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5

# 미생물의 생육 환경 지배할것인가 ?, 지배당할것인가 ? 내적인자 ( 물리적구조 , 영양인자 , 천연저해제 , pH, 수분활성 , 산화환원전위 ) 3. 외적인자 ( 환경인자 ) 수분 산소

# 미생물의 생육 환경 지배할것인가 ?, 지배당할것인가 ? 내적인자 ( 물리적구조 , 영양인자 , 천연저해제 , pH, 수분활성 , 산화환원전위 ) 3. 외적인자 ( 환경인자 ) 수분 산소 , 산화환원전위 온도 pH 압력 및 삼투압 이산화탄소 빛 항균성 물질 . 식품열화방지 : 생육환경의 가혹한 조합으로 미생물 증식저해. 미생물과 수분 ( 자유수만 이용가능 ) Aw (water activity) : 증기상태의 상대습도

phallon
Download Presentation

# 미생물의 생육 환경 지배할것인가 ?, 지배당할것인가 ? 내적인자 ( 물리적구조 , 영양인자 , 천연저해제 , pH, 수분활성 , 산화환원전위 ) 3. 외적인자 ( 환경인자 ) 수분 산소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 미생물의 생육 환경 • 지배할것인가?, 지배당할것인가? • 내적인자 (물리적구조, 영양인자, 천연저해제, pH, • 수분활성, 산화환원전위) • 3. 외적인자 (환경인자) • 수분 • 산소, 산화환원전위 • 온도 • pH • 압력 및 삼투압 • 이산화탄소 • 빛 • 항균성 물질 식품열화방지: 생육환경의 가혹한 조합으로 미생물 증식저해

  2. 미생물과 수분 (자유수만 이용가능) • Aw (water activity) : 증기상태의 상대습도 • Aw = Ps / Pw = ERH /100 • where, Ps; 식품, 용액상태의 증기압 • Pw: 순수한 물의 증기압 • T: constant • closed system • ; Osmotolerant, Osmophile 0.75 0.65 0.6 0.96 0.94 0.91~0.85 0.8 1 Bact, yeast limit Pathogen bacteria Osmophile Fungi limit Mold limit Halophile limit Osmophile Yeast limit Food-spoilage organism

  3. 식품의 수분활성 • 식품고유의 등온흡습곡선 (water absorption isotherm) • 생식품: Aw (0.98~0.99) • 건조식품: Aw (0.65이하) • 가당, 염장식품:Aw (0.75정도; osmotic pressure효과) • 동결식품 : 온도저하 및 수분이동 중지로 대사저해 • 식품수분 활성 측정법 (p232) • Pouncy & Summers (1939 년) • Kvaals & Dalhoff (1963 년)

  4. 미생물과 산소 • 분류 • 절대호기성균 (Azotobacter vinelandii) • 통성혐기성균 (Pediococcus, Bifidobacterium등) • - aerotolerant anaerobe, catalase (+) • - respiration & fermentation • 절대혐기성균 (Clostridium acetobutylicum) • Microaerophiles : 0.2 atm 산소분압보다 낮은 상태에서 • 잘 성장 (aerobe) • - Norcardia opaca, Vibrio fetus, • - high oxidation 상태에서 실활되는 효소계 보유 • 2. 산소 독성과 해독 • 독성(활성)산소: (singlet oxygen,superoxide, peroxide,OH.) • Detoxification: 1) carotenoid, 2) enzymes • SOD. Catalase. Peroxidase • Photodynamic effect: • 빛 + 산소 + photosensitive pigment

  5. 미생물과 온도 • 생육속도, 세포 효소조성, 화학적조성, 영양요구성에 영향 • Q10 = 2 (온도계수; 화학반응,2 ; 생물반응 < 2) • 일반적 생육범위 (-7 ~ 75도) • 분류 (minimum, optimum, maximum growth temperature) • Psychrophile (opt, 18도내외) • Mesophile (opt, 25~37도) • Thermophile (opt, 50 도 이상) – obligate, facultative, • 최적온도를 가지는 이유 • 세포 거대분자의 파괴 (지질막 파괴, 단백질, DNA 변성) • (고온) • 활성화에너지부족 (저온), • 유해대사산물의 축척 (고온, 저온) • - 극한미생물, 극한환경의 효소의 상업적 이용성 증가.

  6. Psychrophile의 생육기작 (unknown) • 중온 및 고온에서의 효소활성 상실 • 세포막의 높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으로 저온에서도 세포막 • 기능유지 • Thermophile의 생육기작 • 세포벽의 외부 열 차단효과 • 세포막의 높은 포화지방산 함량으로 고온내성 • 세포내 효소 및 단백질 생산시스템의 고온안정성 • 핵산의 고온 안정성 (high GC%)

  7. 식품과 가열 멸균 DRT (decimal reduction time) : 90% 사멸에 소요되는 시간, 생균수가 1 log cycle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 TDT (thermal death point): 일정 생균량을 10분간 가열하여 완전히 사멸시킬수 있는 최저농도 방법 LTLT; 저온장시간살균 (63∼65℃ / 30분), HTST; 고온순간살균 (72∼75℃ / 15∼20초), UHT ; 초고온순간살균 (130∼150℃ / 0.5∼5초) # Tyndallization : 100 ℃ / 30min X 3 days

  8. 미생물과 pH • - 생육 및 효소생성에 관여 • E.coli (pH 5: glutamate decarboxylase, • pH 8: glutamate deaminase 생성) • - 세포구성성분 합성의 대사계의 관여 효소의 작용에 필요한 pH의 한계 • 곰팡이, 효모 (5.0~6.5), 세균 (7~7.5) • 미생물 생육저지효과 (수소이온농도 및 산의 전리된 음이온) • 무기산 < 유기산 • (동일 pH라도, HCl, H2SO4 < acetic acid, lactic acid etc) • 생육, 또는 효소반응에 필요한 적정 pH 의 제공 : • buffer, CaCO3,

  9. 미생물과 압력 - 30도, 300기압에서부터 생육저해 시작 - 세포막의 점성, 탄성에 영향 미쳐 대사기능의 이상초래 - 심해, 600기압; barophile (기준: 500 기압) Bacillus submarines, Pseudomonas xanshocrus

  10. 미생물과 삼투압 • - Osmophile: (1) saccharophile (2) halophile • Nonhalophile : 2% 이하에서 생육가능 • Halophile : slight (2~5%) • moderate (5~20%) • extreme (20~30%) • - 염류에 의한 생육저해: • 삼투압에 의한 수분유실, • 효소활성저해, 용존산소 감소, 이산화탄소 • 감수성 증가, Cl-의 독성 • 내염성 기작 : 세포내 compatible solute 생산 • (효소보호와 삼투압조절); 아미노산 축척, polyol, glycerol 축척

  11. - 삼투내성 : 구균 > 간균, 비병원성 > 병원성 • 장내세균 (8~9% NaCl), C.botulinum (6~12%) • 호염성의 기작 • 1. 세포벽의 안정화에 Na+ 가 필수적 • (Gram +의 peptidoglycan, Gram –의 outer menb 이 • 아니라, 산성아미노산의 glycoprotein으로 구성) • 2. 세포내 효소계에 Na+가 cofactor로 요구

  12. 미생물과 CO2 - 생육 및 pH 에 영향 - autotroph, heterotroph 모두 정상 대사를 위해 CO2요구 * Animal cell: 5% CO2 미생물과 빛 (r, x-ray, UV, Visible, IR, Hertz wave) - 생육에 유해 (살균력 : UV 영역- DNA 265nm, protein 280nm), mutation induction - UV-induced inactivation - photoreactivation - photodynamic inactivation 형광색소, proflavin, acridine orange, eosin등의 존재시 약한 자외선으로 사멸가능) - 전리방사선 (ionizing irradiation): DNA 손상, free radical 생성촉진 –보호제; thiol containing reducing agent.

  13. 미생물과 항균물질 (Antimicrobial substance) Disinfectant (살균제) Antiseptics (방부제) 화학물질 (chemotherapeutic agent: CA) : 비특이적 생물물질 (Antibiotics: Ab) : 생물 특이적 CA : 단백질 변성 (HgCl2, AgNO3, CuSO4, phenol, cresol, Alc) 산화작용 (H2O2, KMnO4) 환원작용 (HCHO) 표면장력저하 (bile acid, hexylresorcinol)

  14. Ab • 세포벽합성저해; Penicillin, Cephalosporin C, • cycloserine, bacteriocin, ristocetin • 2. 세포막 저해: polymyxin B, calistin, gramidicin S, nalinomycin • 3. 단백질 합성저해: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mikamycin, tetracyclin, streptomycin, kanamycin, viomycin, lincomycin, puromycin, blasticidin S등 • DNA 합성저해: mitomycin C, novobiocin, phleomycin • nalixidic acid, CPT 등 • 5. RNA 합성저해: rifamycin, actinomycin, tubercidin • 6. Ntd 합성 저해: Azaserine, 5’-Flurouracil, toyocamycin • 7. 조효소 합성저해: actithiazic acid, sulfanilamide (PABA 유도체: growth factor analog) • 8. 에너지 대사저해: antimycin A, oligomycin, valinomycin, • gramicidin S. • # Anticancer, Antibacterial, Antifungal, Antiviral…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