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

도입기 ( 구한말 ) 의 간호 우정국사건 (1884) – 한일합방 (1910)

도입기 ( 구한말 ) 의 간호 우정국사건 (1884) – 한일합방 (1910). 전체개요 강화도조약 ( 1876 년 , 고종 13 년 ) 부터 한일합방 (1910) 에 이르는 의료체계 왕도 ( 王道 ) 이데올로기에 입각하여 삼의사 ( 三醫司 ) 를 주축으로 수행되었던 조선의 전통적인 보건의료체제가 무너지고 새로운 보건의료체제가 형성 삼의사 ( 三醫司 ) : 내의원 ( 왕실담당 ), 전의원 ( 양반담당 ), 혜민서 ( 평민담당 )

pavel
Download Presentation

도입기 ( 구한말 ) 의 간호 우정국사건 (1884) – 한일합방 (1910)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도입기(구한말)의 간호우정국사건(1884)– 한일합방(1910)

  2. 전체개요 • 강화도조약(1876년, 고종 13년)부터 한일합방(1910)에 이르는 의료체계 • 왕도(王道) 이데올로기에 입각하여 삼의사(三醫司)를 주축으로 수행되었던 조선의 전통적인 보건의료체제가 • 무너지고 새로운 보건의료체제가 형성 • 삼의사(三醫司) : 내의원(왕실담당), 전의원(양반담당), 혜민서(평민담당) • 약화된 왕권을 확립하고, 외세의 침입으로부터 자주 독립국으로서의 국가 정체성을 공고히 하기 위해 • 대한제국을 선포한 고종의 의료에 대한 의지가 크게 작용 • 서양의학은 신민(臣民)의 건강을 지키고 군대의 사기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부국강병을 실현할 수 있는 • 유력한 방법으로 주목받음 • 대한제국의 보건의료체제 개혁의 또 다른 이유는 기본적으로 당시 조선사회가 안고 있던 전염병문제와 열강의 • 각축으로 인해 생겨난 개항지의 인구관리 문제가 부각 • 서양의 보건의료와 의학이 도입으로 간호변화가 도래 : 일상적인 돌봄에서 벗어나 전문직 개념 도입 • 우리나라 현대간호의 발전단계 • - 도입기(구한말): 우정국사건(1884) – 한일합방(1910) • - 수난기 (일제강점기) : 한일합방(1910) – 해방(1945) • - 성장기 : 해방(1945) – 의료법개정(1962) • - 발전기 : 의료법개정(1962) - 현재

  3. 1. 왕립병원 • 1) 광혜원(제중원) • : 한국 최초의 현대적인 서양식 국립병원(40병상 규모) • 설립계기 • - 1884년(고종 21년) 우정국 사건 (갑신정변의 시초) • - 수구파인 민영익의 부상을 미국 공사관의 선교사 겸 공의인 알렌(Allen, H. N)이 완치 • - 왕실이 서양의술의 우수성을 인정 • - 궁중의 전의로 발탁된 알렌의 건의를 수용 • - 혜민서와 활인서를 폐쇄하고 1885년(고종22년) 광혜원 설립 후 12일 만에 제중원으로 개칭 • 체제 • - 조선왕실은 광혜원 규칙을 제정 • - 원장 격인 ‘광혜원당랑(廣惠院堂郞)’을 조선인 관리가 담당 • - 의료진 : 미국인 선교사 알렌 초빙 • - 병원 운영 및 사무관리 : 조선인 관리 • - 운영비 : 치료비와 약값을 국가(왕실)에서 충당 • - 학생을 선발하여 의학실습교육, 서양의학 학습 • - 조선의 유교적 풍습수용 : 13-16세의 총명한 기녀 5명에게 최초로 서양의술을 가르쳐 보조자로 활용 • - 공식적으로 간호인력 양성은 하지 않음

  4. 제중원에서 활약한 인물 • - 의사 선교사 : 알렌 – 고종에게 제중원 설립을 건의함 • 스크랜튼(Scranton) – 알렌의 협조자 • 헤론(Heron) – 알렌의 뒤를 이어 제중원의 진료책임자로 활약, 병사함 • 빅톤(Victon) – 캐나다의 선교사로 헤론의 뒤를 이어 제중원 진료책임자로 활약 • 에비슨(Avison) -빅톤의 뒤를 이어 제중원 진료책임자로 활약 • - 여성의료인 : 엘러스(Elless) –제중원의 부인부 책임자, 왕비와 왕실부인의 의료담당 • 호르톤(Horton) – 엘러스의 후임으로 부인부 책임 • 언더우드(Underwood) – 약사 겸 간호사 • 제중원의 쇠퇴 • - 선교를 근본 목적으로 하는 서양선교사들과 서양의술만을 활용하려는 조선정부의 갈등 • - 갑오경장과 청일전쟁 이후 왕실재정지원 부실 • - 설립된 지 겨우 9년 만인 1894년 고종은 미국 북장로교파선교부에 병원을 위탁경영 • - 위탁경영 11년 만인 1905년 조선정부는 환수금을 지불하고 미국 북장로교파선교부로부터 제중원을 환수 • 이후 제중원의 기능은 유명무실해짐

  5. 2) 내부병원(광제원) • 설립과정 • - 관립의학교관제 반포 (1899년, 고종36년) : 제중원과 별도로 반포 • - 관립의학교(官立醫學校)설립 (1899년, 고종36년): 초대 교장에 지석영을 임명 • - 내부병원관제반포 (1899년, 고종36년): 내부(內部)직할의 국립병원인 ‘내부병원(內部病院)’ 설립 • 내부병원 설립목적 • - 일반 환자의 진료를 주 업무로 함 • - 이외에도 감옥에 수감된 죄수의 구료 • - 전염병 환자를 위한 피병원(避病院, 격리수용병원) 역할 담당 • 운영체제 • - 외래 중심(입원실을 마련하지 않음) • - 한방진료와 서양의술 겸용 • - 초대 병원장 : 최훈주가 임명 • - 감옥의 죄수, 전염병 환자, 빈민, 일반민중을 대상으로 하는 내부병원의 설립과 운영의 특성은 조선시대 • 활인서의 부활로 여겨져개원 초부터 번창

  6. 개명 • - 내부병원 보시원(普施院) 광제원(廣濟院) • 운영 • - 1902년 전국적인 콜레라 발생 콜레라 방역 기관으로 변신 • - 각 지방의 병자를 구료 • - 인천, 평양, 의주 등 세 곳에 광제원피병원을 설치 • - 을사보호조약과 조선통감부 설치 후 일본인 의료 인력 증가, 서양의술 전용기관으로 전환 • - 서양의학의 전문 진료과 표방 : 이비인후과, 일반외과, 안과, 부인과 등이 개설 • - 입원과 수술을 시행 • - 일본 간호부(3명) 근무 : 간호업무담당, 잡무를 맡은 조선인과 일본인의 관리감독 • 합병 • - 대한의원에 통합(1907년) • 3) 관립의학교 부속병원 • - 광제원과는 별도로 ‘관립의학교부속병원(官立醫學校附屬病院)’개원 • - 광제원과 함께 : 대한의원에 통합(1907년)

  7. 3) 적십자 병원 • 설립배경 • - 국제적십자에 대한 지식인의 호감 : 적십자의 인도주의적 사상 • - 개화 선각자들의 적십자 활동(서재필 : 적십자 소개, 독립신문 발간) • - 스페인 적십자사의 공한(1898): 대한제국의 군대조직의 위생 상태를 알려달라는 요청 • - 고종의 적십자에 대한 관심 : 파리 주재 공사 민영찬을 적십자 국제회의에 처음으로 파견 • - 제네바조약 가입(1903년, 고종40년) • 설립과정 • - 대한적십자사규칙 제정 및 반포(1905년, 고종 42년) • - 적십자병원(赤十字病院) 설립 (1905년, 고종 42년) • 설립목적 • - 빈곤한 환자, 천재(天災) 혹은 사변(事變)으로 인한 상병자의 구호

  8. 운영체제 • - 적십자사 총재 : 왕족 중에서 임명 • - 구호환자는 대한제국 적십자사에서 발행하는 치료 표를 가진 경우에만 진료를 받을 수 있었음 • - 일반 환자의 경우 정해진 진찰료와 약값, 그리고 병실 이용료를 미리 지불 • - 적십자병원은 왕실직속으로서 왕실이 직접 환자의 구료사업에 참여하였다는 점에 주목 • 간호와의 관련 • - 최초로 국가병원조직에 간호부(看護婦)를 두었다는 점에 의의를 둠 • - 간호부장으로 하여금 간호 부서를 통솔하도록 간호위계를 갖추었다는 점 • - 그러나간호졸감원(看護卒監員) 김용호, 간호부감원 박의호 등 간호교육이나 훈련을 받은 경력이 없는 • 남성들이 임명되었다는 점이 큰 아쉬움으로 남아있음 • 합병 • - 을사보호조약 체결과 대한제국의 외교권 박탈 • - 광제원, 관립의학교부속병원과 함께 대한의원에 흡수통합

  9. 4) 대한의원 • 설립 • - ‘대한의원관제’ 반포 및 ‘대한의원’ 설립(1907년, 순종 1년) • - 의정부 직속으로 창경궁의 바깥 정원인 함춘원(현 서울대 의대병원)의 언덕에 위치 • - 개원(1908년) • - 광제원, 관립의학교 및 부속병원, 적십자병원을 차례로 흡수 통합 • - 시설 및 건축 : 병동, 부검실, 의학교, 6개병동(이비인후과, 내과, 혈환자, 보통내과, 하과(下科)), 전염병실 1동, • 온돌식 병동 • 운영체제 • - 수준이 격상된 의료 기관 • - 의정부 직할로 격상(병원장 : 내부대신이 겸직) • - 원장 밑에 위생부, 진료부, 교육부(의육부)의 3부로 나누어 업무를 담당 • 위생부: 의사, 약제사, 산파의 업무에 관한 사항, 매약(賣藥) 단속에 관한 사항, 전염병 및 지방병의 예방, • 종두 및 기타 공중위생에 관한 사항, 성병검사, 검역관련 사항, 지방병원에 관한 사항 담당 • 진료부 :질병구료와 빈민시료 등에 관한 업무를 담당 • 교육부 : 의사, 약제사, 산파의 양성, 의학교과서 편찬 등의 업무 관장 • - 한방을 배제하고 순수 서양의술만으로 진료 • - 적십자의 업무에 해당하는 구호사업도 관장

  10. 대한의원 부속의학교 • - ‘대한의원관제개정’(1909) : 병원에서 교육기능을 분리 • - 대한의원 교육부(의육부)를 ‘대한의원부속의학교(大韓醫院附屬醫學校)’로 개칭하고 교육기능 귀속 • - 의사, 약제사, 산파 및 간호부의 양성을 위해 따로 부속학교를 둠으로써 의료인력 양성 기능 강화 • - 따라서 간호교육도 대한의원부속의학교간호과 및 산파과로 그 명칭을 바꾸고 세부규정을 개정 • 간호에 미친 영향 • - ‘대한의원관제’에는 정규직으로서 간호 인력이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대한의원 개원 당시부터 산파와 간호부 • 를 둠 • - 두고 있었다. 1907년에 산파 3명과 간호부 10명에서 점점 그 숫자가 증가하여 1909년에는 산파 및 간호부의 • 수가 전체 의료인의 87명 중 69%를 차지 • - 당시 간호부와 산파는 대부분 일본인이었음 • - 대한의원의 간호부서에는 간호부장, 간호부장 대리, 병동 주임간호부, 일반간호부가 있어 직급에 따라 • 월급이 지급 • - 주로 대한의원 내에서 근무하였으나 필요 시 의사를 동반하여 왕진에 참여 • 기타 • - 대한의원의 의료직에서 한국인들이 소외되는 경향이 강했음 • - 약제사 부속학교 교관 등 38명의 한국인이 근무(지석영 : 대한의원부속의학교의 학감으로 봉직) • - 대한의원은 진료비가 비싸고, 일본에 대한 반감 때문에 한국인의 이용은 저조하였음

  11. 2. 선교계 병원 • 구한말(개항기)선교계 의료와 간호의 특징 • - 임상중심(병원과 외래)의 간호 • - 공중보건 및 예방 경시 • - 사람들과의 접촉이 빈번한 치료에 집중(선교목적) • - 선교간호사들은 환자간호를 담당할 한국인 간호사 양성 • - 병원은 1-2명의 선교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외래중심의 의료시설을 갖춤 • 1) 세브란스 병원 • 설립배경 • - 선교의사 에비슨(Avison, O. R)은 제중원의 경영을 둘러싸고 조선정부와 갈등을 겪자 새로운 돌파구 모색 • - 1900년 뉴욕에서 열린 만국선교사회 참가 시 한국에 새로운 서양식 병원과 의학교를 설치할 것을 제안하여 • 동석하였던 세브란스(Serverance)의 후원으로 남대문 밖 도동(현 서울역 앞)에 세브란스 병원 설립 • - 미국 북장로회선교부는1905년 조선정부로부터 환수금을 받고 제중원을 조선정부에 반환함

  12. 세브란스 병원의 간호사 • - 제이콥슨(Jacobson) : 에비슨의 요청으로 1895년 장로교 해외선교부에서 파견된 첫 선교 간호사 • - 쉴즈(Shields) • 제이콥슨의후임으로 부임 • 미국 필라델피아 종합병원 간호학교 출신으로 나이팅게일식교육을 철저하게 받은 인물 • 36년 동안 한국에 머물면서 고통에 시달리는 수많은 사람을 간호함 • 최초의 간호단체를 조직하는데 공헌 • ‘한국의 나이팅게일’이라는 찬사를 받음 • 세브란스 병원의 간호 • - 그 당시 병원 간호사들은 12시간을 근무 • - 식사제공, 성경공부와 기도, 드레싱, 찜질, 투약, 침상정리, 마사지, 환자기록 등의 업무를 수행 • - 간호사의 덕목 : 복종, 인내, 온순, 친절로서 윗사람의 지시를 철저하게 따름 • - 간호사들은 질병에 유능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고, 청결과 위생을 중요시 하였음

  13. 2) 기타 선교계 병원 • 부인병원(종로) • - 선교의사 스크랜튼(Scranton)이 개설 • - 여의사 하워드(Haward)와 쉴우드(Sherwood)가 사업을 계승 • 부인병원(동대문 북쪽, 현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병원) • - 여의사 커틀러(Cutler)가 1908년 개설하여 부인전문 의료사업을 시작 • 성 메튜병원(서울남부 낙동, 현 서울시 회현동) • -1892년 영국성공회에서 설립 • - 와일스: 외과를 담당하면서 영국해군기지의 병원을 함께 관리 • - 1893년 의사 발독크(Baldock)에 의해 주로남자환자를 치료 • 성 피터병원 : 의사 알렌(Allen)이 설립 여자환자를 진료하였으나 1904년 폐쇄 • 성 누가병원 • - 1890년 랜디스(Landis)가 인천 외국인 거류지의 외곽에 개설하여 인천세관의 검역업무와 진료업무를 겸임. • - 랜디스가 장티푸스로 사망하자 1898년 폐쇄 • 남성병원(개성) : 미국 남감리교의 선교 의사 레이드(Reid, M. T)가 설립 • 구세병원(원산) : 의사 맥길(Magil)이 설립하여 운영 • 예수병원(전주) : 미국 남장로교회의 의사 인골드(Ingold)가 1899년 설립명명됨

  14. 동산병원(대구, 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병원) • - 미국 북장로교에서 파견된 의사 존슨(Johnson)이 1897년 진료소를 바탕으로 병원을 신설 • - 존슨의 후임 피쳐(Fetcher)가 확장 • 애락원: 1909년 피쳐에 의해 설립된 나병원 • 호주장로교 • - 패톤기념병원(진주) 설립 • - 1907년 나병구제사업 :매켄지(Mackenzie)의 공로 • 홀기념병원(평양)과 래드기념병원(평양) : 서북지방 의료사업의 중심지 • 자혜병원 (함흥) : 캐나다 장로교파의 크리어슨(Crierson)이 1900년 설립 • 천주교 • - 성바오로수녀회: 순조, 철종 때부터 소규모의 의료사업을 실시, 1894년 명동성당 내 수녀원에 진료소 개설 • (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병원) • - 기타 수도회 : 지방도시의 천주교 성당에서 무료 시약소와 진료소 개원 • 영국성공회 • - 히트코트(Heathcote) :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근대적 간호사업을 수행한 사람, 1891년 한국에 도착한 • 첫 선교간호사, 이듬해 여의사 쿠크(Kooke)와 함께 부녀자를 대상으로 하는 작은 진료소를 경성 정동에 개설 • (후에 성 베드로병원)

  15. 구한말 서양인 선교간호사

  16. 구한말 초기 선교간호사의 업적 • 전문직 속성을 가진 서양의 근대적 간호를 실시함 • 과학적 이론과 체계를 갖춘 간호법을 소개 • 초창기부터 국제교류를 맺어 국제적인 진출의 밑거름을 마련함 • 의사의 시중을 드는 것(일본식 간호)에서 벗어나 의사와 동반자로서 환자의 질병치료 및 건강교육을 중시 • 기독교 정신에 바탕을 두고 사랑과 희생으로 타인을 위해 봉사하는 모범적 태도를 보여줌 • 남존여비 사상에 젖어 있던 조선시대에 여성들의 사회참여를 이끄는 계기를 마련

  17. 3. 일본계 병원 • 개항지 일본 의원 • 강화도조약(1876년, 고종 13년) 체결 후 일본은 조선으로부터 청나라를 견제하기 위해 조선의 개항지에 • 일본인의 거주를 장려 • 개항지에 일본인 거주민 증가 : 일본정부는 자국 이민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서양식 병원을 설립 • 개항지 일본의원 • - 부산의 제생의원(1877) :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 • - 원산의 생생병원(1881) • - 인천의 영사관부속병원(1883) • - 목포와 진남포의 공립병원 • 일본에 의해 세워진 개항지 의원은 일본인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백성에게도 의술을 시행하여 • 우리나라 백성들이 최초로 서양의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됨 • 그러나 청일 전쟁 후 이러한 병원들은 병참병원으로 개칭 활용됨

  18. 2) 기타 일본계 병원 • 일본관의원(1883) • - 일본공사관 옆에 개원 • - 일본인들과 함께 조선인들에게 의료를 실시 • - 개원 6개월 후 : 내원환자 수 1200여명에 달함 • 찬화의원(1889) • - 일본공사관 의관으로 경성에 부임한 후루시로바이케이가 개원 • - 종두의(種痘醫)를 양성 • 한성의원 (명동) • - 청일 전쟁 직후 우리나라 정부의 위생고문으로 서울에 오게 된 오리와키토시오가 설립 • - 1904년 병원의 경영권이 일본거류민단에 이관되어 ‘공립한성병원’으로 개칭 • - 조선 관리들의 이용이 빈번

  19. 구한말의 보건의료 • 콜레라의 유행과 간호 • 전염병법령반포(1895년, 고종 32년) • - 경성과 지방에 콜레라가 창궐하여 북쪽 국경지대에서만 6만 여명이 사망 • - 대한제국 정부는 처음으로 전염병에 대한 법령을 반포 • ‘내부령 제 4, 5호 : 호열자 예방과 소독집행규칙’ 반포(1895년, 교종 32년) • - 내부(內部)에서 반포 • - 이 규칙에 의해 검역소와 피병원 설치 • - 각 지방 관아의 협조를 받아 전염병의 전파차단, 콜레라 사망자와 이환자의 파악, 각종 조치 • - 방역사업과 관련하여 일반인에 대한 강제적인 통제가 행해짐 • - 소독 및 예방 규칙에 있어서 서양의 과학적 소독법이 처음으로 채택되어 실시 • - 전염병 퇴치를 위한 검역소와 피병원을 인천, 평양, 의주에 설치하기로 하였으나 순조롭지 못함 • - 에비슨 박사를 비롯한 서양 선교사와 일본인 의사들의 협력 • - 내부(內部)에 방역국 설치 : 방역국장으로 에비슨이 임명 • - 방역국의 활동 : 예방법의 작성과 배포, 피병원 환자의 구료, 환자와 사망자의 보고와 역학조사, 환자의 집 • 소독, 전염병의 전파경로 차단, 물자와 경비의 보급

  20. 구한말의 간호교육 • 1) 정동 보구여관(保救女館) • 설립 • - 1887년에 감리교에서 세운 최초의 여성 전용병원인 ‘보구여관’에 간호교육기관 개설 • - 1903년 간호사교육을 위한 정규과정이 개설 • - 선교간호사 에드문드(Edmunds)가 개설 • - 한국 최초의 간호교육 기관 • 입학자격 • - 기독교인 • - 읽고, 쓰고, 시계를 볼 수 능력 • - 입학연령은 21-31세로 규정 • - 부모동의서, 의사건강진단서, 교회증서, 소정의 입학금이 요구

  21. 교육과정 • - 정규과정(6년) • - 단기과정(3년) • - 임상지도 중심의 교육 : 교육의 이상은 높았지만 교사와 교과서 부족,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 - 교과목 • 이론 : 인체골격, 순환과 혈액, 해부, 생리, 식이요법, 약물, 위생학, 중독과 해독법, 산과학, 이비인후과, 외과, • 전염병, 예수의 생애, 나이팅게일의 생애, 간호사의 자격, 간호윤리, 병원규칙 등의 강의 • 실습 : 붕대법, 침상 만들기, 목욕법, 투약, 식이준비, 활력증상 측정, 증상기록, 세척, 찜질, 드레싱, 마사지 • 원리, 사후처리, 수술실에 관한 실습 등 • 교양 : 성경, 음악, 산수, 국어, 한문, 영어 • - 2개월 수습기간을 거쳐 입학이 허락되면 계약을 하고 학교 유니폼 착용 • - 교과서 • 『전체공용문답(全體功用問答)』 : 이화학당의 프라이(Frey)와 페인(Paine)의 공저인 생리학교과서 • 본역소책자: 고열환자 간호, 조리법 • 미국간호학 번역본 서적

  22. 운영현황 • - 동료 선교사의 도움으로 운영 • - 운영의 어려움 : • 당시 한국여성들의 은둔생활, 조혼풍습 • 현대식 병원제도에 익숙하지 못한 점, 여성전문직에대한 사회의 몰이해 • 시간개념의 부족 • 청결과 순종에 대한 인식 및관습의 차이 • 입학생들의 낮은 사회적신분 • - 첫 가관식 : 1906년 1월 25일 • - 첫 졸업생 배출 : 1908년에는 2명의 졸업생(김마다, 이 그레이스) • - 이익채는보구여관 간호부 양성소에 재직하여 해리슨(Harison) 소장과 커틀러(Cuttler) 의사를 협조하면서 • 처음으로 두 권의 간호 교과서를 한글로 번역 • - 1912년 2개의 양성소 분할 • 평양 부인병원내에 설립 • 모체인 정동 보구여관이 경성 동대문 부인병원으로 발전적 통합(현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의 전신)

  23. 2) 세브란스 병원의 간호교육 • 설립 • - 1906년 쉴즈(Shields)가세브란스 간호부 양성소를 세브란스병원 내에 설립 후 초대교장 역임 • 교육이념 :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인간애 • 입학자격 • - 기독교인 • - 한글, 기초산수의 해득 가능 • - 학교의 규칙의 엄수 서약 • - 2개월의 예비기간을 거침 • 교육과정 • - 기본간호술 및 실습, 해부와 생리, 증후관찰과 식이공급, 안과질환, 약물학, 미생물학 등 • - 내외과 병실, 수술실, 부인과 진료실, 외래진찰실, 산부인과 및 공중보건 간호실 등의 임상실습 • - 실무능력 개발에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옴 • - 전원 기숙사 의무화 : 서구식 생활 및 공동생활을 배우고, 신여성의 예의범절과 교양, 공중도덕을 익힘 • - 수업과 기숙사 생활은 엄격한 규율 밑에서 이루어짐 • - 학생과외 활동 : 학교구내에 있는 기독교 교회활동과 병행 • - 보구여관과 자매병원 : 합반교수(合班敎授)들이 교환실습, 양쪽 교육기관의 자원 공유 • - 제1회 가관식 : 1908년 (5명이 가관자격) • - 제1회 졸업식 : 1910년 (김배세) • - 세브란스 간호부양성소는 오늘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의 전신

  24. 3) 대한의원의 간호교육 • 설립 • - 1907년 3월 10일에 반포된 칙령 제9호 ‘대한의원관제’에 의해 설립 • - 대한제국 정부가공식적으로 설립한 국립간호교육기관의 효시 • 입학자격 • - 18세-25세 • - 품행이 단정하고, 신체검사 및 입학시험에 합격한 자 • 입학시험 • - 산파 및 간호과: 독서(국문 오륜행실)와 간단한 국문작문

  25. 교육과정 • - 수업연한 : 의학과(4년), 약학과(3년), 산파과 및 간호(2년) • - 입학정원 : 의학과(50명), 약학과(10명), 산파과(10명), 간호과(20명) • - 산파과 및 간호과는 우리말로 수업을 한 것으로 추측 • - 학기 :전학기(4월 1일부터 10월 20일)와 후학기(10월 21일부터 다음 해 3월 31일)로 구분 • - 수업일수 : 매 학년 200일 이상 • - 방학휴가 : 봄(4월 1일부터 4월 10일까지), 여름(7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 • 겨울(12월 29일부터 다음해 1월 7일까지) 3회 • - 엄격한 징계 규정 • - 졸업자격 : 각 과목을 100점 만점, 모든 과목을 40점 이상, 총 평균 60점 이상 • - 수업료 무료 혜택 : 졸업 후 일정기간 대한의원에 의무적 근무조건, 조건 불 이행시 학비 상환 • (의무근무 : 의학과 3년, 약학과 3년, 산파 및 간호과1년) • - 수업료를 사비로 지불할 수 있으나 간호과는 사비생이 허용되지 않음 • - 대한의원 부속의학교는 지금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이며 • 산파 및 간호과는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의 전신이다. • 역사적 평가 • - 긍정적 평가 : 근대적 교육 기회가 제한되어 있던 당시 우리나라 여성들에게 전문직 교육을 제공한 점 • - 부정적 평가 : 일본의 간섭과 영향력을 배제하지 못하고 의존적이었다는 점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