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1

한국경제의 도전과 선택

한국경제의 도전과 선택. 이근 (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 Kenneth@snu.ac.kr. 현 단계 한국경제의 문제. 저축하락과 투자 침체 : 저축률 : 35.5% (95 ’ )->26% (02 ’ ) 설비투자 /GDP: 15% ( ’ 95)-10%(02 ’ ) 기업 현금 : 01 ’ 32 조 ->02 ’ 말 46 조원 노사갈등 : 손실일수 /1,000 명 비교 한국 144 일 일본 0.7 일 미국 16 일 영국 20 일.

Download Presentation

한국경제의 도전과 선택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국경제의 도전과 선택 이근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Kenneth@snu.ac.kr

  2. 현 단계 한국경제의 문제 • 저축하락과 투자 침체: 저축률: 35.5% (95’)->26% (02’) 설비투자/GDP: 15% (’95)-10%(02’) 기업 현금: 01’ 32조->02’말 46조원 • 노사갈등: 손실일수/1,000명 비교 한국 144일 일본 0.7일 미국 16일 영국 20일 • 잠재 성장률 저하: 90년대 7% -> 4% 대로 • 일인당 국민 소득 8년 정체: 95년 만불 이후: 마의 만불 함정에 발목 잡힘

  3. 세계 각국의 경험 * 많은 나라 들이 만불 달성 이후 위기 경험 아르헨티나: 20세기 초 4강 이후 추락 쿠웨이트, 사우디: 만불 이후 추락 대만: 한국과 비슷한 정체 성공: 일본 (81’->87’), 아일랜드(89’->96’) 포터의 경제발전 단계론 요소 주도 –투자 주도 –혁신 주도 –부 주도 혁신주도로 가야할 시점에 투자도 정체, 혁신도 정체 쇠락형 부 주도 현상 발생

  4. 국가별 미국특허 출원건수 추이 출전: 미국특허청(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www.uspto.gov) 주: 1990년 이전까지는 서독임

  5. 국가별 미국특허 출원 점유율 추이 (%) 출전: 미국특허청(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www.uspto.gov) 주: 1990년 이전까지는 서독임

  6. 각국의 미국특허 추세:한국의 쇠퇴와 대만중국의 약진 (%)

  7. 왜 중국인가: 2개의 5천만 • 시장규모: 세계 2위 • 2001년 GDP 11591억달라 세계 6위; (일인당 902달라) • cf) 한국: 4222억 달라: 약 3배 • 2) 구매력 기준: 2위: 53860억 달라; 한국 8469억 달라 • 3) 세계최대 직접투자 유치국: 39만건: 3,935억 (02년 500억 이상: 한국 20억 미만) • 최고속 성장국: 1위GdP 성장 9.4%: 2위 외환보유국 세계 무역 증가량의 반이상 기여 (02년) • 한국의 제 1 경제 거래 국 • 한국의 제일 무역 파트너 (02년 미국 제침) • 01년 314억 수출 (92년 60억 수출) • 한국의 제일 투자 대상국 (02년 미국 제침) • 02년 6월말: 6,634건 58억 달라 • 중국측: 만여건 124억 (중국내 투자 6위국) • 2001-2년 한국 호황의 원인: 내수와 중국특수

  8. 중국의 경제기적 의 비밀은 ‘연해 및 비국유 주도의 외향적 발전 모델’ • 개혁이후 중국의 고성장은 과거 사용하지 않았던 비교우위의 이용 및 실현 • 실제 성장은 노동집약적 경공업 위주 • 화교의 투자도 이런 등소평의 정책전환 이후에 • 그렇다면 모택동은 뭘 했나? . -- 3가지의 통일

  9. 중국의 경제기적-한국과의 차이 1 도시화 없는 공업화 • 땅을 떠나되 마을은 떠나지 않는다라는 離土不離鄕 정책 노선 • 농촌지역 향진기업: 성장의 엔진; 수출의 3분의 1일 • 규모나 사업 영역 면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 • 자본주의적 공업화 = 도시화; 도시빈민, 도시 혼잡 비용 유발. • 다만 중국만이 서서히 진행되는 도시화: ☞ 이것이 중국이 낮은 소득수준에도 불구하고 높은 저축율과 국제수지 흑자를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 • 이러한 향진기업들이 향후 시장개방 과정에서 어떤식의 영향을 받을지가 중국경제의 중장기 모습을 결정 짓는 중요한 변수 중

  10. 중국의 경제기적 - 한국과 차이 2 외국인 직접투자 적극 개방-내수시장 경쟁 치열 • 중국은 대외지향적 발전전략을 취한 면에서 과거 한국과 동일하지만 한가지 분명한 차이가 남.

  11. 중국의 경제기적 -외국기업을 능가 • 과거 한국의 외국인 직접투자 견제: → 국내기업들이 경쟁에 뒤져 죽을 것을 염려 ※ 중국내에서도 중국기업 다 죽는다고 비판: • 소비재 시장에서 외국기업과의 경쟁에서 중국기업들이 이기는 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음 • 텔레비전, 냉장고, 세탁기, 컴퓨터 등에서 중국기업들이 다국적 기업과 성공적으로 경쟁하며 시장 점유율을 유지 • TV : 시장 점유율 1위는 소니 아니고, 중국의 창홍 • 컴퓨터: IBM 아니고 聯想(legend)이 일등. • 냉장고: 海爾 (Hair) 마이크로 오분: 갈란츠

  12. 중국의 기술비약:leapfrogging • 후발국의 기술 비약 ☞ 한국: ▷현대차의 전자분사 엔진 개발 ▷ 삼성전자의 64비트D-Ram. ▷ CDMA 개발 역엔지니어링 Reverse Engineering: 단순조립-단순부품-핵심부품-디자인 모방 –신제품 컨셉트 ☞ 중국: ▷ VTR 없이 VCD로 ▷ 고정전화 → 이동전화 ▷ 유선인터넷 → 무선인터넷 ▷ 전화교환기: manual switch–> electro-mechanical switches (step-by-step -> cross-bar) -> (automatic) stored program control s/w (analog -> digital) switching’ 지식 산업화 (knowledge industrialization): 중관촌의 교판기업

  13. 중국기업 사례PC메이커련상 (Legend)의 성공요인 • 낮은 기술적 진입장벽: 기술제휴 • 가격우위: 96년 4-5월. 3번 인하 매번 25%씩 ⇒ 매출 300% 증가: (茅台酒 질량, 二鍋酒 가격) • 대만 ACER와 합작: 부품 수입 • 중국시장 특성 공략: 가정PC에 주력 (1+1), 아동 교육 강조, 최신 모델로 승부 • 광범위한 배급망: 예)연상 → 도시바의 랩탑 대리판매 후: 1%점유 95’ ⇒ 30% 97’ • 정부 지원: 90년대 30% 정부 구매: 밀수 단속 98’: 외국산 밀수입 타격 + 집중화: 컴 관련 산업에 집중 cf). Stone & Giant • 일찍부터 국제화: 93’실리콘 밸리 디자인 센터

  14. 중국기업 약진의 비결 • 유통 및 A/S에서의 우위, • 화교자본과 기술의 도움, • 중국특수적 수요에의 빠른 부응, • 외국기업이 많지 않은 내륙시장 유치산업 보호막적 역할, • 정부의 지원 등의 여러 요인 예) 창홍TV와 사천성 (촉나라 땅): 모택동이 구사한 농촌을 근거지로한 도시 포위 전략과 비슷.

  15. 중국경제 중장기 전망 2008년 올림픽 전후까지 고도 성장 가능 • 중국은 널리 국제경제에 참여하고 있고 국내 시장에서도 이미 외국 상품과 외국기업 들과의 경쟁 • WTO 이후에는 관세로 국내시장을 보호할 수 없으며, 필연적으로 산업 구조조정이 예상 • 90년대 중반 잠시 주춤했던 외국인투자가 아시아위기 이후 다시 가속화 ⇒ 국제사회에 대한 중국경제의 평가를 반영하는 것 • 이렇게 볼 때 중국경제는 2008년 북경올림픽 전후인 2010년대 초기까지는 큰 문제 없이 고성장 가능.

  16. 중국경제 중장기 전망 구조적 문제: 중국은 가짜다 불균등성: 지역간 격차와 빈부격차: 내륙 20년차 (문화수준), 농촌 수도 전기 Gini 계수, 귀족학교 B) 부정부패 단기 해결 불능: 朋友經濟, 밀수 C) 실업문제: 1,500만 실업자; 매년 1,000만 신규 진입. D) 중앙 대 지방: 중국은 갈라진다? 광동의 배짱 E) 이중구조: 역동적 비국유 대 침체된 국유 F) 금융부실: 외환위기? -- 공산당 왕조의 수명

  17. 중국 쇼크의 실체: 한국 산업 공동화 • 21세기 들어 중국은 한국에 커다란 충격: 한국 경제가 쇼크사하지 않기 위해서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 • 중국쇼크의 실체 파악: • 개별 기업 차원에서는, 중국 상품과의 경쟁 문제도 있고, 중국산품에 대한 관세 부과 문제도 있고, 중국으로의 공장 이전 등 다양한 인식이 가능하나, • 국민경제 차원에서 중국쇼크의 실체는 무엇인가. ☞ 그것은 한국 산업의 장기적 공동화.

  18. 중국 쇼크의 실체: 산업의 공동화 • 한일 국교정상화 → 일본 쇼크의 실체는 경제 종속: ☞ 수출을 하기 위해서는 일본제 중간재를 수입해야 하는 대일 수입 유발형 경제구조 • 중국: 세계 최대의 공장: 한해에 400억불 이상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 주변국 산업을 빨아들이는 거대한 블랙홀: ☞ 한국의 대 중국 투자도 이제는 원단 및 원자재 공장까지도 중국에 이전하는 심화형 및 대기업에 투자가 늘어남에 따라 이런 업종에 부품을 공급하는 중소기업도 중국에 따라 갈 수 밖에 없게 되고 있다. • 2002/5 상공회의소 조사: 해외이전 이유: 모회사/거래선의 이전, 신사업 증가; 노동력 확보 이유 축소

  19. 한중 무역 과 한일 무역 • 현재 한중 무역은 중국이 필요한 중간재를 한국이 수출하는 한일관계와 비슷한 무역구조 • 산업내 무역 급증: • 대중국 수입 공산품 비중: 57%(91’)->75% (00’) • 산업내 무역 지수: 대중 40% 51%; 대일 45% -> 53% • 중간재를 한국이 얼마나 오래 수출할 수 있을지 또는 언제 이런 공장도 중국에 이전해야 할지는, 일인당 부가가치가 관건 • 한중간의 임금격차가 10:1일이라면 한국에서의 일인당 부가가치도 중국보다 10배 이상 되어야 국민 경제의 지속적 유지 가능 • 제조업이든 서비스든 무엇이든 상관 없이 높은 생산성을 낸다는 것이 경제 전체 차원에서는 중요: • 공장은 이전이 가능하지만, 노동력의 국제이동 곤란: 높은 생산성을 내지 못하는 노동자는 취업하기가 어려워 질것이다. ☞ 중국쇼크: 일차적으로 산업의 공동화; 이차적으로는 실업증대

  20. 대 중국 발상 전환 중국이 뜰 때 같이 뜨기 전략으로 • 한국도 같이 뜨는 쉬운 방법: • 그것은 뜨는 중국에 한다리 걸치거나 붙어 있으면 중국이라는 거대한 용이 뜰 때 같이 뜬다는 간단한 논리 • 이런 간단한 이치를 저버리고, 저 뜨는 용은 어떻게 가라앉힐 수 없을까 또는 내가 더 빨리 뜰 수 없을까 등의 딴 생각을 하는 것은 무모하거나 때 늦은 전략이다. • 중국경제의 성장은 한국에 좋다: 시장수요 (소비재 + 중간재)

  21. 한중일의 신분업론 단중기: 산업간에서 산업내 가치사슬 시각으로 • 현재 중국의 주력 육성 산업은 현재 한국의 성장 주도 산업과 일치 –산업 선택 시각에서 보면 양국은 상호 경쟁 할 수 밖에; • 이 시각에서 벗어나 동종 산업내 분업 및 특화를 생각해야 • 분업론 1: 한국은 중간재 중국은 최종재 (과거 한-일 분업) • 분업론 2: 부가가치도 면에서 접근: • R&D- 제조 - 마케팅/물류 가운데 • 한국은 R&D와 마케팅/디자인/브랜드 관리에 특화: • 중국은 제조업에 특화 • 한국의 R&D 능력: 예) 미국특허수, 증가율 (단, 삼성주도) • 동북아 중심국가: 금융, 물류 중심 보다는 R&D 중심으로: • R&D 가 현재 더 비교우위 있는 분야임: • 중국의 제조업에 대한 위탁 R&D역할도 가능

  22. 한중간 산업내 분업 사례 ) 산업내 분업 사례 • 1) 세원 텔레콤: 중국 하이얼과 휴대폰 개발/조립생산 계약 02/11 • www.sewon-tele.com: 20상반기 수출 1억 800억 • 2003-07: 연간 500만대 200만대: 하이얼 브랜드로 세원 판매; • 100만대 세원 브랜드 중국내 판매 • 200만대 해외시장 수출 (GPRS, CDMA 생산은 하이얼) • 세원은 하이얼의 신모델 개발 파트너; 중화권 수출 비중 80% • 하이얼은 중국내 최대 가전업체 (냉장고 위주: 최근 휴대폰 진입; 생산 라이센스 보유) • 2) 슈퍼콩: 농업벤처 기업 지오맥 자체 개발 슈퍼콩 (영화콩) • 중국 심양의 투자기업 (심양호호농장)에서 시험 재배 • 면적당 생산량 세계 기록: 10a당 730kg->828kg 이상

  23. 한중일의 신분업론 최장기: 중국은 제조업, 한일은 지식집약 및 전문 서비스업 안 • 최근 한국경제의 장래는 고부가가치 전문 서비스업에서 그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주장 • 이를 중국은 거대한 공장 즉 제조업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과 연결시키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 지가 나온다. • 우리는 중국이라는 거대한 제조업에 부가, 부수되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전문 서비스 업을 한다. ♣ 예를 들면, 미국 빅3 자동차 회사의 부가가치의 60% 이상이 차 자체의 제조 판매가 아니라 금융 등 관련 서비스에서 나온다는 사실 • 우리가 할 일에 대한 시사를 던져 준다.

  24. 지식 집약/전문 서비스 산업 관련 사례 1) • 과거 한국은 세계최대의 콘테이너 생산국이었다. 이제는 중국이다. 그러면 한국은 무엇을 하나? • 대형 화물선에 콘테이너를 싣는 것은 아무렇게나 싣는 것이 아니고 내재된 화물의 성격에 따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실어야 하는 등 컨테이너 관리 통제가 단순한 일이 아님. • 한 중소기업이 그동안 컨테이너 선적 및 관리에서의 경험을 기초로 이를 소프트웨어로 개발하여 이분야 세계 1위 • 전문 서비스 업은 바로 이런 것 • 그동안 콘테이너 관리에 얻은 암묵적 지식을 소프트웨어라는 명시적 형태로 바꾼 ‘지식 수출’의 가장 좋은 사례. 관련 사례 2) • 의류업: 최근 한류라는 이름으로 한국의 연예 오락문화가 중국에 유행이라면, 옷은 중국에서 만들되 한국기업은 유행물을 캐릭터화해서 이를 로열티 등의 형태로

  25. 대만 공동화의 교훈 • 그간의 제조업 경험에 (암묵적 지식) 기초하여 각종 새로운 부가 상품,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에 특화하여, 이를 중국의 제조업 업체에 팔던가, 같이 비즈니스를 하자는 것. • 이미 홍콩은 중국에 대한 무역 및 금융 서비스 제공자로서 분업하였고, 대만은 국내 제조업이 공동화되는 과정을 거쳐가면서도 마땅한 분업 역활을 못 찾아 오늘날 이 어려운 상태에 • 한국제조업도 많은 것들이 시간 문제 • 각종 전문 서비스업에서 경쟁력을 개발해야: • 단, 홍콩이 많이 해온 무역 금융 등 순수 서비스 산업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콘텐츠, 인터넷 솔류션, 등 음악, 영상, 통신, 교육, 법률, 등의 신종 서비스 산업을 주로 해야. 중국인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이들 품목에 대한 수요는 급증 전망.

  26. 한일 FTA(자유무역)론 • 중소기업청 03년 400개 기업설문조사: 86% 가 FTA 찬성: 찬성 이유 (복수응답): 수출증대 (44%) 수입재 가격하락 (38%) 생산성향상 (37%) 체결 시점: 2-3년 준비후(50%), 1-2년 후 (40%) • 한일 FTA로 일본의 부품소재 산업 유치해야: 한국 공동화 방지 및 일본 구조조정 해결: 이 경우 대 중 무역에서 산업내 분업 및 한국 흑자 안정화

  27. 한국기업의 중국 전략 중국 시장 학습 및 마케팅이 관건 • 이미 기술은 같다; 제품과 그 개발력은 비슷. 생산성 미미 차이 • 결국, 남는 것은 마케팅과 중국시장에 맞는 상품 개발 • 사례) 하이얼의 투도어 냉동실 크게 련상의 일가정 일PC: 복수 대리점 대 단일대리점 중국인 가정에 가 보아야: 입식 주거 환경: 아동 보육 사례) 아동 중시 제품: 어린이용 냉장고 (광동 科龍집단): (시장규모 1억대 이상; 결국 고소득 층 이 고객): 작고, 색상, 위생도, 안전, 게임, 음악 기능 브랜드/회사 이름 영문과 한자 복수 표기: 예) coca cola (可口可樂); 에버랜드 愛寶樂園; 초코파이 (好麗友派) 롯데: 樂天

  28. 중국 시장에 대한 인식 중국에 대한 인식: 중국시장은 어렵다 그러나 중국을 무시할 수 없다. 중국 시장의 성격: 1) 대 부분 품목 공급과잉이나 모두 다 보급 포화상태는 아니다: 예) 핸드폰 보급율 2) 도시는 포화상태이나 농촌은 한참 멀었다. 단 유효수요가 문제 3) 서비스 산업의 비중 극히 낮아 급팽창 가능성+ WTO 4) 중국에는 여러 개의 시장이 존재한다 5) 시장 불완전 통합 + 체면 중시: 브랜드 명성이 중요 21세 유망 산업: 1) 아동산업: 0-12세 아동 2억. 2) 건설, 3) 환경 사업

  29. 한국기업의 중국 전략 고급 브랜드 파워 구축 유지하라 하이엔드 + 고가 품 전략으로: 도시의 부유 유효 수요층 좋은 CI 유지 : 일반 국민 관계 유지 중요: 장학사업, 기부 등 고급 인재 선점하라 : 고급 인력 부족 –그들의 인맥도 따라 옴 아직도 중국은 관치 경제이다.-관계 인맥 중요 –‘붕우’경제 의형제 만들기: 6) 중국인/중국시장을 연구하라: R&D 는 현지 시장수요 부응형으로 – marketing-driven R&D:

  30. 결론 1: 한국경제의 활로 모색 관치 차별화 -> 관치 평등화 -> 시장 차별화: 박정희 대통령 새마을 운동 마을 차별 지원 경쟁과 그 결과는 존중, 낙오자는 사후 보호해야 평등지향적 경제 및 교육 정책 폐기해야 성장과 분배 논쟁: 성장이 분배 개선 (동아시아 형 경로) 노동시장 유연성이 청년 일자리 창출 북한 및 남북 경협이 돌파구: 공동화 문제 및 성장원천 국가 리더쉽 및 비전 제시 그리고 추진력 예) 이일랜드의 위기 탈출 현 정당 정책: 선호 정당 없다?

  31. 결론 2:기업지배 구조 관련 효율적 지배구조의 조건: 대주주 (대 투자자) 존재 와 소액 주주 보호 장치 한국 기업 경우: 기업 내부 대 기업 외부로 나눠 내부는 기업자율로 내부: 사외이사, 투자 (출자총액) 외부: 소액 주주 권익. 통제권 과 배당 청구권의 괴리: 발생원인: 사적 이득의 존재 ; 이를 줄이는 법적 제도 개혁필요 즉, 출자 총액제는 풀고 집단 소송제는 도입해야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