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4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국제무역연구원 조상현 연구위원 (prayer@kita.net). 목 차. Ⅰ. Ⅱ. Ⅳ. Ⅲ. 한국의 시대별 무역정책. 한국무역의 발자취.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한국무역의 발자취. ◈ 반세기 만에 ‘ 무역 1 조 달러 클럽 ’ 에 진입. Ⅰ. 한국무역의 발자취. 1.1 한국무역의 성장.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rana-dillon
Download Presentation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국제무역연구원 조상현 연구위원 (prayer@kita.net)

  2. 목 차 Ⅰ Ⅱ Ⅳ Ⅲ 한국의 시대별 무역정책 한국무역의 발자취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3. 한국무역의 발자취 ◈ 반세기 만에 ‘무역 1조 달러 클럽’에 진입

  4. Ⅰ. 한국무역의 발자취 1.1 한국무역의 성장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1.tradekorea 회원과 전세계 동포기업간의 무역거래 및 비즈니스 서비스 (1)전세계 동포기업 및 상품정보 제공 (2)상품정보, 사업대행, 사업홍보 등의 비즈니스 서비스 (3)동포기업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4)해외한인단체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www.kita.net

  5. Ⅰ. 한국무역의 발자취 1조$ IT LCD 수출 급성장 자 동 차 휴대폰 수출 급성장 반도체 수출 1위 품목 등극 도쿄선언 반도체 본격화 1.2 수출산업 발전사 현대자동차 ‘포니’ 수출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조 선 현대중공업 대형 도크 건설 1.tradekorea 회원과 전세계 동포기업간의 무역거래 및 비즈니스 서비스 (1)전세계 동포기업 및 상품정보 제공 (2)상품정보, 사업대행, 사업홍보 등의 비즈니스 서비스 (3)동포기업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4)해외한인단체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철 강 포항제철소 완공 5,000억$ 석유 화학 울산 석유화학 콤플렉스 완공 석유제품 수출 확대 전 자 라디오 수출 시작 TV 수출 시작 신 발 수출 1억$ ‘무역의 날’ 제정 3,000억$ 100억$ 섬유 신발수출 1억 달러 고무화 수출 시작 화학섬유 생산 시작 생사 면직물 수출 1,000억$ 5차 경제 개발계획 신경제 5개년 계획 3차 경제 개발계획 4차 경제 개발계획 2차 경제 개발계획 1차 경제 개발계획 수입자유화시책 중화학공업육성계획 수출진흥시책 공업발전시책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www.kita.net

  6. Ⅰ. 한국무역의 발자취 1.3 시대별 수출품목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1.tradekorea 회원과 전세계 동포기업간의 무역거래 및 비즈니스 서비스 (1)전세계 동포기업 및 상품정보 제공 (2)상품정보, 사업대행, 사업홍보 등의 비즈니스 서비스 (3)동포기업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4)해외한인단체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www.kita.net

  7. Ⅰ. 한국무역의 발자취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1.4 무역 1조 달러 달성기간 1.tradekorea 회원과 전세계 동포기업간의 무역거래 및 비즈니스 서비스 (1)전세계 동포기업 및 상품정보 제공 (2)상품정보, 사업대행, 사업홍보 등의 비즈니스 서비스 (3)동포기업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4)해외한인단체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www.kita.net

  8. Ⅰ. 한국무역의 발자취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1.5 한국무역의 위상 ▣ 아프리카(52개국), 남미(35개국), CIS(12개국) 수출규모와 비슷한 수준 인구 278백만 명 면적 2,213만 ㎢ 수출 4,224억불 CIS (12개국) 인구 449백만 명 면적 1,846만 ㎢ 수출 4,262억불 한국 아프리카 (52개국) 인구 48백만 명 면적 9.9만 ㎢ 수출 3,255억불 수입 3,094억불 인구 897백만 명 면적 3,036만 ㎢ 수출 3,609억불 중남미(35개국) 멕시코 제외

  9. 한국의 시대별 무역정책 ◈ 대외지향형 개방정책의 완성

  10. Ⅱ. 한국의 시대별 무역정책 2.1 공업화의 기반 마련

  11. Ⅱ. 한국의 시대별 무역정책 2.2 제조업 및 수출산업 고도화

  12. Ⅱ. 한국의 시대별 무역정책 2.3 무역 선도국가 시대의 개막

  13.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 무역 1조 달러 시대의 무역정책 선진화

  14.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1 FTA 허브국가로의 도약 • ▣ WTO 출범 이후 FTA로 대표되는 RTA 급격히 증가, 더욱 확산될 전망 • ‘11.10월 말 현재 RTA 발효건수는 310건, WTO가 출범한 ’95년 이후 85.7%에 달하는 258건이 발효되었고, 세계 교역에서 FTA국 간 교역 비중은 약 50%로 추정 < WTO통보 RTA 발효 건수> < 시기별 RTA 발효 건수> 총310건 자료 : 각종 WTO자료 외 < 세계교역에서 FTA가 차지하는 비중> 1995 2011.10. 자료 : 각종 WTO자료 외 자료 : 각종 WTO자료 외

  15.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1 FTA 허브국가로의 도약 • ▣ EU,인도,ASEAN 등 44개국과 FTA 발효, 내년 초 한-미 FTA 발효 예상 < FTA 추진현황 > • 한국은 미국, EU, ASEAN 등 전세계 빅 3 거대경제권과 모두 FTA를 체결한 유일한 국가 • 한∙미 FTA가 발효될 경우 아시아 지역에서 최초로 미국, EU와 FTA네트워크를 구축 • 한국은 중국, 일본 등과의 FTA도 추진∙검토 중

  16.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1 FTA 허브국가로의 도약 • ▣ 한국의 FTA 교역국가간 교역비중 갈수록 증대 예상 <한중일 FTA 교역비중 비교> • 2011년 한국의 FTA 교역비중 • 은 24.2%, 중국 19.4%, 일본 • 17.2%에 앞서기 시작 * • 한∙미 FTA가발효되면 교역비중이 34.2%까지 상승할 전망 ** • 한국의 FTA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위한 외국 기업의 투자 증가가 전망되며, 특히 중국, 일본 기업의 투자가 확대되어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 주 : *는 한∙미 FTA 발효시 “동아시아 FTA 허브로 부상” 주 : **는 일∙페루 FTA 발효시 주 : 단기는 협상이 끝난 국가들, 중장기는 협상중인 국가를 합하여 계산 자료 : 각국 정부, IMF DOTS

  17.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2 상품/서비스 무역의 동반성장 • ▣ 제조업 중심의 무역구조 개선, 서비스 분야에 대한 투자 강화 • 상품 수출은 세계 7위를 기록한 반면, 서비스 수출은 15위 기록(2010) <2010년 주요국 상품수출과 서비스수출 비교> 자료: WTO

  18.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2 상품/서비스 무역의 동반성장 • ▣ 한국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는 세계 28위, 의료관광객도 현저히 낮음 •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880만 명(2010년)으로 세계 28위에 불과 • - 외국인 관광객 수가 가장 많은 프랑스(7,680만명)의 약 1/9 수준 • 우리나라 외국인 의료관광객 수는 싱가포르, 태국 등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 • - 국별 외국인 환자수(‘10): 한국 8만명, 싱가포르 72만명(추정), 태국 156만명(추정) • - 의료 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해 국내 영리 의료법인 허용 및 민관 공동 해외홍보센터 설립 지원 등 다각적인 지원책 시급 < 2010년국가별 외국인 관광객수 > < 주요국 외국인 의료관광객 수 > (단위 : 백만명, 십억 달러) (단위 : 천명)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추정 자료 : 보건복지부,Singapore Economic Development Board, Tourism Authority of Thailand 자료 : 관광지식정보시스템, UNWTO

  19.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2 상품/서비스 무역의 동반성장 • ▣ 한국의 서비스 무역환경은 최적 • 한국은 지리적으로 중국, 일본, 러시아, ASEAN 등 주요국의 중심부에 위치, 비행시간 3.3시간 내 약 15억, 9시간 내 약 32억의 인구가 밀집 인구자료 : World Bank

  20.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3 녹색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 • ▣ 녹색시장 성장과 대내외 여건변화

  21. <세계 녹색시장 성장 전망> <세계 신재생에너지시장 성장 전망>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3 녹색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 • ▣ 녹색시장 폭발적으로 성장 • 2007년 이후 연평균 8.3%씩 성장하여 2020년 3조1천억 달러 전망 <세계 녹색시장 성장전망> <세계 신재생 에너지시장 성장 전망> 자료 : Federal Ministry of the Environment(2009)

  22.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4 정부의 무역정책 • ▣ 신흥시장, 중견∙중소기업, 무역인프라가 화두

  23.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 경제적 긴밀도 강화 속에 동반번영 추구

  24. Ⅳ.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4.1 무역 1조 달러 국가의 수출구조 • ▣ 무역 1조 달러 클럽 국가의 10대 품목 수출비중(’08~’10 평균)

  25. Ⅳ.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4.1 무역 1조 달러 국가의 수출구조 • ▣ 무역 1조 달러 클럽 국가의 지역별 수출비중(2010년)

  26. Ⅳ.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4.2 한국의 무역구조 • ▣ 한국 : 소수 주력품목 의존형 무역구조 <주요 6대 품목의 수출증가율 추이>

  27. Ⅳ.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4.3 중국의 무역구조 • ▣ 중국 : 성장과 변화를 거듭하는 세계의 공장 <중국의 수출입 금액 추이> <성질별 수출입 구조 변화>

  28. Ⅳ.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4.3 중국의 무역구조 • ▣ 중국 : 성장과 변화를 거듭하는 세계의 공장 <중국의 주요 수출품목 비중 변화> <지역별 수출구조 변화>

  29. Ⅳ.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4.4 일본의 무역구조 • ▣ 일본 : 장인기술로 승부하는 동양의 제조업 강국 <일본의 수출입 금액 추이> <성질별 수출입 구조 변화>

  30. Ⅳ.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4.4 일본의 무역구조 • ▣ 일본 : 장인기술로 승부하는 동양의 제조업 강국 <일본의 주요 수출품목 비중 변화> <지역별 수출구조 변화>

  31. Ⅳ.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4.5 한∙중∙일 교역현황 <한국의 對中 수출입 추이> <한국의 對日 수출입 추이>

  32. Ⅳ.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4.5 한∙중∙일 교역현황 <한국의 對中 수출입 품목추이>

  33. Ⅳ.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4.5 한∙중∙일 교역현황 <한국의 對日 수출입 품목추이>

  34.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