • 취업정보 제공 • SNS를 통한 소통 • 희망자 대상 글로벌 • 사업 안내 • 국가별 취업정보 • 비자 발급절차 안내 • 구인정보제공 , 취업알선

  24. (2) 구직자의 글로벌 역량 강화 ①스펙초월 해외취업지원 : K-Move 멘토단 해외진출 청년이 후배에 대한 멘토가 되는 선순환 생태계 조성 3단계:해외진출지원 2단계: 멘토링.양성 1단계:청년선발 (취업) KOTRA, KOICA, 한상 네트워크, 민간고용서비스 업체 취업트랙(인턴) • 스펙 관계없이 • 열정, 잠재력으로 • 청년선발 • 진출목적,역량에 • 따라 트랙연계 K- MOV E 스쿨 • 취업알선, 취업연수, 해외인턴 창업트랙 : 글로벌 청년창업 지원 (글로벌 벤처 창업) 글로벌 창업펀드 해외벤처캐피탈유치 • 장비, 기술, 시제품화 등 지원 해외봉사트랙 (해외봉사) KOICA • 개도국 해외봉사 해외전문가, 퇴직전문가, 해외 한상기업가의 멘토링 (On,Off –line) * 유관기관 추천, 공모를 통한 멘토 100명 위촉, 멘티 225명 멘토링 진행 중

  25. ①스펙초월 해외취업지원 - 사례 글로벌 스펙초월 취업 고졸의 해외진출 스펙초월 해외진출 우수사례 공유 스펙초월 활성화 (특성화고 졸업자 해외취업 사례 _동아일보, ‘12.8) (중동 리크루트사 gulftalent.com의 구인광고 - 구체적인 수행직무설명으로최종학교, 학력 등 스펙 불필요)

  26. (2) 구직자의 글로벌 역량 강화 ② K-MOVE 스쿨 해외취업 연수 * 단기 연수과정을 통한 해외취업 연계 • 맞춤형 연수과정 : 기업수요에 부합하는 인력 양성체계(’13년, 1,000명) • G E 4 U 과정 : 중동 등 신흥국가 중심(’13년, 1,000명) K-MOVE 스쿨 (신흥시장형) 특화된 지역에서 새로운 일자리 개척에 앞장 설 예비 사업가 집중 육성 (일자리 확보형) 사전 확보한 양질의 취업처에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설계, 실시 (구직자 맞춤형) 구직자가 원하는 글로벌 커리어 및 교육과정 설계, 지원 (듀얼시스템형) 해당국의 듀얼시스템(도제제도)를 통한 경력. 자격 취득 (기타) 취업+학업 병행 과정, 해당국 부족 직군의 자격 또는 훈련과정 이수 과정 등 단기적 성과에 집착하기 보다는 잠재력 있는 청년을 발굴, 육성하여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질적 관점, 장기적 비전에 따라 사업추진(’13년, 6개 과정 120명) 기존 해외취업연수사업과 K-Move스쿨의 통합 추진(’14년, 1,200명)

  27. (3) 해외일자리 개척 ① 민관 협의체 구축 및 네트워크 활용 • 한상 네트워크 • (OKTA) • 해외동포, 전문가 『청년위원회』 • K-Move 멘토 • 국제기구, NGO 정책수립, 총괄(고용부,산통부,외교부,중기청 합동) 해외구인처 발굴 전문인력 해외일자리 통합관리 DB 국제교육교류 해외구인처 발굴 글로벌 스펙초월 취업지원시스템 구축 정보제공 정보제공 정보제공 글로벌 청년인재양성 (맞춤형 훈련, GE4U 등) 해외봉사 경험자 인력풀 국비유학생 해외멘토발굴, 멘토링 해외봉사단 운영 해외인턴 지원 해외창업지원 해외취업지원, 해외인턴지원

  28. (3) 해외일자리 개척 ① 민관 협의체 구축 및 네트워크 활용 현지 민관 네트워크 구축 활용 • 해외 유수의 민간 취업알선 업체, 세계각국의 한민족 네트워크와 전략적 연계 및 정보공유 * 민간 리크루트사 : 미국 Manpower社, 미국 Monster社, 스위스 Adecco社, 일본 Pasona社, 중국 FESCO社 등 * 세계한인무역협회(65개국 125개지회), 재외동포 720만, 전세계 2,900여개 한인회 K-Move 센터를 활용한 일자리 개척 • 구인수요 및 공급 여건, 구인처 발굴 실적 등 요소를 감안하여 3개 거점 선정(자카르다, 도쿄, • 실리콘밸리) 선정 ▶ 현지 정부, 공공기관, 민간의 조직 및 네트워크를 유기적으로 연계 • * 2014년 K-Move 센터 4개소 추가, 7개소 운영

  29. (3) 해외일자리 개척 ① 민관 협의체 구축 및 네트워크 활용 한국산업인력공단 EPS센터를 동남아 진출을 위한 전진 기지화 • 외국인고용허가제 지원센터로 태국, 베트남, 필리핀 등 15개국 주재 • 현지 해외취업 협의체, 글로벌 민간 리크루트사 등과 협력 강화

  30. * 2014년 국정과제 예산(안)_ 해외취업지원

  31. Ⅳ. 세계 인력이동 추이

  32. 2020 인력이동 예측 - PWC 2012 ‘Talent mobility 2020 and beyond’ 역사적 이주(환경적응, 생존) 2020 인력이동(기술,자본 융복합) 글로벌 이동성(Global Mobility )은 지속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다. …… 예를 들어, 한 중국기업은 아프리카 투자를 관리하기위해 유럽인으로 구성된 팀을 고용할 수도 있다. “Global mobility continues to grow in volume. ....... For example, a Chinese company may engage an European team to manage an investment in Africa.”

  33. 우리 청년들은 어디로? 중동지역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 • 유가의 고공행진 지속 • 건설, 원전, 항공, IT, 서비스 • 등 여러 분야 다양한 프로젝트 • 추진 중 • 캐나다 오일샌드 관련 배관, • 용접, 전기, 중장비 등 EUROPE N. AMERICA ASIA 유 럽 아시아 • 높은 실업률(10.9%_’13.2) • 기술인력 진출(독일 중심) • 지리적 근접성 • 일본, 싱가포르, 중국 • 동남아 신흥시장(베트남 등) AFRICA S. AMERICA 중남미 오세아니아 OCEANIA • 대부분의 국가가 높은 경제성장률 • 재정능력강화로 대규모 인프라 투자 진행 • 일자리 블루오션으로 급부상 • 서부호주 지역 광산 개발 • 대규모 인력수요 전망 • 배관, 용접, 전기, 중장비 • 분야의 꾸준한 구인요청

  34. Ⅴ. 해외취업 성공 TIP

  35. 해외취업 성공 Tip 해외진출 목적이 뚜렷해야 역량과 도전정신이 강해야 현지의 문화 등을 사전에 숙지 회사에 무슨 도움을 줄 것인지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 필요

  36. 해외취업 성공 Tip 출국까지 최소 3개월, 해외취업은 장기전이다 해당국가의 언어구사능력은 필수! (제2외국어도 요구하는 추세) 국내보다 월등히 높은 임금 기대는 금물 반드시 취업비자를 발급받고 나가야 한다 알선 업체에 의존하기 보다 기업의 담당자와 직접 상담

  37. 해외취업 성공 Tip 해외취업이라는 것이 결코 꿈만 같을 것이라는 생각은 버려야 할 것이다. 자신이 지금까지 누리던 모든 것을 잠시 내려 놓아야 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가능한 사람은 훗날 그 누구보다도 앞서 있을 것이라는 것을 말하고 싶다. (2012년 해외취업 성공수기집 중에서…)

  38.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