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5

산업보건위생

산업보건위생. 작업환경관리 개론. 작업환경관리개론. 목 차. 제 1 장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 … 제 2 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 제 3 장 노출경로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 제 4 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 제 1 장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 1. 인간과 환경. ① 사람들은 자연환경 혹은 작업환경에서 살게 되며 서로 에너지와 물질을 상호 교환 ② 에너지 교환은 물리적 인자이며 물질 교환은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인자

quana
Download Presentation

산업보건위생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산업보건위생 작업환경관리 개론

  2. 작업환경관리개론 목 차 제1장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 …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 제3장 노출경로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

  3. 제1장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 1. 인간과 환경 ① 사람들은 자연환경 혹은 작업환경에서 살게 되며 서로 에너지와 물질을 상호 교환 ② 에너지 교환은 물리적 인자이며 물질 교환은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인자 ③ 사람과 자연환경은 살아있는 생명체로서 항상성을 유지[그림 1-1]    - 자연환경 : 자정작용으로 어느 정도의 오염은 수용이 가능 - 작업환경 : 오염물질 제거 기능이 없어 낮은 농도의 오염이라도 지속적으로 발생되면 작업장에 축적되어 문제가 심각해짐

  4. 제1장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 [그림 1-1] 작업환경과 자연환경의 차이

  5. 제1장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 2. 작업환경관리 정의 ① 가장 중요한 작업환경관리는 유해인자에 근로자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 ② 노출을 완벽하게 예방한다는 것은 때로는 불가능 ③ 지속적인 작업환경관리가 이루어 지지 않는다면 적은 양의 오염물질이 배출된다고 하여도 누적 현상으로 결국 근로자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음 - 관리방안 : 건강유해 인자들을 예측, 인지하고 평가한 후 관리 - 목표 :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근로자들의 건강장해 예방 및 증진 3

  6. 제1장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 3. 예방활동에 따른 근로자 건강상태 (1) 예방활동이 결여된 사업장 ① 유해인자가 관리되지 않아 근로자들에게 건강장해 유발 가능성 존재 ② 건강에 이상이 있는 근로자들이 의학적 진단 및 치료를 통하여 건강이 회복되고 다시 작업장으로 복귀하여도 작업장내 유해인자가 제거되지 않는다면 이들 근로자들의 건강은 다시 악화됨 ③ “건강장해→진단→치료→회복→직장복귀→건강장해”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어 치료 및 회복의 의미가 없음

  7. 제1장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 3. 예방활동에 따른 근로자 건강상태 (2) 예방활동이 포함된 사업장 작업환경의 유해인자 및 문제점을 예측, 인지하고 평가한 후에 예방활동 및 작업환경관리를 실시한다면 근로자들의 진단 및 치료과정이 없어도 건강 유지 및 증진이 가능 ([그림 1-2] 참조) [그림 1-2] 예방활동을 실시하는 작업환경 근로자의 건강상태

  8. 제1장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 4. 건강진단의 필요성 (1) 건강보호를 위한 작업환경측정의 한계 ① 고전적인 유해인자 : 화학적 인자, 물리적 인자, 생물학적 인자 ② 최근에는 인간공학적 인자나 스트레스(사회심리학적 요인) 등 다양한 유해요인이 증가 ③ 근로자들에게 직면한 모든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은 설정되어 있지 않음 ④ 노출기준 준수만으로 근로자들의 건강 안전이 확보되지 않음

  9. 제1장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 4. 건강진단의 필요성 (2) 건강진단의 필요성 ① 유해인자에 민감한 작업자들은 노출기준 준수만으로 건강 보호 불가능 ② 작업환경측정 및 관리를 통한 예방활동은 근로자들이 유해인자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적게 노출되도록 노력하는 활동 ③ 개인 감수성에 따라 일부 근로자들은 낮은 농도에도 건강장해 발생 가능 ④ 이를 조기에 발견 할 수 있도록 주기적인 건강진단이 필요 [그림1-3]

  10. 제1장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 4. 건강진단의 필요성 [그림 1-3] 작업환경관리 및 건강진단의 필요성

  11. 제1장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 5. 작업환경관련 프로그램의 운영 ① 작업환경관리에는 공학적 대책수립, 작업방법 또는 개인보호구 프로그램 등 여러 분야가 활용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 ② 따라서 이러한 관리의 노력은 적절한 우선순위를 정해 전개되어야 함 ③ 노출양상을 파악하면 할수록, 가장 중요한 위해성(Risk)이 무엇이며 먼저 관리해야 하는 위해성에 대해 확신을 가지게 됨 ④ 유해물질관리, 노출모니터링, 교육 및 훈련, 유해성 전달, 역학조사, 의학적 감시, 근골격계 질환예방, 개인보호구, 작업방법관리, 경영관리, 공학적관리, 청력보호 등과 같은 각종 작업환경관리관련 프로그램을 작업특성에 맞는 위해도(Risk)에 기초를 두어야 함 [그림 1-4]

  12. 제1장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 5. 작업환경관련 프로그램의 운영 [그림 1-4] 위해도에 기초한 각종 작업환경관리 프로그램

  13.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1. 작업환경 중의 유해요인 ● 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를 자극이라 하고 우리의 뇌는 이러한 자극을 빛· 소리·온도·냄새·맛 등으로 해석 ☞결국 자극이란 우리가 일상생활에 접하고 있는 환경의 변화 또는 오염물질, 소음 및 진동, 이상기압 등의 환경유해인자라고 할 수 있음 ● 환경유해인자는 자연환경과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분류 ☞작업환경의 대표적인 유해인자는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인자

  14.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2. 화학적 유해인자 (1) 독성(Toxicity) 관련 정의 ① 독성 : 물질의 생리학적 특성을 일컫는 것으로서 생물체에 물리적 방법이 아닌 화학적 손상이나 해를 주는 능력 ② 국부독성(Local toxicity) : 피부접촉 시 발진과 같은 증상이 독성물질 노출 부위에 한정되는 경우 ③ 전신 독성(Systemic toxicity) : 화학적 유해인자가 체내 흡수된 뒤 혈류를 타고 전신으로 이동하여 세포, 조직, 기관 에 증상을 일으키는 것 ④ 가역적 독성(Reversible toxic effect) : 세포 또는 장기에 손상을 주고 일정 시간 경과 후 회복되는 것 ⑤ 비가역적 독성(Irreversible toxic effect) : 세포 또는 장기 손상이 회복 불가능한 경우 4

  15.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2. 화학적 유해인자 (2) 노출기간 및 발현시기에 따른 독성 ▶ 작업환경에서는 공기 중의 농도와 노출기간이 그 물질의 독성을 결정   ① 노출의 종류 - 급성(Acute) 노출 : 1회 노출 또는 24시간 내에 수회 노출 - 아급성(Subacute) 노출 : 1개월 노출 또는 1-3개월의 반복적인 노출 - 아만성(Subchronic) 노출  : 1-3개월 노출 또는 3개월-1년간 반복적인 노출 - 만성(Chronic) 노출 : 3개월 이상 노출 또는 1년 이상 반복적인 노출   ② 발현시기에 따른 독성 - 급성독성 : 대략 노출 후 1-15일 내에 발현 한 번의 접촉, 흡인, 섭취 등 아주 단기간에 의한 영향    - 만성독성 : 오랜 기간 동안 물질이 인체에 작용했을 때 발현 인체에 영구적인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

  16.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2. 화학적 유해인자 (2) 화학적 유해인자의 상호작용 ▶ 작업환경에서는 여러 물질이 혼합된 형태로 노출되어 독성작용의 변화 발생   ① 독립작용(Independent effect) : 각각의 독성물질이 서로 다른 조직이나 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 예) 톨루엔과 황산이 동시에 노출되는 경우 ② 상가작용(Additive effect) : 혼합유기용제에 노출되는 경우 중추신경계에 독성이 심해지는 경우    * 예) 두 가지 이상의 유기인계 살충제에 노출시 콜린에스테라아제의 기능저하가 심해지는 경우도 있음

  17.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2. 화학적 유해인자 ③ 상승작용(Synergistic effect) : 석면에 노출된 사람이 흡연을 통해 폐암발생이 급상승하는 경우    * 예) 사염화탄소와 에탄올에 동시에 노출되는 경우 간독성이 훨씬 심해지는 경우 ④ 강화작용(Potentiation) : 원래 독성이 없는 물질을 어느 정도 독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과 혼합하면 그 독성이 훨씬 강해지는 경우 ⑤ 길항작용(Antagonism) : 독성이 적어지는 경우를 의미하며 기능적, 화학적, 분배적 그리고 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이 있음

  18.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2. 화학적 유해인자 (4) 물리적 성상에 의한 분류 ① 기체상 물질(가스와 증기)    - 기체 : 상온(25℃), 상압(760㎜Hg)하에서 일정한 형태를 가지지 않는 물질 - 증기 : 상온, 상압 하에서 액체 또는 고체인 물질이 기체로 된 것 - 독성이 적더라도 증기압이 높으면 유해성(Hazard)이 큼 ② 입자상 물질 - 입자의 화학적 조성과 입자의 크기, 침강속도 및 표면적 등에 의해 유해성 결정  - 호흡성 분진 :  0.5-5㎛ 이하의 미세한 분진이 오랜 시일에 걸쳐 폐에 흡입되어 침착되면 각종 중독 및 폐질환을 일으킴 - 흄(Fume) : 고체상태로 있던 무기물질 등이 승화하여 화학적 변화를 일으킨 후 응축되어 고형의 미립자가 된 것을 지칭

  19.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2. 화학적 유해인자 (5) 생리적 작용에 의한 분류 ① 자극제 - 단순한 자극도 독성영향 - 자극현상은 일반적으로 단시간 노출 후에 가역적 - 호흡기 자극작용은 유해물질의 수용성에 따라 크게 상기도, 상기도 점막 및 폐조직 그리고 종말기관지 및 폐포점막자극제 (물에 녹지 않는 물질이며 이산화질소, 삼염화비소, 포스겐 등)로 구분 - 수용성이 낮은 물질은 상기도를 통과하여 폐포에까지 도달하며 많은 양을 흡입하여도 노출되고 있는 것을 알지 못해 큰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음 ② 마취제 - 중추신경계가 정상적인 기능을 못하도록 하여 술 취한 증상과 같은 여러 증상들을 일으키며 과도한 용량이 아니면 심각한 전신적 영향은 없음

  20.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2. 화학적 유해인자 ③ 질식제 - 조직 내의 산화작용을 방해하는 것을 의미    - 단순 질식제 : 생리적으로는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으나 공기 중에 많은 양이 존재하면 산소분압을 저하시켜 조직에 필요한 산소공급의 부족을 초래. 예) 기체인 수소, 헬륨, 탄산가스, 에탄, 메탄, 질소 등 - 화학적 질식제 : 직접적인 화학작용을 통해서 혈액에서 산소를 받아들이지 못하게 하거나, 산소를 폐로부터 조직까지 운반하는 것 자체를 방해하거나, 정상적인 조직과 산소와의 결합을 방해 ④ 감작제 - 감작성 자극제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는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기관지 천식을 유발 - 따라서 직업적 노출기준도 매우 엄격하여 0.005ppm으로 규정하

  21.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3. 물리적 유해인자 (1) 소음 ① 정의 - ASA(American Standards Association)는 “Noise is any undesired sound”    - OST(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는 “Unwanted sound”    - 일본의 JIS Z 8106-1976 에서는 “원하지 않는 음” - 주로 주관적인 감각을 표현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물리량으로만 정의 불가능 ② 소리의 감지 - 공기입자가 진동하여 밀도의 주기적인 파동을 일으키면서 형성된 공기의 압력변화가 생체의 청각기에 전파되어 그 진동이 감지되기 때문에 소리 감지    - 주파수(Hertz:Hz):청각기를 두드리는 속도를 매 초당 진동횟수로 표시한 것 감지할 수 있는 주파수는 16-20,000Hz    - 음압(Sound pressure):청각기를 두드리는 공기압력의 크기 (Decibel, dB) 감지 음압의 범위는 2×10-4dyne/㎝ - 200dyne/㎝

  22.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3. 물리적 유해인자 (2) 진동 ① 정의: 물체의 전후 운동을 가리키며 생체에 작용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 ②전신진동 (Whole body vibration) - 지지구조물을 통해서 전신에 전파되는 진동 - 교통차량, 선박, 항공기를 타거나 기중기, 분쇄기 등을 운전할 때 발생 - 압박감과 동통감을 느끼며 심하면 공포감과 오한을 느낌 ③ 국소진동 (Segmental vibration) - 국소적으로 손과 발 등 특정부위에 전파되는 진동 - 병타기, 착암기, 연마기, 자동식 톱 등의 진동공구를 사용할 때에 발생 - 레이노드씨 현상 : 광산근로자, 조선공 등과 같이 착암기, 공기해머, 연마기를 사용하는 사람손가락에 혈관 순환장애로 창백해지는 현상

  23.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3. 물리적 유해인자 (3) 이상기온 ① 기온 - 일반적으로 쾌적한 환경조건을 판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조건 - 실내에서 느끼는 쾌감의 척도는 유효온도(Effective temperature)    - 유효온도 : 건구온도, 습구온도, 기류가 인체에 미치는 종합적인 영향의 쾌감지표 ② 기습 - 포화습도 : 일정한 온도에서 공기 1m3 중에 포함되어 있는 최대 수증기량 - 절대습도 : 일정한 온도에서 공기 1m3 중에 함유된 실제수증기량 - 상대습도 :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습도 ③ 기류 - 기류의 세기는 풍속으로 나타내며 실내 자연환기의 원동력으로서 악취 제거 및 오염된 공기의 정체를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 - 통상 실내의 경우 최소 0.5 m/s 정도의 기류 조건 권고

  24.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3. 물리적 유해인자 (4) 이상기압 ① 대기압 - 지구표면의 공기 압력으로 평균 약 1kg/㎠(14.7lbs/in2)    - 대기압은 수은주로 760㎜Hg, 수주로 13.6㎜H2O에 해당 ② 고압환경 - 게이지압이 1kg/㎠(대기압)을 넘는 경우 - 잠수작업이나 터널 굴착작업 - 1차적 인체작용 : 인체와 환경의 압력차로 인한 기계적 작용으로 조직의 동통, 치통, 부종, 출혈 등이 발생 - 2차적 인체작용 : 고압하의 대기가스 성분에 의한 중독증상 4기압 이상의 공기 중 질소는 마취작용 산소 분압이 2기압을 넘으면 산소중독증세가 발생 4

  25.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3. 물리적 유해인자 (5) 전리 및 비전리방사선    - 전리방사선 : 공통된 특징은 물질을 이온(Ion)화시키는 성질    - 비전리방사선 : 주파수가 감소하는 순서대로 나열하면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마이크로파, 라디오파, 초저주파, 극저주파의 순    - 적외선과 자외선 : 직업성 노출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인체기관은 눈과 피부 피부홍반과 화상, 그리고 각막염, 백내장 등을 발생    - 적외선 및 일부 마이크로파 : 강한 열작용으로 인체를 투과할 경우 내부 장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    - 가시광선 : 강하게 노출된 경우 눈의 피로, 눈물, 두통 등이 급성으로 나타남

  26.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4. 생물학적 유해인자 (1) 중요성 - 최근 에어로졸 내에서 발견되는 생물학적 성분들에 대한 문제가 제기 - 에어로졸 내 생물학적 성분 : 각종 털 조각, 피부 부스러기, 비듬, 꽃가루(Pollen), 포자(Spore), 박테리아, 해초, 균류, 바이러스, 단백질 조각 등 - 생물학적 성분들이 보건학적으로 과소평가되고 있음

  27.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4. 생물학적 유해인자 (2) 정의 - ACGIH : “살아있거나, 살아있는 생물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살아있는 생물체로부터 방출된 0.01-100㎛ 입경 범위의 부유 입자, 거대 분자 또는 휘발성 성분”으로 정의 - NIOSH : “작업장, 사무실, 주거공간 등의 실내 지역과 일반 실외 지역에서 공기 중에 살아있거나(배양 혹은 배양 불가능) 혹은 살아있지 않은 미생물들을 측정하는 행위”로 정의 - 용어 분석 : “Bio(=살아있는)”와 “Aerosol(=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입자)”의 합성어 즉, “살아있거나 죽은 생물체 또는 생물체에서 유래된 물질이 고체 또는 액체 상태로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입자”

  28.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4. 생물학적 유해인자 (3) 범주   - 생물체 : 꽃가루, 곰팡이(Fungi), 세균(Bacteria), 바이러스(Virus)의 미생물 범주 - 생물체로부터 유래된 물질 : 다양한 종류의 항원(Allergen), 세포벽 구성 성분(Cell wall components), 대사물질(Metabolites)   - 최근 사회적 문제시되고 있는 집먼지 진드기(Dust mite) (4) 입경 분포 - 꽃가루는 10-100㎛, 곰팡이(포자)는 1-50㎛, 박테리아는 0.5-5㎛, 바이러스는 0.01-0.5㎛ 범위에 해당 - 1㎛ 이하의 극미세 분진(나노입자)에 대한 건강 위해성 평가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이 범위에 해당되는 부유 미생물이 호흡기계 질환 등을 유발할 것으로 예측

  29. 제2장 작업환경 유해요인 4. 생물학적 유해인자 [그림 2-1] 생물학적 유해인자 (바이오에어로졸)의 개념 모식도

  30. 제3장 노출경로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유해인자의 노출경로 ▶ 화학적 유해인자의 체내 노출경로는 크게 호흡기, 피부 및 소화기로 분류 ▶ 침입물질의 물리적 성상 (입자크기, 용해도 등)에 따라 인체의 유해성 결정 ▶ [그림 3-1} : 외부 노출물질이 흡수되는 경로와 체내에서의 분배과정, 그리고 배설 되는 경로를 설명 [그림 3-1] 체내 흡수, 분배, 배설 경로

  31. 제3장 노출경로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유해인자의 노출경로 (1) 호흡기 (Inhalation) ① 노출량 - 흡수된  총량은 공기중의 농도, 노출기간, 폐 환기량에 따라 결정 - 호흡기 노출경로에 대한 작업환경관리가 가장 중요하며 관리방안도 다양 ② 가스상 물질의 유해성 - 해당 물질의 수용성에 따라 유해성이 결정 - 친수성 물질 : 상기도, 기관지에 자극, 염증을 일으켜 노출을 바로 인지 - 소수성 물질 : 폐의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여 혈액에 용해되고 전신으로 분포 ③ 입자상 물질의 유해성 - 입자의 크기 및 화학적 성분에 따라 유해성 결정 - 입자 직경이 10㎛보다 크면 인두나 비강 점막내에 걸러져 페포로 유입되지 않음 - 호흡성 분진 : 10㎛ 이하인 입자(평균입경 4㎛)들은 유해성이 큼

  32. 제3장 노출경로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유해인자의 노출경로 (2) 피부 (Skin) ① 피부흡수 영향인자 - 유독물질에 노출되기 쉬운 조직 - 피부 접촉 시는 대부분 자극을 느끼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음 - 유기용제는 피부의 한선, 모공을 통하여 흡수가 가능 - 상처가 있으면 유해물질의 흡수가 더욱 용이 - 피부흡수는 접촉시간, 습도, 온도 등 환경요소에 영향을 받음 - 의복 및 신발이 오염되면 위험도가 증가 ② 피부흡수 물질의 관리 - 파라치온과 같이 비휘발성 유기인계 물질들은 피부가 직업적 주요 노출경로 - 아닐린, 니트로벤젠, 페놀 등은 피부 흡수량이 흡입으로 흡수된 양과 거의 같음 - ACGIH-TLV나 노동부 고시의 노출기준에서 “Skin”으로 표시된 물질 - 공기중 농도가 노출기준 이하라도 안전이 확보되지 않음 - 필요시 피부흡수 평가나 생물학적 모니터링이 실시되어야 함

  33. 제3장 노출경로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유해인자의 노출경로 ③ “피부” 표시 물질 - 손이나 팔에 의한 흡수가 몸 전체 흡수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물질 (특히 허용농도가 낮은 물질이 여기에 해당)    - 급성 동물실험결과 피부흡수에 의한 치사량(LD50)이 비교적 낮은 물질 (즉 1000 ㎎/체중 ㎏ 이하일 때)    - 반복하여 피부에 도포했을 때 전신작용을 일으키는 물질 - 옥탄올-물 분배계수(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가 높아서 피부흡수가 용이하고, 다른 노출경로에 비해 피부흡수가 전신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

  34. 제3장 노출경로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유해인자의 노출경로 (3) 소화기 (Ingestion) - 식수나 식품의 섭취과정 등에서 소화기를 통한 일차적인 체내흡수가 가능 하지만, 고의 또는 우발적인 섭취를 제외하면 작업장에서의흡수량은 아주 소량 - 경구로 섭취된 물질들은 타액, 위액, 십이지장액에 의해서 분해되어 위장관 벽으로 흡수되지만 일차적으로 간에서 해독작용이 이루어져 독성이 감소 - 따라서 화학물질의 섭취에 의한 유해성은 작업장에서 중요한 문제는 아님 4

  35. 제3장 노출경로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2. 노출경로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 작업장내에서 발생되는 물질은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근로자들의 노출경로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작업환경관리가 이루어져야 함 [그림 3-2] 물질의 특성 및 노출경로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36. 제3장 노출경로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2. 노출경로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가스상과 증기상(휘발성이 높은) 물질    ① 주요 노출경로는 호흡기    ② 제조 또는 사용 공정을 가급적 국소배기로 처리    ③ 필요시 전체환기와 개인용 방독마스크를 지급 (2) 증기압이 낮아 휘발성이 거의 없는 유기화합물    ① 작업장 표면이나 의복을 오염시켜 피부로 흡수될 가능성이 높음    ② 작업장 표면 청소와 보호의 착용 그리고 철저한 개인위생이 필요 (3) 입자상 물질    ① 생산 또는 제조 공정의 국소배기 설치나 습식화가 필요    ② 필요시 전체환기와 개인용 방진마스크 착용    ③ 재비산 방지를 위하여 청소(진공청소, 수세척)와 개인위생이 필요

  37.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건강위해도 평가 (1)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전략의 주요 단계 ① 시작단계에서는 노출평가의 전반적인 전략을 수립 ② 작업장, 노동력, 환경인자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자료를 수집하여 해당 작업장의 기본특성을 파악 ③ 기본특성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고려하여 노출평가를 실시 ④ 수집된 노출자료 및 건강영향 자료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추가정보의 우선 순위를 결정 ⑤ 추가정보를 수집하여 불확실한 노출양상에 대한 판단을 높은 신뢰도로 해결 ⑥ 노출을 수용할 수 없는 경우는 해당 유해인자의 위해도(Risk) 우선순위에 입각하여 작업환경 개선 및 관리를 실시 ⑦ 노출에 대하여 포괄적인 재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 ⑧ 평가결과에 대한 유해성 또는 위해성 주지 (Hazard or risk communication)와 자료의 유지 및 연계를 위한 문서화(Documentation)

  38.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건강위해도 평가 (2) 미국산업위생학회(AIHA)의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전략 ▶ 크게 5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며,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음 [그림 4-1]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과정 (AIHA)

  39.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건강위해도 평가 ① 노출등급결정 - 노출등급은 직업적 노출기준에 대한 상대적인 노출수준의 추정 - <표 4-1>은 장기간 평균 직업적 노출기준에 대한 상대적인 노출양상의 산술평균 추정 근거 - <표 4-2>는 직업적 노출기준에 대한 노출양상의 95 백분위수 추정의 근거 [표 4-1] 노출양상의 산술평균 추정을 근거로 한 노출등급 [표 4-2] 직업적 노출기준의 95 백분위수의 추정을 근거로 한 노출등급

  40.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건강위해도 평가 ② 건강영향 등급 결정 - 각각의 유사노출군은 환경인자의 독성에 따라 건강영향 등급이 결정 - 건강영향 등급 추정방법은 다양하며 평가대상 작업장에 적합한 방법을 선정 - 화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소음, 방산선과 같은 물리적 인자와 생물학적 인자에 의한 병독성과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건강영향 등급을 설정할 수 있음 - <표 4-3>은 미국 AIHA에서 사용하는 건강영향 등급의 예 [표 4-3] AIHA의 건강영향 등급

  41.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건강위해도 평가 ③ 건강위해도 등급 결정 - 건강위해도 등급은 해당인자의 잠재적인 건강영향과 노출과의 함수 - 건강영향등급에 노출등급을 곱하여 [그림 4-2]와 같은 결과 산출 - [그림 4-3]의 건강위해도 등급은 우측 상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짐 - 건강위해도는 1, 2, 3, 4, 6, 8, 9, 12, 16등급으로 분류되며 높을수록 관리의 우선순위 - 위해도 등급 수에 따라 상대적인 비교만 가능 [그림 4-2] 건강위해도 등급 산출 [그림 4-3] 건강위해도 순위 결정

  42.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건강위해도 평가 ④ 불확실성 등급 결정 - 건강위해도 등급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인용된 자료의 불확실성이 생성 - 불확실성은 [그림 4-4]와 같이 건강위해도 등급을 상향 또는 하향 평가 [그림 4-4] 건강위해도 등급에 대한 불확실성의 영향 - 불확실성은 건강영향 자료 및 노출등급 신뢰성, 기존관리에 대한 타당성 함수 - 미국 산업위생학회에서는 불확실성 등급을 단순히 세 개의 불확실성 범주 (2­매우 불확실. 1­불확실, 0­확실) 중 하나로 평가 - "2­매우 불확실" 등급은 노출양상이나 건강영향에 대한 중요 정보가 없는 경우

  43.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건강위해도 평가 ⑤ 추가 정보수집을 위한 우선순위 등급 계산 - 건강위해도 등급과 불확실성 등급 선정 후 추가정보수집 우선순위 등급 계산 - 건강위해도 등급과 불확실성 등급의 변수를 곱하는 것으로 계산 [그림 4-5] [그림 4-5] 추가정보 수집의 우선순위 (건강위해도 등급 × 불확실성 등급)

  44.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1. 건강위해도 평가 ⑥ 위해도 평가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 작업환경 및 노출관리는 항상 선택적 - 해당 인자에 대한 건강위해도 등급이나 불확실성 등급이 결정되면 이에 따라 관리대책의 우선순위나 정보수집의 방향이 결정 [그림 4-6] [그림 4-6] 관리대책 및 정보수집의 우선 순위  -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한 정보수집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면 위해도가 높은 노출에는 일시적으로 개인보호구 지급과 같은 임시적인 단기간 관리가 필요 -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건강영향 자료나 노출자료를 수집하는 것보다 건강위해도를 관리하는 것이 더 비용­효과적일 때는 즉시 관리하는 것이 필요 4

  45.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2. 작업환경관리 (1) 작업환경 및 노출관리의 3대 원칙[그림 4-7] ① 유해인자가 발생원에서 발생되지 않게 하는 오염원(발생원)관리 : 제거, 대책, 격리, 국소배기 등 ② 유해인자가 근로자에게 미치지 않게 하는 실내공기 관리 : 거리증가, 전체환기 ③ 유해인자가 근로자에게 흡수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노출근로자 관리 : 교육, 훈련, 보호구 착용 [그림 4-7] 작업환경 및 노출관리의 원칙

  46.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2. 작업환경관리 (2) 작업환경 개선대책의 종류에 따라 수행되는 관리방법 [표 4-4] [표 4-4] 작업환경 개선대책 종류에 따른 관리방법

  47.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2. 작업환경관리 (3) 제거 또는 대치 - 가장 효과적이며 가장 우수한 관리대책 - 이 방법은 공정 기술과 제조 공정의 관리자들에게 민감한 문제임 - 제거 및 대치를 언급하기 전에 공정을 철저하게 조사 - 문제가 되는 화학물질이 특별한 이유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 그 물질의 제거방법은 실제적인 해결방법이 될 수 없음

  48.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2. 작업환경관리 (3) 제거 또는 대치(대체) - 가장 효과적이며 가장 우수한 관리대책 - 이 방법은 공정 기술과 제조 공정의 관리자들에게 민감한 문제임 - 제거 및 대치를 언급하기 전에 공정을 철저하게 조사 - 문제가 되는 화학물질이 특별한 이유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 그 물질의 제거방법은 실제적인 해결방법이 될 수 없음 - 대치(대체)의 분류 : 일반적으로 물질대체, 공정대체, 설비대체 (예; 수동→자동)로 구분 : 일부에서는 물질대체, 공정대체, 작업방법대체로 구분

  49.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2. 작업환경관리 (4) 격리 및 환기 ① 격리 - 작업자와 유해인자 사이의 장벽(Barrier)이 놓여 있는 상태 - 장벽 : 시간, 공간, 물체, 자동시설 설치에 의한 원격조정 등 - 보호구 착용의 경우도 소극적인 개념에서 격리 - 전 공정 또는 한 부서가 작업환경에 오염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밀폐화가 가능한 곳에 물질이 들어 있는 용기 내부 수준을 알기 위한 감시창 및 소음원에 대한 방음처리 등

  50. 제4장 건강위해도에 따른 작업환경관리 2. 작업환경관리 ② 환기 -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방식에 따라 국소 및 전체환기방식으로 구분 - 국소배기 : 오염원에 근접하여 오염물질이 근로자에게 영향을 주기 전에 포착,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유해성이 강하고 해당 오염원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유용 - 전체환기 : 작업장 공기 중 유해물질의 농도를 희석하는 데 쓰이기 때문에 희석환기라고도 함 주로 고온과 다습을 조절하는 데 쓰이며 때로는 분진, 냄새, 유해증기 등을 희석하는 데에 사용되나 발생원 저감 대책으로는 부적합 - 일반적으로 오염원관리에 국소배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기존 설비 및 공정에 제거, 대책, 격리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 - 공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은 국소배기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