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3

불안장애

20021050 박창규 20041028 김원섭 20051105 전재윤. 불안장애. 불안장애. 5. 일반화된 불안장애 1) 정의 2) 원인 3) 치료 6. 공황발작 및 공황장애 1) 정의 및 진단 2) 원인 3) 치료 7. 외상적 사건에 대한 반응 1) 정의 및 진단 2) 외상에 대한 반응 3) 발달과정과 원인 4) 치료. 1. 내재화 장애에 대한 서론 2. 불안장애의 정의와 분류 1) DSM 접근 2) 경험적 접근 3. 공포증 1) 정의

olathe
Download Presentation

불안장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0021050 박창규 20041028 김원섭 20051105 전재윤 불안장애

  2. 불안장애 5. 일반화된 불안장애 1) 정의 2) 원인 3) 치료 6. 공황발작 및 공황장애 1) 정의 및 진단 2) 원인 3) 치료 7. 외상적 사건에 대한 반응 1) 정의 및 진단 2) 외상에 대한 반응 3) 발달과정과 원인 4) 치료 1. 내재화 장애에 대한 서론 2. 불안장애의 정의와 분류 1) DSM 접근 2) 경험적 접근 3. 공포증 1) 정의 2) 종류 (1) 특정 공포증 (2) 사회적 공포증 3) 원인 4) 치료 4. 분리불안과 등교거부 1) 정의 2) 원인 3) 분류 4) 치료

  3. 불안장애 • 8. 강박장애 • 1) 정의 및 진단 • 2) 종류 • 3) 원인 • 4) 치료 • 9. 불안장애의 평가 • 1) 개관 • 2) 임상면접과 자기평가 • 3) 행동관찰 • 4) 생리적 기록 • 결론

  4. 불안장애 1. 내재화 장애에 대한 서론 내재화 장애를 서론으로 두는 이유는? 첫째, 내재화 장애는 불안장애의 상위개념이다. ① 과거에는 내재화 문제를 신경증이라는 포괄적 용어로 표현 ② 오늘날에는 공포증이나 강박증, 불안장애, 그리고 우울증과 같은 구체적인 용어로 표현 둘째, 불안장애로 진단된 아동이 한가지 이상의 다른 장애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 장애를 변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5. 불안장애 1. 내재화 장애에 대한 서론 내재화 하는 사람: 걱정이 많고 우울하며 강박적이고 불면증이 있다. (출처 1993 United Feature Syndicate, Inc.)

  6. 불안장애 2. 불안장애의 정의와 분류 *정의 불안 혹은 두려움은 지각된 위협에 대한 복잡한 형태의 세 가지 반응으로 정의 - 3요소 모델 ① 행동반응(예: 도망가기, 목소리를 떨거나 눈을 감는 행동) ② 생리적 반응(예: 근육 긴장, 복통) ③ 주관적 반응( 예: 무섭다는 생각, 자신을 비난하는 생각, 신체적 위험에 대한 심상)

  7. 불안장애 2. 불안장애의 정의와 분류 * 분류 1) DSM 접근 • 분리불안장애 ① 애착대상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대해 극심한 스트레스를 느낌 ② 분리되어야 하는 상황을 회피하려는 것 • 공포장애 • 공황장애 • 일반화된 불안장애 • 강박-충동장애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8. 불안장애 2. 불안장애의 정의와 분류 • 2) 경험적 접근 • Achenbach와 Rescorla(2001) • 내재화 장애라는 광범위한 범주 안에서 불안/우울 증후군 기술 • 문제점 • 아동과 청소년기의 경우 여러 가지 불안 및 우울 증상 등이 함께발생하는 문제 • - 독립된 증후군이나 좁은 범위의 증후군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9. 불안장애 2. 불안장애의 정의와 분류 불안/우울 증후군에 포함되어 있는 행동문제 Achenbach& Rescorla(2001)에서 인용 잘 운다 남을 기쁘게 하기 위해 걱정함 두려움 실수에 대한 두려움 학교를 두려워함 걱정 나쁜 행동에 대한 걱정 완벽하려는 욕구 사랑받지 못한다는 느낌 가치없다고 느낌 긴장 겁, 불안 지나친 죄책감 자의식 비판받았을 때 상처받음 자살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생각함

  10. 불안장애 3. 공포증 1) 정의 * 전혀 해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 갑자기 지속적이며, 비현실적인 공황, 두려움, 염려, 불안 등을 느낌. * 자신의 두려움이 실제 느껴야 되는 정도를 넘어 지나치다는 것을 인지함. * 공포반응은 자동적이고 조절이 불가능하며 전체적으로 퍼져 있어 환자는 두려운 상황에 대한생각에 사로잡혀 있음. * 심계항진, 호흡곤란, 손발 떨림 및 그 공포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강한 욕구 등 극심한 두려움 시 나타날 수 있는 신체적인 반응들을 보임. * 공포를 느끼는 대상이나 상황을 피하며, 만약 이러한 회피행동이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경우 검사가 필요함.

  11. 불안장애 3. 공포증 • 2) 종류 • (1) 특정 공포증 • 우선, 장애를 알려면 정상적인 것에 대해 아는 것이 필요하다. • * 일반적 유병률 • 두려움이 아동기에 매우 보편적인 현상인 것으로 보임. 그러나 극심한 유 • 병률이 어느 정도인지는 명확하지 않음. •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 • 성별

  12. 불안장애 3. 공포증 •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이가 많은 아동들에게서 더 두드러짐. •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여아들이 느끼는 두려움의 정도가 더 강하 • 다고 주장함. • 이유- 두려움을 나타내고 수용하는 데 있어서 남아와 여아가 보이는 차이 • 는 부분적으로 성역할 기대와 관련이 있기 때문. • 연령 • 두려움의 수와 강도는 연령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짐. • 경미한 두려움 반응이나 발달단계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반응 • 은 곧 사라짐 ⇒두려움이 아동에게 큰 불편을 일으키고 기능을 • 방해할 경우 개입이 필요함.

  13. 불안장애 3. 공포증 • *역학 및 발달과정 • 특정공포증이 아동기에 시작되는 경향이 있음. • (어떤 사람들의 경우- 성인기까지 지속된다고 함.) • Ost(1987) • 특정공포증은 발병연령이 아주 빠르며 주로 아동기에 발생 • 따라서 위에 언급한 내용을 타당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또한 아동들 가운데 대다수가 외현화 장애 등 한가지 이상의 다른 장애의 • 진단기준을 만족시키고 있음이 발견되어 공병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 나타남.

  14. 불안장애 3. 공포증

  15. 불안장애 3. 공포증 (2) 사회적 공포증 * 사회적 공포증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 느끼는 지속적이고 비합리적인 공포. 불안이 특수하게 대인관계나 사회적 상황에서 남을 의식하여 생기는 창 피한 감정을 중심적으로 형성하게 됨 ⇒ 사회적 불안 사회적 공포증 아동과 청소년은 일반화된 불안을 경험하기 쉬우며, 친 구들에게도 덜 수용되며, 자존감이 낮고, 우울이나 고독감을 호소하는 경 향이 있음.

  16. 불안장애 3. 공포증

  17. 불안장애 3. 공포증 * 분류 사회공포증의 DSM- Ⅳ진단기준

  18. 불안장애 3. 공포증 * 역학 및 발달과정 - 아동기 후기나 초기가 되면 인지적 특징과 함께 자신의 외모와 행동이 다른 사람의 평가의 기초가 된다는 것을 의식하기 시작함. - 청소년기는 사회적 불안이 흔히 나타나는 시기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사회적 불안과 비정상적인 사회적 불안을 구분하기 어려움. ∴DSM- Ⅳ 진단기준에 대한 해석이 중요. - Wittchen, Stein과 Kessler(1999) 14~24세 지역사회 표본에 대해 DSM 진단기준을 충족시키는 평생유병률 ⇒ 남자 9.5% , 여자 4.9%

  19. 불안장애 3. 공포증 - 사회적 공포증은 전체 아동과 청소년의 약 1%에게 발생하는 것으로 추 정됨(Kashari & Orvaschel, 1990;Lewinsohn et al., 1993a; M cGee et al., 1990) 사회공포증이 청소년기에 실제보다 적게 발견되는 이유 - 사회적 공포증을 가진 청소년이 남들에게 정상으로 보이기 위해 자신의 문제를 축소화 하기 때문(DiBartolo et al., 1998) 마무리 첫째, 청소년기에 가장 빈번하게 진단되며 성인이 될 수록 증가한다. 둘째, 다른 종류의 장애와의 공병률이 높다.(주로 주요 우울장애 진단)

  20. 불안장애 3. 공포증 3) 원인 (1) 정신분석 이론 (2) 행동 이론 ① 회피 조건 형성 ② 모델링 ③준비된 학습 (3) 사회성 기술 부족 (4) 인지 이론 (5) 생물학적인 소질

  21. 불안장애 3. 공포증 4) 치료 (1) 정신분석적 접근 - 교정적인 정서 경험, 불안 상태에 대한 노출 중요. (2) 행동적 접근 - 체계적 둔감법, 홍수 기법, 사회성 기술 학습, 모델링 (3) 인지적 접근 - 적절한 사회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사회 패배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효과적임. (4) 생물학적 접근 - 진정제, 불안 완화제. 요즈음은 밀타운, 발리움, 자낙스 등이 쓰임

  22. 불안장애 4. 분리불안과 등교거부 1) 정의 (1) 분리불안이란 무엇인가? 아기는 처음에는 자신을 엄마의 일부라고 생각하지만, 6개월 정도 지나면 자신과 엄마와는 별개라는 것을 알게 된다. 아이는 엄마와 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불안해하기 시작하는 것 (2) 등교거부란 무엇인가? 등교거부는 학교를 가지 않으면 안 되지만, 가기 싫기 때문에 가지 않거나 가고 싶더라도 가지 못하는 상태인데, 이러한 이유로 결석이 거듭되는 경우를 말한다.

  23. 불안장애 4. 분리불안과 등교거부 학교 공포증에 대한 이해로 인해서 등교거부를 정확히 알 수 있다. 먼저 학교 공포증은 아동을 집에 머물도록 만드는 심각한 불안과 신체적 증상을 말한다. 이 용어는 분리불안과 혼동될 수 있기 때문에 등교거부란 용어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등교거부’란 용어는 아동이 등교거부를 의식적으로 결정하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따라서 문 헌마다 용어를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2) 원인(가장 보편적인 설명: 분리불안) 첫째, 전반적인 가정의 분위기 ⇒ 대체로 가족 구성들간의 관계가 지나치 게 밀착되어 있음. ⇒ 부모의 일관적이지 못한 양육태도 둘째, 외부사건(특정 생활 스트레스)- 환경의 변화

  24. 불안장애 4. 분리불안과 등교거부 3) 분류 - 분리불안장애를 가진 모든 아동들이 등교거부를 나타내는 것은 아님. - 등교거부를 하나의 증후군으로 보지 말자. - 교재에서등교거부와 분리불안장애를 함께 기술하기로 결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등교거부 문제와 그 원인에 관한 많은 문헌들이 분리불안의 관점애서 쓰여져 왔기 때문이다. 게다가 의무교육법으로 모든 아동들 이 학교에 다녀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불안장애 아동들 중 많은 수가 학교 출석에 문제를 갖고 있다.

  25. 불안장애 4. 분리불안과 등교거부 분리불안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DSM- Ⅳ증상들(이 중 3가지 적용)

  26. 불안장애 4. 분리불안과 등교거부 ※ 역학 및 발달과정 * 분리분안장애 - 분리불안장애의 유병률의 평균 4%임. (아동과 청소년 초기)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이 분리불안 장애에 대한 위험요인이라고 보고. 평균 발병 연령은 9세. - 나이에 따른 분리불안장애의 특성 5~8세: 애착대상에게 해가 닥치는 악몽을 꾸거나 걱정을 하며, 학교가 기를 거부한다. 9~12세: 분리에 대한 과도한 걱정을 한다. 13~16세: 학교거부와 신체적 증상을 호소한다.

  27. 불안장애 4. 분리불안과 등교거부 * 등교거부 - 등교거부는 일반 모집단의 1~2%, 클리닉에 의뢰된 집단 5% 비 율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됨. - 등교거부는 분리불안장애와 달리 모든 연령의 아동에게서 발견 됨(아동기 중기와 청소년 초기- 불안과 우울이 혼재된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 - 연령이 높아질 수록 성공적으로 치료하기 어려움.

  28. 불안장애 4. 분리불안과 등교거부 4) 치료 * 분리불안장애 첫째, 놀이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등 심리치료가 효과적이다. 둘째, 불안이나 우울을 가진 엄마의 심리치료도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혹시 학교에 가는 것을 거부할 경우⇒ 시간을 두고 분리를 위한 범위를 넓혀 간다. 넷째, 인지치료를 통해 분리불안에 대한 왜곡된 사고를 교정해주는 것 도 필요하다. 다섯째,아이에게 환경적 변화가 예측되는 상황을 미리 알려줘 아이가 마 음에 준비를 할 시간을 준다.

  29. 불안장애 4. 분리불안과 등교거부 * 등교거부 첫째, 우선 아동을 학교에 출석시키는 것이 중요. (대부분 임상전문가들) 둘째, 성공적인 전략은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접근을 취하는 것. 셋째, 불안한 상황에 대한 노출과 대처기술 지도 그리고 부모와 교사를 위한 행동관리 훈련과 자문을 포함하는 인지-행동적 개입이 필요 (인지-행동적 개입은 아동을 규칙적으로 학교에 출석하게 하고 전반적 인 적응 향상을 가져 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분리불안장애 동영상 http://netv.sbs.co.kr/movie/movie.jsp?ucc_id=10000047729

  30. 불안장애 5. 일반화된 불안장애 1) 정의 - 객관적으로는 그다지 큰 스트레스 상황이 아닌데도 과도한 걱정과 불안 을 보이는 경우, 사소한 일에도 끊임없이 불안해한다. 불안이 마치 허공을 마치 떠다니는 것처럼 여러 상황에서 불안을 느낀다고 하여 “유동불안”또 는 “자유롭게 떠다니는 불안”이라고도 함(특별한 초점 없이 불안이 경험 되기도 함). - 이 장애는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초점이 맞추어지기보다는 여러상황에 걸쳐서 일어나며, 최근의 어떤 특정 스트레스에 기인하지 않음. - 자신의 능력과 수행에 대하여 과도한 불안, 초조한 습관, 수면장애, 신체적 호소가 나타남.

  31. 불안장애 5. 일반화된 불안장애 ※분류 DSM에서는 아동 및 청소년기 과잉 불안장애라는 진단명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진단명은 DSM- Ⅳ에서 사라지고 이제는 성인과 마찬가지로 일반화된 불안장애로 진단을 받는다. 일반화된 불안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DSM- Ⅳ 증상들

  32. 불안장애 5. 일반화된 불안장애 ※ 유병률과 발달과정 - 어린 아동에게서 비교적 자주 발견되는 문제로서 정확한 추정치는 2.9%~14% 범위에 있다고 보고되고 있음. - 일반화된 불안장애는 청소년들의 불안장애 가운데 가장 흔한 장애이다. 게다가, 이 장애는 평균 지속기간이 4년 반이라는 보고로 봐서 오랫동 안 지속되는 경향이 있음. - 저연령 집단의 아동들은 분리불안장애 진단과 주의력결핍장애 진단을 함께 받는 경향 ⇑ 고연령 집단의 아동들은 단순 공포증진단과 주요우울장애 진단을 함 께 받는 경향 ⇑ ⇒ 일반화된 불안의 경험에 발달 차이가 있음

  33. 불안장애 5. 일반화된 불안장애 2) 원인 (1) 정신분석적 관점 - 일반화된 불안장애를 가진 사람은이드가 표현되면 처벌이 뒷따를 것을 무의식적으로 알고 불안해 하기 때문에 방어기제를 발달시키지 못한다. (2) 인지 행동적 관점 - 해롭지 않은 것도 위협적인 내용이 내포된 것으로 잘못 해석함. (3) 생물학적 관점 - 일반화된 불안장애가 유전적 요소가 있음을 시사함.

  34. 불안장애 5. 일반화된 불안장애 3) 치료 (1) 정신분석적 접근 - 자신의 갈등을 직접 직면하도록 도와줌. (2) 행동적 접근 -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환경 병인을 알기 위해 긴장이완을 배우고, 훈련함. (3) 인지적 접근 - 자기주장 훈련, 상황의 재평가 (4) 생물학적 접근 - 진정제, 발리움, 자낙스. 약물 복용을 하지 않으면 재발함.

  35. 불안장애 6. 공황발작 및 공황장애 1) 정의 및 진단 ※ 공황발작이란 무엇인가? 첫째,명백한 이유 없이 극단적인 불안이 격렬하게 그리고 자주 일어나는 경험 둘째, 갑작스럽게 시작되어 10분 이내에 급속하게 최고조에 달하는 극심 한 불안과 공포를 의미 - 공황발작은 촉발인자(단서)가 존재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세 가 지 범주로 분류 ① 예상 밖의(단서가 없는) 공황발작 ②상황에 얽매인(단서가 있는) 공황발작 ③상황에 따라 일어나는 공황발작

  36. 불안장애 6. 공황발작 및 공황장애 ※ DSM- Ⅳ의 공황발작 증상(이 중 4가지 이상)

  37. 불안장애 6. 공황발작 및 공황장애 ※ 공황장애의 진단기준 - 반복적이며 예기되지 않은 공황발작을 경험해야 한다. - 공황발작 가운데 적어도 한 번은 적어도 한 달 이내에 다음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결과를 가져와야 한다. a. 또 다른 발작에 대한 지속적인 걱정 b. 발작의 의미에 대한 걱정 c. 발작과 관련된 눈에 띄는 행동 변화 ※ 아동과 청소년에게 공황발작과 공황장애가 실제로 일어나는가 - 아동이 생리적이며 인지적인 공황증상을 실제로 경험하는지에 관한 것. ⇒ 아동과 청소년에게는 인지적 증상이 일어나지 않음(인지적 발달과 관 련) - 아동과 청소년이 공황을 단서 없이 경험하는지에 관한 것. ⇒ 촉발 단서를 밝히기 위해서는 신중하고 섬세한 질문이 필요함.

  38. 불안장애 6. 공황발작 및 공황장애 ※ 마무리 공황발작과 공황장애를 경험하는 많은 성인들이 청소년기 혹은 그 이전 에 장애가 시작되었다고 보고함. –문제가 됨 공황발작은 청소년기에 드물지 않게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근거-지역사회 표본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들 높게 평생유병률 보고함 (Ollendick, 1998). 청소년들은 생리적 증상과 인지적 증상을 모두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청소년들에게 공황발작이 단서 없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판단하도 록 하는 데 문제가 있음.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력에 공황발작이나 다른 심각한 불안증상을 가지 고 있는 경우가 많다.(공병비율 높음)

  39. 불안장애 6. 공황발작 및 공황장애 2) 원인 (1) 생물학적 요인 ① 노르아드레날린계의 활동과 청반 ② 실험실에서 유발하기 (2) 심리학적 이론 ① fear of fear 가설 ② 공황발작을 잘못 해석

  40. 불안장애 6. 공황발작 및 공황장애 3) 치료 (1) 생물학적 처치 - 벤조다이아제핀(항 우울제, 진정제)은 생물학적인 치료제 But,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하고 약물을 중단하면 즉각적으로 증상이 다시 나타남. (2) 심리학적 처치 ① 노출에 근거한 치료 ② 가족지향적 치료 ③ Barlow와 그의 동료들의 인지행동치료법

  41. 불안장애 7. 외상적 사건에 대한 반응 1) 정의 및 진단 외상이란?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심리적 고통을 줄 수 있는 뜻밖의 사건으로 정의됨. 아동과 청소년에 관한 외상 경험에 대한 연구 관심 증가의 이유? 첫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는 진단범주가 소개됨. 둘째, 아동 자신이 보고하는 불안 수준과 PTSD 증상이 부모의 보고보다 높다는 것이 발견됨.

  42. 불안장애 7. 외상적 사건에 대한 반응 DSM- Ⅳ로 PTSD를 진단하기 위해서 나타나야 할 특징 * 죽음이나 심각한 상해 혹은 자신이나 타인의 신체적 보전이 위협을 받는 외상적 사건에 노출되어야 한다. * 두려움과 무력감, 공포 등의 반응을 보여야 한다(아동의 경우에는 이러한 반응 대신 혼란되고 안절부절하지 못하는 행동을 보일 수도 있다). * 이와 아울러, 아동과 청소년은 한 달 이상 동안 아래에 제시되어 있는 세 가지 범주의 증상을 경험하여야 한다. a. 외상적 사건의 재경험 b. 외상과 관련된 자극의 지속적 회피 c. 각성된 흥분 증상의 지속 * 또한 이로 인한 어려움이 아동과 청소년의 중요한 기능 영역에 심각한 장 애를 초래하여야 한다.

  43. 불안장애 7. 외상적 사건에 대한 반응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DSM- Ⅳ 증상들

  44. 불안장애 7. 외상적 사건에 대한 반응 아동기 PTSD를 정의 할 때 발달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Salmon & Bryant, 2002). 왜냐하면 현재의 진단범주가 어린 아동의 경우에는 외상적 사건에 노출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을 시사했기 때문. 2) 외상에 대한 반응 - 많은 아동과 청소년이 PTSD 진단기준을 만족시키지 않음에도 불구하 고 심각한 심리적 고통과 기능의 저하를 경험. - 대부분의 아동은 외상을 회상시키는 자극만으로도 동요되며, 외상적 사건에 대한 생각을 억제하지 못하고 반복적으로 경험. - 아동과 청소년은 특정 공포를 자주 그리고 심각하게 나타낼 수 있다. (외상적 경험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자극에 대해서만 일어남)

  45. 불안장애 7. 외상적 사건에 대한 반응 - 분리의 곤란과 매달리는 의존적 반응 또한 흔히 나타나는 반응 - 수면문제도 자주 나타나는 반응 - 스스로를 나약하게 느끼거나 미래에 대한 신념을 상실 - 우울한 정서, 흥미의 상실, 자극에 대한 민감성, 분노 혹은 공격성 폭발 - 다른 사람이 사망하였을 때, 자신이 생존한 것에 대한 죄책감 느낌

  46. 불안장애 7. 외상적 사건에 대한 반응 3) 발달과정과 원인 * La Greca와 동료들(1996) 회피와 일반적 마비 증상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성의 증상을 보이는 아동의 수도 같은 기간 동안 67%에서 49%로 감소 하였음. But 지속적으로 증상을 재경험하는 아동도 많았음. - 외상에 대한 반응은 증상이 얼마나 지속되느냐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으 며, 시간 경과에 따라 달라지기도 함. - 외상적 사건에 대한 노출의 정도는 반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 - 즉, 노출 수준이 낮은 아동들 가운데에서도 노출에 대한 주관적 경험과 사건에 처해있는 아동에 대하여 얼마나 잘 알고 있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외상적 사건과 관계없는 개인차 또한 영향을 미침. - 외상적 사건에 대한 아동과 청소년의 반응은 또한 그들의 환경 내에 있 는 부모나 다른 사람의 반응과도 관련이 있음.

  47. 재앙 후 회복 환경의 특징 불안장애 자연 재앙에 대한 아동의 반응 예측을 위한 개념적 모형 LaGreca, Silverman, & Wassertein(1998)에서 인용 • 아동이 갖고 있는 기존의 특징 • 인종 • 성별 • 이전의 기능 • 불안 • 주의집중 곤란 • 학업능력 • 사건을 처리하고 대처하려는 노력 • 긍정적 대처 • 부정적 대처(예:남 탓하기/분노)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 외상적 사건에 대한 노출 • 사건 동안에 일어난 생명 위협 • 사건 후의 상실/방해 주요 생활 사건 사회적지지 부모 친구 교우 교사

  48. 불안장애 7. 외상적 사건에 대한 반응 ※ 원인 (1) 위험요인 (2) 심리학적 이론 (3) 생물학적 이론

  49. 불안장애 7. 외상적 사건에 대한 반응 4) 치료 (1) 전쟁 중의 접근방법 (2) 인지행동적 접근 (3) 정신분석학적 접근 (4) 생물학적 접근 * 사건 직후에는 아동이 가족과 함께 서로 감정을 나누고 자유롭게 의사소 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반응에 대해 준비하 도록 도와주며, 아동의 반응이 지극히 정상적이라는 것을 인식하도록 도 와주는 것이 좋다. 이 밖에도 집단상담, 개인상담 필요로 함. 주의해야 할 점- 치료에는 반드시 부모가 참여해야 한다.

  50. 불안장애 8. 강박장애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