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

••••••••••••••••••••••••••••••••••

인터넷에서의. 타인을 비방하는 행위와 검열의 문제. ••••••••••••••••••••••••••••••••••. 60075239 김 철 수 60075242 이 나 혜. 목 차. 목 표. 인터넷의 표현의 자유. 인터넷 공간에서의 검열. 인터넷 법적 규제. 목표. 인터넷 상에서 개인의 의견 표현 허용 범위 악플 피해 사례 인터넷 검열 및 법적 대응. 인터넷의 표현의 자유. 대한민국의 헌법에서 규정하는 표현의 자유 제 21 조

rosine
Download Presentation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인터넷에서의 타인을 비방하는 행위와 검열의 문제 •••••••••••••••••••••••••••••••••• 60075239 김 철 수 60075242 이 나 혜

  2. 목 차 목 표 인터넷의 표현의 자유 인터넷 공간에서의 검열 인터넷 법적 규제

  3. 목표 • 인터넷 상에서 개인의 의견 표현 허용 범위 • 악플 피해 사례 • 인터넷 검열 및 법적 대응

  4. 인터넷의 표현의 자유 • 대한민국의 헌법에서 규정하는 표현의 자유 • 제 21 조 • 1. 모든 국민은 언론 , 출판의 자유와 집회 , 결사의 자유를가진다. • 2. 언론 , 출판에 대한 허가나 검열과 집회 결사에 대한 허가는 인정되지 아니한다. • 3. 통신 , 방송의 시설기준과 신문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 • 4. 언론 , 출판은 타인의 명예나 권리 또는 공중도덕이나 사회윤리를 침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언론,출판이 타인의 명예나 권리를 침해한 때에는 피해자는 이에 대한 피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 제 22 조 • 1. 모든 국민은 학문과 예술의 자유를 가진다. • 2. 저작자 , 발명가 , 과학기술자와 예술가의 권리는 법률로써 보호한다.

  5. 인터넷의 표현의 자유 • 한 사안에 대한 여러 의견 표출 • 소수 의견의 존중 • 인터넷 상에서의 표현의 자유의 억압 • 표현의 자유에 대한 부분적 제한

  6. 악플(악성댓글) • 악플의 정의 • 인터넷의 댓글란을 통해, 사회 구성원의 90%이상이 동의할 수 없는 인신공격과욕설, 반사회적 의사를 표시하는 행위와 그 내용 • 악플과 관련된 잘못된 상식 • 악플은 실명제 도입시 모두 없어질 것이라는 것 • 사례 > 싸이월드의 미니 홈피 및 클럽 등 • 악플은 모두 나쁜 것이라는 것 • 비판과 악플의 차이

  7. 악플 사례 1 • 임수경 사건 • 대한민국 사회 운동가 • 국가보안법 위반혐의로 체포됨 약 3년 4개월 동안 수감됨 • 2005년 어학연수 중이던 초등학생 외아들이 필리핀에서 사고로 사망 • 사건 보도 후 방북 전력과 관련 지은 악성 댓글 생김 • 임수경은 댓글을 단 네티즌을 고소하여 네티즌들은 벌금형을 선고받음

  8. 악플 사례 2 • 김완섭 사건 • 양심불량 대한민국! 독도는 일본에게돌려줘라, 김구는 살인귀, 테러리스트 • 일본 지지 , 한국 비하

  9. 악플 사례 2-1 • 김완섭 사건 • 네이버 뉴스에 악플을 단 네티즌들을 고소 • 그러나 악플을 단 네티즌 1000여명에 대해 불기소 처분 • 고소문 전체 내용http://www.zdnet.co.kr/i/microsite/aspirin/blog/kws/kys_4.jpg

  10. 악플 사례 3 • 최진실 자살 사건 • 인터넷 루머에 시달려 매우 힘들어 함 • ‘ 최진실 사채놀이’ 동료 연예인 죽음 • 인터넷에서 빠른 속도로 퍼져나감 • 모 증권회사 여직원의 소행

  11. 인터넷 공간에서의 검열 • 인터넷 검열이란? • 인터넷 검열은 인터넷을 통해서 접근하는 정보를 제한하는 범위로서, 일반적으로 국가에 의하여 체제나 공공의 안전을 위협할 만한 정보에 대해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12. 대한민국의 인터넷 검열 • 대한민국에서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2000년대에 들어서부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협력하여, 불법 정보를 담고 있는 사이트를 차단하기 시작했다. • 이는 외국에 거처를 둔 불법 사이트의 경우에는 한국 이용자를 목표로 사이트를 만들었다고 해도, 외국의 법을 적용 받는 까닭에 처벌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13. 각 불법 사이트에 대한 심의 담당기관

  14.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인터넷판이 선정한 '소리없는 인터넷 검열국가' 5곳 중 한국이 '북한 선전' 사이트를 차단한다는 이유로 명단에 올랐다. • 인터넷서비스 제공업체(ISP)가 자발적으로 불건전 사이트 접속을 차단하도록 하는데 그 수가 무려 12만개에 달한다. 접속 차단 사이트에는 도박이나 포르노 사이트도 있지만 대개는 북한 체제를 선전하거나 통일을 찬양하는 이념 관련 사이트다.

  15. 인터넷 법적 규제 • 사이버 명예 회손죄 • 사이버명예훼손죄라 함은 사람을 비방할 목적으로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공연히 사실 또는 허위의 사실을 적시하여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에 대해 처벌을 하기 위한 규제

  16. 사이버 명예훼손의 법적 규제 • 사실을 적시했다고 해도 비방의 목적이 있을시 - 3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 벌금 • ‘허위 사실’을 적시했을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5000만원 이하의 벌금 • 사이버 성폭력 기준도 피해자의 입장에서 가려진다. - 누리꾼이 “성적으로 모욕을 줄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하더라도 피해자 측이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느꼈으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

  17. 사이버 모욕죄 • 사이버 모욕죄란 ? - 인터넷과 같은 사이버 공간에서 사람을 모욕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 • 이에 관한 법률이 도입된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이 유일 - 민주주의 국가 중에서 도입을 추진하는 것은 대한민국이 최초

  18. 사이버 모욕죄의 법적 규제 • 누구든지 정보통신망을 통해 타인을 모욕하는 행위를 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전항의 죄를 처벌할 때에는 피해자의 의사를 존중해야 한다.

  19. 인터넷 법적 규제에 따른 부작용 • 피해자 요구에 따라 포털 사업자가 게시물을 일시 차단하는 ‘임시조치’ • 행정기관이 게시물 삭제를 요구하는 ‘시정요구’ • 명예훼손이라고 보기 어려운 정부 비판 글이나 의사표현 게시물까지 일시 차단하는 무차별 임시조치 사례 발생

  20. ○ 경찰 폭력을 비판한 게시글에 대한 임시조치 • 시위대에 진압봉을 휘두른 경찰에 대해 비판한 블로그 및 다음아고라 게시판의 게시물 다수가 임시조치 되었다. • 삭제를 요청한 사람은 당시 진압봉을 휘두른 경찰간부이다. • 공개된 장소에서 수행된 공무에 대한 비판 게시글에 대해서도 명예훼손을 이유로 임시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21. ○ 주성영 의원의 임시조치 요구 • 게시자는 다음 아고라 경제토론 게시판에 올린 게시물에 대한 임시조치를 당했다. • 신고자는 주성영 의원. • 게시물 내용은 다음과 같이 단 세 줄이었다. 미니홈피 주소야 어차피 공개된 것이고, 더구나 주성영 의원은 명백히 공인이며, ‘만취한채민폐끼치는’은 해당 정치인에 대한 게시자의 주관적 평가일 뿐이다.

  22. ○ 곰플레이어 사례 • ‘곰플레이어가 개인정보를 수집 및 유출한다’는 내용의 글도 임시조치 당함. • 요청자는곰플레이어 제작업체인 (주)그래텍. • 게시물의 내용은 곰플레이어가 개인정보를 수집, 유통한다는 ‘의혹’을 제기한 글. • 소비자들의 정당한 의혹 제기에 대해 해당 업체가 공개적인 해명을 하기보다는 해당 글을 삭제 요청을 한 것은 과도하다고 판단됨.

  23. 바람직한 규제의 방향 • 인터넷의 이용이 국가와 지역여하를 불문하고 보급되고 있는 지금, 상호간의 인터넷이용을 조정하기 위한 하등의 기준이 필요하며, 우선적으로 교통정리가 행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문제는 어떠한 기준과 방법에 의하여 조정을 할 것 인가이며, 이 점에서 특정한 내용을 갖는 표현행위를 일률적으로 또 법적으로 제한하려는 것은 그것이 행정에 의한 것이든, 민간단체에 의한 것이든, 신중하게 대처해야 할 것이다. 정보내용의 규제에는 명확한 요건과 규제의 실효성, 합리성 등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24. 감 사 합 니 다 ••••••••••••••••••••••••••••••••••

  25. 이 곳에 체크해 주시면 V e r y G o o d B a d B a d B a d 더 욱 감 사 합 니 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