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

패러 세일링 (Para-Sailing)

패러 세일링 (Para-Sailing). ▪ 서울시립대학교 생활체육정보학과 ▪ 담당교수 : 오유성. 패러세일링이란 ?. 특수 고안된 낙하산을 멘 사람을 긴 줄로 자동차나 모터 보트에 연결하여 견인하여 가다가 낙하산에 공기압이 생기면 하늘로 떠올라 공중비행을 즐길 수 있게 한 레포츠 . 패러세일링의 역사. ▪ 외국 • 1950 년 프랑스 공수 부대 훈련용 개발 • 영국으로 전해지고서 레저용 스포츠 발전 • 미국 1960 년대 도입 1980 년대 빠르게 대중화 ▪ 국내

samuru
Download Presentation

패러 세일링 (Para-Sailing)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패러 세일링(Para-Sailing) ▪ 서울시립대학교 생활체육정보학과 ▪ 담당교수 : 오유성

  2. 패러세일링이란? • 특수 고안된 낙하산을 멘 사람을 긴 줄로 자동차나 모터 보트에 연결하여 견인하여 가다가 낙하산에 공기압이 생기면 하늘로 떠올라 공중비행을 즐길 수 있게 한 레포츠.

  3. 패러세일링의 역사 ▪ 외국 • 1950년 프랑스 공수 부대 훈련용 개발 • 영국으로 전해지고서 레저용 스포츠 발전 • 미국 1960년대 도입 1980년대 빠르게 대중화 ▪ 국내 • 1985년 7월 충남 서산군몽산포 해수욕장 •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나 쉽게 하늘을 날 수 있는 장점 보완 클럽과 동호인 수가 늘어나는 추세

  4. 패러세일링의 특징 • 안정성과 스릴이 뛰어남 • 동시에 2인까지 탑승 가능. • 중량 이 46킬로그램 이하나 1백25킬로그램 이상되면 이용을 할 수 없다 • 줄은 최대 2백40미터까지 늘일 수 있고 보통은 100미터 내외에서 사용

  5. 패러세일링의 장비 • 낙하산(Canopy) • 하네스 • 헬멧 • 구명조끼 • 줄(tow-rope) • 견인기구

  6. 패러세일링의 비행 방법 ▪ 낙하산을 땅 위에 펼친 뒤 착용한 하네스와 낙하산을 연결시키고 자동차나 모터보트에 연결된 줄을 땅 위에 지그재그로 놓고 한쪽 끝을 낙하산에 연결. ▪ 낙하산 보조자는 낙하산 양 옆에 서서 낙하산을 잡고 낙하산 안으로 바람이 들어가도록 펴주고 이륙할 때 몇 발자국 잡고 따라가 주어야 한다. ▪ 안전요원은 이륙준비가 끝나면 운전자에게 정해진 신호 방법에 따라 출발준비를 알리고 비행할 사람의 2∼3m 전방에 서서 다시 한번 안전상태를 점검하고 'GO'라는 소리를 쳐서 이륙

  7. 패러세일리의 비행방법 ▪ 패러세일이 공중에 뜨게 되면 운전자의 손에 의해 비행이 조종되며 비행 중에는 모든 연결부분에 손을 대지 않도록 한다. ▪ 착륙 • 수상착륙 : 모터보트가 정지하는 것으로 착륙. 패러세일은 스카이다이빙의 낙하산과 같이 내려옴. • 육지착륙 : 발이 막 땅에 닿으려고 하는 순간까지 견인줄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고 자동차의 속도를 서서히 줄여야 한다. 땅위에20-30cm 가량 두고 떠 있을때 자동차는 멈춰야하며 비행자는 자기발로 설 수 있도록 함. ☞ 착륙때도이륙때와 같이 보조자의 도움 받음.

  8. 패러글라이딩의 장소 • 바닷가나 호수 등 가능한 넓게 트이고 장애물로부터 멀리 떨어져 이끌어 주는 차나 보트, 비행하는 사람에게 어떤 위험도 없는 곳 • 장소의 길이는 줄 길이의 최소한 10배∼12배 가 되는 곳

  9. 패러글라이딩시 주의점 • 굴곡이 있거나 미끄러운 땅, 습기가 많은 잔디나 전기줄 같은 장애물이 있는 곳은 피해야 한다. • 일단 궁중에서 비행중인 때는 각 연결부분의 줄을 함부로 잡아당기거나 연결고리를 만져서는 안 된다. • 안전 비행을 위해 속도는 자동차나 모터보트 모두 5-25마일을 유지하도록 한다. • 회전시의 최소회전 반경은 줄 길이의 3배 이상이 되도록 해서 비행의 안전 및 안정을 유지하도록 한다. • 모터보트로 낙하산을 끌 경우에 보트는 물 위에 떠 있겠지만 비행할 사람과 낙하산은 땅이나 백사장 또는 이륙하기 쉽게 만든 잔교에서 이륙준비를 해야 한다.

  10. 참고문헌 • 김효윤(1997). 레포츠 가이드. 오성출판사. • 박대환 외(2000). 현대여가와 레저생활. 학문사. • 유정애(2007). 체육수업모형. 대한미디어.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