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2

Ch.12 공급망관 리 Supply Chain Management

Ch.12 공급망관 리 Supply Chain Management. MRP (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 MRP (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 Types of MRP Systems. Type I.(70’s) An inventory control system (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Type II.(80’s) 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system (MRPII)

odelia
Download Presentation

Ch.12 공급망관 리 Supply Chain Management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Ch.12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생산∙운영관리

  2. 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생산∙운영관리

  3. 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생산∙운영관리

  4. Types of MRP Systems • Type I.(70’s) An inventory control system (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 Type II.(80’s) 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system (MRPII) include capacity planning (생산능력계획),shop floor control(작업장관리) etc. module • Type III.(90’s)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system inventory, capacity, cash, personnel, facilities, capital (인사, 재무, 회계포함)

  5. 제1절 제조정보시스템으로서의 ERP시스템 1. 생산관리 정보화의 배경 <표 12-1> 대량생산방식을 한계로 몰아가고 있는 시장동요요인

  6. 제1절 제조정보시스템으로서의 ERP시스템 1. 생산관리 정보화의 배경 • 생산품목수가 많아지고 제조부문 규모가 커지면서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해 정보처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생산관리시스템이 필요 • 다품목 소량생산의 일반화와 리드타임 단축을 원하는 소비자들에 의해 생산부문의 정보화도 불가피한 단계에 이르렀으며, 생산관리의 정보화는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으로 약칭될 만큼 일반화된 상태 • 매스 커스토마이제이션의 부각 • 대량생산처럼 신속히 값싸게 만들지만 고객의 니즈를 철저히 반영 • 주문생산방식과 대량생산방식의 장점을 고루 취하는 방식

  7. 제1절 제조정보시스템으로서의 ERP시스템 2. ERP의 개념 •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 ERP) • 좁은 의미로는 통합생산관리시스템, 넓은 의미로 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종합적인 자원관리시스템 • 가트너그룹(Gartner Group) : “기업 내의 각 업무기능들이 조화롭게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집합으로 차세대의 업무시스템” • 미국생산재고관리협회(APICS) : “고객의 주문에 대한 구매, 생산, 수배송과 회계에 필요한 기업의 전체 자원을 감정하며 계획하기 위한 회계정보시스템”

  8.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ERP 확산 배경 • 생산 및 물류 거점이 국내외 여러 곳에 산재하는 글로벌 경영이 진전되는 추세에 따라 이들을 연결하는 통합적인 업무활동(integrated operations)의 관리가 필요 •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시스템 기술적 지원이 가능하게 됨 • 부문 최적화를 탈피하여 전체 최적을 도모하는 프로세스 혁신 활동을 전개하는 데 있어 ERP가 정보기술과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을 통합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각

  9.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ERP시스템이란 기업이 기업의 경영활동을 위해 기업의 모든 자원을 계획하고 업무프로세스에 따른 그 흐름을 관리∙통제하는 자동관리시스템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관리대상이 되는 자원은 물질적인 자원뿐만 아니라 인적자원과 정보자원 및 시간까지 포함

  10.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ERP 시스템의 특징 • 통합적관리: 이전에는 관리시스템이 분야별로 독립적으로 개발되어 활용 • 국제화 : 분산 데이터 처리, 개방형 구조,상이한 국가환경에 따른 통화, 회계표준 국제화가 가능 • 데이터의 정확한 관리, 실시간 업데이트  합리적인 계획수립 가능 • 최신정보기술의 활용 : ERP software에는 기존의 경영학에서 알려져 있는 기법들이 제공되고 있다.

  11.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tnt)

  12.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tnt) • 공급망(Supply Chain) • 제품 또는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물질과 정보를 최초의 공급자로부터 최종소비자에게 이르기까지 교환하는 일련의 조직과 그 관계 (pp.443~444) • 효율적 공급망과 반응적 공급망 • 효율적 공급망(efficient supply chain) : 높은 가동율, 최저재고수준 유지, 원가상승 억제 등의 전략을 채택하는 공급망 • 반응적 공급망(responsive supply chain) : 여유생산능력과 완충재고, 리드타임 감축 등을 통해 수요 변동에 대비하고자 하는 전략을 취하는 공급망

  13.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tnt)

  14.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tnt) • Push type vs. pull type • Push형 : 소비자의 수요나 주문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요예측을 전제로 공급망의움직임이 개시 (소비가 일정한 일용품 등에 적합) • Pull 형 : 소비자들이 주문을 하면 그것을 근거로 소매점, 도매점, 제조업체, 원재료공급업체가 움직이게 되며, 예측을 근거로 하지 않고 소비자의 판매요청에 기초하여 공급망이 움직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재고가 발생하지 않음(유연성확대가 관건,100% Pull형은 불가능)

  15.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tnt) • 수요정보 확대현상 (bullwhip effect) • 최종 소비자의 수요변동이 증폭되어 공급망의전단계 공급자들이 느끼는 수요변동이 최종소비자의 수요변동폭보다 훨씬 크게 되는 현상 • 원인 • 단계적으로 이루어 지는 예측X : n 단계(최종단계)예측, Y : n-1단계 예측 (= X + error2)Z : n-2 단계 예측 (= Y + error3)Var(Z) = Var(X) + Var(error2) + Var(error3)

  16.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tnt) • 수요정보 확대현상 (bullwhip effect) • 원인 • Lot sizing실제 수요 매일 10개; (소매상이 도매상에게 주문)매일 10개 주문 : Var(X) = 0주초 70개 주문 : Var(X) = ( (70-10)^2 + 6*(0-10)^2)/7 =(360 + 100 * 6)/7 = 137도매상 Lot sizing (생산자에게4주에 280개 주문)Var(Y)= (270^2 +10^2 * 27)/28 =75600/28 = 2700 • 판촉 및 세일 등으로 인한 가격 변동 (비축재고) • 공급을 초과하는 수요에 대한 경쟁적 사재기

  17.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tnt) • 수요정보 확대현상 (bullwhip effect)

  18.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tnt) • 공급망관리 • 수요와 공급의 관리, 원자재와 부품의 조달, 제조와 조립, 제품 보관과 재고 추적, 수주 및 주문관리, 공급망 경로간의 배송 및 고객에게의 배달 등을 포함하는 전략적 관리 • 공급망vs. 공급망의 경쟁  공급망 전체의 최적화 도모 • 공급망 내 물적흐름의 관리 • 물적흐름: 초기 공급자 -> 최종소비자 • 정보, 자금 흐름 : 초기 공급자 <- 최종소비자

  19.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tnt) • 공급망관리 • 시설 • 물류센터의 집중화 (pooling)vs. 분산화 • 물류센터 수용능력의 반응성(여유)vs. 효율성 • Cross docking (Walmart: 물량의 85%)

  20.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tnt) • 공급망관리 • 운송 • 운송 속도(반응성)vs. 비용 (효율성) • 주문, 재고관리 • CRP (continuous replenishment planning) using EDIVMI (vendor managed inventory) 정보 • 계획, 예측, 보충의 협업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 투명성과 신뢰 • 파트너쉽 형성과 정보 공유  개별적 수요 예측, 검수활동 등 불필요  비용 절감.

  21. 제4절 SCM시스템의 계획수립기능 1. SCM시스템의 구성요소

  22. M 생산∙운영관리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