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

학 습 활 동

관등가. 요점 정리. 학 습 활 동. 연대 : 미상 ( 수록 문집인 ' 청구영언 ' 의 편찬 연대로 보아 , 1728 년 ( 영조 4) 이전의 것으로 추정 ) 갈래 : 규방 가사 주제 : 임을 잃은 여인의 슬픔 , 행락을 부러워하며 , 돌아간 임을 그리는 청상과부의 외로움 형식 : 자수율과 구수율은 모두 정형이 없이 월령체 형식이며 , 각 월령 끝에 " 우리 님은 어듸가고 …… 는 줄 모르난고 " 를 공통으로 한다. 관등가. 화자의 정서와 태도.

robert-ward
Download Presentation

학 습 활 동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관등가 요점 정리 학 습 활 동 연대 : 미상(수록 문집인 '청구영언'의 편찬 연대로 보아, 1728년(영조4)이전의 것으로 추정) 갈래 : 규방 가사 주제 : 임을 잃은 여인의 슬픔, 행락을 부러워하며, 돌아간 임을 그리는 청상과부의 외로움 형식 : 자수율과 구수율은 모두 정형이 없이 월령체 형식이며, 각 월령 끝에 "우리 님은 어듸가고……는 줄 모르난고"를 공통으로 한다.

  2. 관등가 화자의 정서와 태도 1.시적 화자 : 객관적 상관물—소년, 나무, 제비, 기러기, 배꽃,복숭아꽃(화자와 반대, 2. 정서 : 님의 부재로 쓸쓸함,님에 대한 그리움 학 습 활 동

  3. 관등가 표현상의 특징 1. 대구, 대조, 반복을 통해 운율감을 형성하고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강조한다. 2. 오지 않는 임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를 세시풍속(歲時風俗)과 결부하여 노래한다. 3.자연물을 의인화 하는 가운데 계절적 배경에 대한 인지를 가능하게 해 준다. (강남서 나온 제비 왔노라 현신하고/ 소상강 기러기는 가노라 하직한다) 4. 다른 달에 비해 사월령에서 열거와 묘사의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학 습 활 동

  4. 관등가 시상 정리 학 습 활 동 외적 상황 화자 처지 1월 : 답교 2월 : 춘기 든 자연 3월 : 만발한 꽃 4월 : 관등놀이 5월 : 추천 임의 부재 (외로움) (괴로움)

  5. 관등가 기본 어구 정리 학 습 활 동 관등 : 음력 4월 8일에 온갖 등을 켜서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하는 일 상원일 : 정월 보름 체괄: 망석중이: 나무로 만든 꼭두각시의 하나,팔다리에 줄을 매어 그 중을 당겨 춤을 추게 함

  6. 관등가 핵심 요소 파악 학 습 활 동 춘기,행화방초,만물화락 자연물 사람들 소년 답교, 화려한 등불 대비 부재한 님, ~모르는고 화자 그리움, 안타까움

  7. 관등가 이해와 길잡이 1 종 합 감 상 '월령상사가'라고도 하며 <청구영언> 대학본 끝에 16편의 가사와 함께 수록되어 전한다. 조선후기 부녀자에 의해 지어진 가사 작품으로, 남존여비의 봉건사회에서 여성의 문화, 사회 활동은 엄두도 못 내는 것이었으나 조선후기의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의 확대와 산문화 경향 속에서 여성 작자층이 성장함에 따라 이 작품과 같은 규방가사가 창작된 것으로 보인다.

  8. 관등가 이해와 길잡이 2 종 합 감 상  정월부터 5월까지 세시 풍속을 먼저 제시하고 그 풍속을 즐기는 소년들의 모습을 부러워하며 보면서 임이 자신의 곁에 없음을 한탄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임에 대한 그리움과 자신의 외로움을 술회하는 청상과부의 순정이 넘치는 노래이다. 고려시대의 '동동', 조선후기의 '농가월령가'와 더불어 일 년 열두 달에 따라 노래하는 월령체 노래의 하나이다.

  9. 관등가 보기를 바탕으로 이 시를 잘못 이해한 사람은? 형 성 평 가 <보기> <관등가>는 정월부터 5월까지 세시 풍속을 먼저 제시하고 그 풍속을 즐기는 소년들의 모습을 부러워하며 임이 자신의 곁에 없음을 한탄하는 노래이다. 노래를 부른 이는 청상과부로 추측된다. 임에 대한 그리움과 자신의 외로움을 잘 표현하고 있다. <동동>, <농가월령가>와 더불어 일년 열 두 달에 따라 노래하는 월령체의 노래이다.

  10. 관등가 보기를 바탕으로 이 시를 잘못 이해한 사람은? 형 성 평 가 ‘소년'들의 답교하는 모습은 외로움을 심화시키고 있어. ‘농가월령가'도 이 노래처럼 임을 잃은 슬픔을 노래할 것으로 생각돼. 화자가 청상과부인 것으로 보아 ‘우리임'은 다시 돌아올 수 없을 것으로 생각돼 ‘소년들’이 그네 뛰는 모습은 화자가 자신의 처지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하고 있어 ‘강남서 나온 제비’는 ‘우리임’과 대조되는 대상으로 작가의 외로움을 심화시키고 있어.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