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7

명상 치료 전문가 카밧진 , MIT 분자생물학 박사 출신 , “ 호흡으로 몸 · 마음 관계 눈떠 ” 세계 700 개 의료기관서 활용

peta
Download Presentation

명상 치료 전문가 카밧진 , MIT 분자생물학 박사 출신 , “ 호흡으로 몸 · 마음 관계 눈떠 ” 세계 700 개 의료기관서 활용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MBSR은 1979년 카밧진 박사에 의해 美 메사추세츠대 메디컬센터에서 창안된 이후 30여 년 동안 수많은 임상효과를 거뒀다.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비롯해 만성통증, 암 등 신체질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증상의 완화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었다. 현재 전세계 720여 의료기관에서 운영 중이다. 카밧진 박사는 MBSR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인 로잔을 예로 들었다. 혈액암으로 임종이 가까웠던 그녀는 MBSR을 통해 의료진이 놀랄 만큼 병세가 호전됐고, 지금까지 생존해 MBSR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카밧진 박사는 “모두가 MBSR의 효과를 보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10~15%의 참여자들이 MBSR의 (병세 호전 등)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MBSR의 진정한 효과는 개인의 실천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또, 존 카밧진 박사는 “MBSR은 참여자로 하여금 스스로 자신과의 관계를 재구축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자체가 깊은 치유의 효과를 갖는다”고 설명했다.“MBSR이 당신을 더 오래 살게 해주지는 못합니다. 다만 더 지혜롭고, 더 자비롭게 살도록 해줍니다.”

  2. 명상 치료 전문가 카밧진, MIT 분자생물학 박사 출신, “호흡으로 몸·마음 관계 눈떠”세계 700개 의료기관서 활용 현대의학이 발달하면서 아이러니컬하게도 ‘마음의 치유 효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불교식 명상을 통한 마음 조절로 현대의학도 포기한 불치병과 싸우려는 시도다.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 시작된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마음챙김 명상은 이 분야에서 가장 활발한 요법으로 꼽힌다. 미국에만 300개, 전 세계적으로 700개의 의료기관에서 MBSR을 채택해 불치병 치료를 돕고 있다. 불안·우울증 등 마음의 병 치료에도 확산되는 추세다. 그는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MIT 살바도르 루리아 교수 밑에서 분자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70년대 중반 ‘조계종 국제화’의 선구자인 숭산(1927∼2004) 스님을 통해 한국 참선을 접했다. “불교가 바탕에 깔린 마음챙김 명상은 그 뿌리가 고려시대 선사 지눌에까지 이어진다”며“한국을 찾은 것은 그런 인연이 작용한 결과”라고 했다.

  3. *마티유리카르(Matthieu Richard) 스님은? 철학자인아버지와화가인어머니사이에서태어난마티유스님은유복한어린시절을보냈고, 파스퇴르대학에서세포유전학으로박사학위를받았다. 과학자로연구활동을하던 중 홀연히히말라야로떠나 40년간 명상수행자로서, 불교승려로서살아가고있다. ‘마음과 삶 연구소(Mind and Life Institute)’에서명상신경과학의주요연구자인리처드데이빗슨(Richard Davidson) 교수와함께명상과뇌의가소성에대한과학적연구에적극적으로참여하고있다. 미국위스컨신주립대학교에서마티유스님의머리에 256개의 센서를붙이고기능성자기공명장치(fMRI)로 촬영하여검사한결과스님의좌측뇌전전두피질은역사상가장높은긍정적감정의수치를보였다. 그 후로스님에게는 ”세상에서가장행복한사람“이라는별명이붙게되었다. 주요저서로는 <승려와철학자>, <행복을위한변명>, <손바닥안의우주>가 있다.

  4. 마음 – 사람의 내면에서 성품(자기 고유의 특성), 감정, 의지를 포함하고 있는 정서적인면의 심리적 에너지. 지각하고 사유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며 자신을 통제하는 내면 활동의 에너지. 정신보다는 개인적인 의미가 있다. (자아) 정신 - 지성이나 이념의 의미로써 마음보다는 높은 차원에 있는 영적 에너지. 개인적인면을 떠난 높은 이상적인 의미. 민족정신, 시대정신, 영혼, 악령, 사령 의식 – 순수한 생명활동, 호흡하는 생명체로서의 5감 활동, 인위적 가공이나 구성이 없는 순수 체험. 객관적인 그냥 보이는대로의 의식 활동. 깨어 있는 상태에서 자기 자신이나 사물에 대하여 인식하는 생명의 순수 경험 활동. 생각 – 머리를 써서 스스로 가늠하여 앞뒤 생각 없이 헤아리거나, 판단, 분별(分別), 회상, 기억으로 결론을 얻으려는 자기 관념의정신활동. 사고 -思考, 사유(思惟). 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그 목표나 결론에 이르기까지 방법을 찾으려고 하는 정신 활동, 또는 심리작용. 어떻게 이해하고 또 행동해야 할 것인가를 헤아리는정신 활동. 마음자리- 근원적인 마음의 바탕 마음결 - 움직임 마음씀- 일어남 마음씨 - 모양 가슴

  5. 혜가는 마음으로써 마음을 구해보려고 했지만 결국은 마음을 얻을 수 가 없었던 것은 마음은 대상을 아는 역할을 하는 자신이기 때문에 대상화될 수 없다. 대상화된 것은 벌써 마음 그 자체가 아니며 마음의 그림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마음의 미묘한 움직임은 소리도 없고 모양도 없고 그렇다고 냄새나 촉감도 없다. 마음을 들여다보더라도 인간은 결코 ‘마음’을 발견하지 못한다. 다만 지각과 느낌과 기억 조각들과, 꿈과 상상과 욕망들이 흘러가는 과정만이 있을 뿐이다. 영가 천도 방법

  6. 보조국사 지눌은진심이명편에서 마음의 다양한 이름을 소개하고 있다. “보살계에서는마음을 땅(心地, mind-ground)하였으며, 반야경에는 그것을 보리(bodhi)라 하였으며, 화엄경에는 법계라 하여금강경에는 여래(如來)라 하였으니 온 곳이 없기 때문이며, 또 반야경에는 열반이라 하였으니 모든 성인들의 돌아가는 곳이기 때문요, 금광명경(金光明經)에는 여여(如如)라 하였으니 진실하고 항상 되어 변하지 않기 때문이며....” 마음을 뜻하는 팔리어 칫타(citta)는 영어의 mind(마음)에 가까운 말이며, 주로 의식의 흐름을 뜻하며, 조직적이며 의도적이고, 개체성을 가진다는 의미가 있다. 또 팔리어 칫타(citta)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도 있다. “마음은 무형이며 동굴 속에 있다.”“마음은 움직이며, 그러면서도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마음은 먼나먼 곳까지 홀로 여행할 수 있으며, 가볍고 재빠르고 마음대로 다닐 수가 있다. 옳고 그름을 가리는 논쟁을 하면서도 마음은 멀리 떠나 보낼 수가 있다 마음은 의도를 가지고 있고 지속성을 가지고 있고 또 감정도 가지고 있다. 마음은 분명히 물질에서 비롯된 것이며, 일반물질과는 질이 다른 특수물질이다. 일반 물질은 질량과 형태가 있고 고정되어 있지만 마음은 환경과 조건에 따라 유동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다른 어떤 능력과 마찬가지로 조절이 되고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그리고 마음은 12연기법에서 명색(名色) 다음에 식(識)으로 표시 되는데,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에서 물질과 에너지는 새로 생성되지 않고 서로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실체의 변환 과정을 가진다고 설명하였고, 근대 생리심리학의 창시자 제임스William James(1842~1910)는 물질로부터 특별한 과정들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질 자체가 에너지와의 교환 과정을 가진다고 했다. 마음은 일반 물질로부터 파생되었지만 일반 물질과는 질이 다르게 특수한 에너지 흐름의 현상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것을 의식, 정신, 심리 또는 불교에서는 마음이라고 한다. 이러한 마음은 실체가 없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하고 복잡하고 어려운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래서 마음에 대해서 논할 때는 주관적인 확신에 기초한 허구적인 내용이 난무하기도 한다. 마음은 인식되는 대상에 따라서 작게는 모래알만큼에서 크게는 광대한 우주 넓이만큼 조절이 가능하면서 인식 대상을 반영하고 자각할 수 있다. 불교의 역사는 이러한 마음의 실체를 추상적이고 관념적이지 않고 구체적으로 관리하고 발달시키는 방식을 설명해 주고 있다.

  7. 고통이란? 임상에서는 증상이라고 하고 연(緣) – 조건 기(起) - 일어남 苦 상담에서는 주호소문제라고한다 고통이 있으므로 해탈이 있고 고통이 없으면 해탈이 없다. 건강한 자 – 수용, 직면 어떻게 하면 자유로워 질까? 자각할 수 있는 방법 통찰을 해야 한다. 그리고 말하게 하고, 신체로 표현하게 하고, 글쓰기를 하라. 약한 자 - 회피 원인: 갈애, 욕망, 갈망, 집착 집착의 원인 : 결여 되어 있어서, 무엇이 결여가 되었을까? 신뢰와 안전이 확보가 안되었기 때문 신뢰는 타인을 통해서 신뢰, 안전을 얻을 수 없다. 대중속에 고통, 소외, 인간성 박탈로 파괴적 본능을 갖고 불행하게 살아간다. 신뢰와 안정감이 무너지고 있다. 대안은? 생리적 욕구 - 사회적 욕구 – 인정, 남자 정서적 욕구 – 사랑, 여자 거룩한 고통을 맞으라

  8. 색(色) - 수(受) 상(想) 행(行) 식(識) 오감, 지수화풍, 고통의 덩어리, 욕망의 덩어리 고통이 있으므로 해탈이 있고 고통이 없으면 해탈이 없다. 정신적 육체

  9. 색(色) – 물질적육체, 다섯 가지 감각기관. 사대요소(지수화풍) 안(眼)- 눈으로 모양과 색깔(자극또는 외부 대상)의 정보를 뇌(의식)에 저장하 면서 보는 마음(안식)을 일으키고, 이(耳) – 귀로 소리(자극또는 외부 대상) 의 정보를 뇌(의식)에 저장하면서 듣는 마음(이식)을 일으키고, 비(鼻) – 코로 냄새(자극또는 외부 대상) 의 정보를 뇌(의식)에 저장하면서 냄새 맡는 마음(비식)을 일으키고, 설(舌) – 입으로 맛(자극또는 외부 대상) 의 정보를 뇌(의식)에 저장하면서 맛을 보는 마음(설식)을 일으키고, 신(身) – 몸으로 감촉(자극또는 외부 대상) 의 정보를 뇌(의식)에 저장하면서 몸으로 촉감을 느끼는 마음(신식)을 일으키고, 오식이 하나가 되어서 6식(뇌 정보) 시냅스 – 촉 신경과 신경을 연결.

  10. 수(受) – 느낌이 없으면 마음이 일어나지 않음. 마음 발생 마음은 느낌을 조건으로 함. 몸 느낌 – 감각신경 말초-중추 귀 느낌 - 청신경 혀 느낌 – 미각신경 코 느낌 – 코신경제체기 눈 느낌 - 시신경 많이 받아들이면 신경을 많이 쓰면 노화, 몸에 이상 업이 무거운 사람, 신경쓸 일이 많은 사람, 긍정적, 즐거움도 고통 감정, 즐거움, 평안, 불안, 슬픔, 수치심, 화 정서 경계를 접하는 순간부터 유기체 내부로 전환되는 이미지와 함께 동시에 신경 생리작용 (마음 에너지)가 발생.

  11. 24: 04 qnxj

  12. 상(想) 생각, 머리를 써서 스스로 가늠하여 앞뒤 생각 없이 헤아리거나 판단함. 분별(分別), 회상, 기억, 사고-思考, 사유(思惟).,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그 결론에 이르기까지의 심리 작용.판단, 사유, 신념 어떤 상황을 받아들여졌을 때 자신도 모르게 떠오르는 이미지, 회상, 기억, 생각들에 의해서 판단하고 분별하고 사유와 사고에 이르는 과정.(자기경험 세계관, 신념) 자기 경험, 자기의 세계관 자기 도취, 자기애성성격장애 자기 패배의식,건강 염려, 사회관계 단절과자살 생각 지각 – 사물의 이치나 도리를 분별하는 능력 인지 – 사물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능력

  13. 행(行)이미지 단계 다음에 오는 육체적, 정신적 실행 단계. 행동이전에 벌써 자신의 이미지 상상 기억, 회상, 업 정보가 일어남. 몸의 표현 (業), 행동을 하거나 몸으로 자극을 받은 감정 상태가 몸으로 나타남. 충동을 일으키고, 기대를 하고 의지와 갈망이 일어남. 자기비관, 의욕상실, 식욕, 성욕 감퇴, 잠만 자고 피곤, 정상생활 포기, 사회적 관계 무너짐, 미래는 희망이 없다. 몸이 축 쳐짐, 자신에 대한 부정적 평가, 자기 패배, 인간관계 철회, 불면증, 건강 염려, 단절. 자살 생각 귀신병 단계, 갈망, 의지 보고싶다, 삼킨다, 소망, 뱉는다, 기대, 충동 6식의 활동(정보들로 작용되어진 몸과 마음)이 7식 전의식으로 저장(습관) 습관이 지속,8식(신경병) 완전히 자신을 뒤엎어서 자신이 누구인지 자기가 누구인지를 모르고 가면된 삶을 살다가 몸이 아파온다 병을 고치기 위한 방법은자기가 누구인가 자신 본성찾기, 사람들은 한번 아프고 나면 자신이 정체를 실감함.

  14. 6식(識) – 총체적 정보를 저장함. (느낌 포함) 이 정보가 윤회한다.(영체) 생명이란 호흡, 의식활동은 호흡에 의한 것. 생명활동 - 5감 활동과 감정 제7말나식(意) - (전의식) 제8 아뢰야식(心) – 무의식 (씨앗) 본성(本性)

  15. 念 – 대상을 알아차림 하고 止 – 대상을 바라보고, 대상으로부터 감정에 머물러서 충분히 집중하여 느끼며 觀 – 대상이 무상, 무아임을 통찰한다. 명(暝) – 넉넉함, 고용함, 안정감, 수용, 평화 상(想) – 마음에 떠오르는 생각을 바로 보고 깨닫고 바라봄, 깨어 있음(지혜) 명상이란 ? 몸의 느낌을 충분히 느껴보는 것. 우리의 본성은 원래 고요하고 깨어있다. 불성, 본성, 자성 , 인간은 근본적으로 행복하다. 부족함이 없다. 깨달아 있다. 공(空) – 마음 생각 - 구름 신(身) – 호흡 수(受) – 감정, 느낌 – 느낌이 없으면 마음이 일어나지 않음. 마음은 느낌을 조건으로 함. 세속의 마음(탐진치) 심(心) 탈세속의 마음(영성, 자비, 사랑, 무량심, 텅빔) 법(法) – 현상- 성남, 욕망, 나태, 게으름, 의심, 오온 (계속되는 현상을 사라질 때까지 지켜봄. 머물러야 사라짐. 이름 붙여도 좋음 ) 심경일여(心境一如) 뜻은 마음과 대상이 하나가 된다. 자극을 알아차림하고 자극에 머물러서 자극이 지나가는 것을 바라보자 불안하면 불안은 뭐고 불안하는놈음 무엇인가? 번뇌와 갈등을 거리를 두고 바라보자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