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3

인공호흡기 간호 I 인공호흡기 적용

인공호흡기 간호 I 인공호흡기 적용. 광주보건대학 양진주 교수. 1. 학습목표. 인공호흡의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인공호흡기 적용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 인공호흡기 적용 준거를 설명할 수 있다. 인공호흡기 system를 설명할 수 있다. 인공환기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인공호흡기 모드 분류 및 호흡 종류를 설명 할 수 있다. +. 0. -. 호기. 흡기. 흡기. 호기. 2. 학습하기. 1. 인공호흡의 기전 1) 정상호흡

Download Presentation

인공호흡기 간호 I 인공호흡기 적용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인공호흡기 간호 I 인공호흡기 적용 광주보건대학 양진주 교수

  2. 1. 학습목표 • 인공호흡의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 인공호흡기 적용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 • 인공호흡기 적용 준거를 설명할 수 있다. • 인공호흡기 system를 설명할 수 있다. • 인공환기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 인공호흡기 모드 분류 및 호흡 종류를 설명 할 수 있다.

  3. + 0 - 호기 흡기 흡기 호기 2. 학습하기 • 1. 인공호흡의 기전 • 1) 정상호흡 • 흡기에는 횡격막이 팽창과 늑골의 상승으로 흉곽의 크기 확대: 폐가 음압되어 공기를 받아들임 • 호기에는 횡격막과 늑골이 정상 위치로 되돌아가 흉곽이 크기 감소: 폐가 양압되어 공기가 기도 밖으로 나감 • 2) 인공호흡 • 인공호흡기가 양압 공기를 폐에 전달하고 흡기가 종결되면 호기기 시작하는 형식

  4. 2. 학습하기 • 2. 인공호흡기 적용 목적 • 1) 양압으로 폐 팽창 • 생리적 호흡유지, 무기폐(atelectasis) 예방과 교정 • 2) Ventilation과 oxygenation의 증진 • Hypoxemia, acute respiratory acidosis 교정 • 3) O2 consumption과 Muscle fatigue 감소 • 폐와 기도 치유 증진 • 4) 심근의 부담 감소 • CHF 대상자의 산소소모량 감소

  5. 2. 학습하기 • 3. 인공호흡기 적용 준거 • 1) 적용준거 • Apnea(신경근육이나 심, 폐기능 허탈) • 급성호흡부전 (Acute Respiratory Failure, ARF) • PaO2 < 60mmHg on FIO2 > 0.6 • A-aDO2 350mmHg 이상 • VD/VT ratio: 0.6 이상 • RR: 호흡수 35회/분 • Vital capacity: 10ml/kg 이하일 때 (= Tidal Volume x 2 이하일 때) • 심한 저산소혈증: room air 에서 PaO2가 50mmHg 이하인 상태 • 호흡근의 피로: 쇠약, 과대사 상태, COPD 환자

  6. 2. 학습하기 • 3. 인공호흡기 적용 준거 • 1) 적용준거 • 보충 자료 • A-aDO2= PAO2-PaO2, 정상 <25mmHg • PAO2(mmHg) = FiO2(대기압- 수증기압) –PCO2/R • (대기압= 760mmHg, 수증기압= 47mmHg, • R= 호흡상수, 호흡상수는 폐포내 증가한 탄산가스양과 폐포로 부터 소모된 산소의 양과 비율로 • R은 임상적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할 경우 0.8, 100% 산소를 흡입할 경우 1.0 )

  7. 2. 학습하기 • 3. 인공호흡기 적용 준거 • 2) ARF의 생리적 이상 • Alveola Dead space(4/0) (참고: 평균 V/Q ratio 4/5) • 폐포내 환기는 되나 관류 안되는 경우로 동맥혈에서 CO2를 제거 못함( pulmonary embolus) • Venous Admixture(Absolute shunt) (0/5) • 환기 없는 관류로 안되 혈액은 shunt(단락화), deoxygenated blood가 우심장에서 좌심장으로 가게 됨, 폐포 허탈된 경우로 동맥혈의 저산소혈증(hypoxemia) 발생(atelectasis, pneumonia, pulmonary edema) • V/Q mismatch • Low V/Q (2/5): 정상 관류와 부적절한 환기. Shunt 증가 • High V/Q (4/2): 환기는 정상이나 관류가 적음. AaDO2와 VD/VT 증가 • 환기 기전의 변화 • Compliance(유순도) 감소: 비만, 복부팽만, 기흉, 무기폐, 폐렴 등 원인 • Airway pressure 증가 : COPD, pulmonary edema, acute airway obstruction 등 원인

  8. 2. 학습하기 • 3. 인공호흡기 적용 준거 • 3) ARF 로 이끄는 질환 • Acute Lung Disease(급성 폐질환) • Atelectasis, pneumonia, pulmonary edema,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 Vascular Disease(혈관 질환) • Pulmonary embolism, mitral stenosis • Restructive Thoracic Condition(억제성 흉곽 상태) • Obesity, kyphoscoliosis, pneumothroax • Neurologic & Neuromuscular Disease(신경 및 신경근 질환) • Myasthenia gravis, Guillian-Barre syndrome, tetanus, sipinal cord injury • Acute Airway Obstruction(급성 기도폐색) • Smoke inhalation, analphylaxis, epiglottis, foreign body, trauma

  9. Ventilator system Expiratory valve filter atmosphere microprocessor Patient Electrical power filter Air humidifier Inspiratory valve O2 2. 학습하기 • 4. 인공호흡기 시스템

  10. 2. 학습하기 • 5. 인공환기 종류 • 1) 양압 환기 • 중환자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공호흡기 • 폐포압< 기도입구압, 일반적으로 5-10cmH2O의 압력을 폐에 공급 • 흡기 단계의 종결 방법에 따른 종류 - 압력주기형 인공호흡기, 용량주기형 인공호흡기, 시간주기형 인공호흡기 • 2) 음압 환기 • 호흡을 촉진하기 위해 흉곽과 가슴에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주며, 기도 삽관이 필요하지 않는 인공호흡기 • 흉곽을 최소로 감싼 후 환기가 팽창되었을 때, 공기를 흉곽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음압을 만들며, 이러한 압력의 차이로 공기가 기도 쪽으로 들어가는 인공호흡기 • 종류 - iron lung, chest cuirass shell, poncho chest shell, pneumopressor 등

  11. 2. 학습하기 • 6. 인공호흡기 모드 분류와 호흡 종류 • 1) 인공호흡기 모드(Mode) 분류 • (1) control variable • 인공호흡기가 분당호흡량을 제공하기 위해 흡기시 한가지 목표를 달성하며 흡기시 전달하는 목표가 cotrol variable, 환자 lung 상태와 무관하게 달성 • variable: Volume Controlled Ventilation(VCV), Pressure Controlled Ventilation(PCV), time control, flow control • Parameters: Compliance(유순도), Resistance(저항)

  12. 2. 학습하기 • 6. 인공호흡기 모드 분류와 호흡 종류 • 1) 인공호흡기 모드(Mode) 분류 • (2) Phase variable • 호흡 주기의 각 phase를 시작, 유지, 종료 시키는 변수 • Triggering: 호기에서 흡기로 변화시켜 흡기 시작(start) • Ventilator triggering: 환자의 흡기노력 없을 때, 주로 time-cycled triggering • Patient triggering: 환자의 흡기노력 있을 때, pressure triggering & flow triggering • Limit variable: 흡기 동안 설정된 수준을 계속 유지, pressure limit(PC mode), flow limit(PS mode), Volume limit • Cycle variable: 목표 도달시 흡기 종료되고 호기로 이행(end) • Time cycled, volume cycled, flow-cycled, pressure cycled • (3) Conditional variable • 인공호흡기의 조절 논리에 의해 호흡 단계를 조절 • 종류: SIMV(환자의 흡기 노력이 이 time window 안에 있으면 synchronized IMV 제공)

  13. Pressure vs Time Mechanical breath Peak inspiratory pressure, PIP inspiration inspiration expiration Flow(L/min) Time/sec P(CmH20) expiration PEEP Time(sec Time(sec) controlled assisted Pressure(cmH2O) Time(sec) 2. 학습하기 • 6. 인공호흡기 모드 분류와 호흡 종류 • 2) 인공호흡기 호흡 종류 • (1) Mechanical Breath: 인공호흡기가 trigger, limit, cycle • (2) Assisted Breath: 환자에 의해 trigger, 인공호흡기가 limit, cycle

  14. Flow(L/min) Pressure(cmH2O) Volume(ml) 2. 학습하기 • 6. 인공호흡기 모드 분류와 호흡 종류 • 2) 인공호흡기 호흡 종류 • (3) Spontaneous Breath • 환자에 의해 trigger, limit, cycle

  15. 2. 학습하기 • 7. 인공호흡기 관련 용어 • 1) Tidal Volume: 일회 호흡량, 1kg 당 8~12ml 설정 • 2) Respiratory Rate: 1분 동안의 호흡수, 초기 설정15~20회 • 3) Peak Inspiratory Flow: 환자에게 전달되는 공기흐름 속도, 50~60LPM 설정 • 4) Plateau: 고평부, 환자에게 가스 공급해 줄때 잠시 • 동안의 환자의 호흡 멈추게 한다 • 5) O2%: FiO2 산소 농도 조절하여 공급 • 6) Sensitivity: 환자의 호흡 감지해서 호흡능력 • 증가시키는 기능, sensitivity는 -0.5에서 -20 (cmH2O) • 까지 조절 7200 PB 인공호흡기 key pad

  16. 2. 학습하기 • 7. 인공호흡기 관련 용어 • 7) CMV (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조절환기) • 환자에게 연속적으로 강제호흡 해주는 방식으로 환자가 자발적 호흡못할 때 적용 • 8) SIMV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동시적 간헐적 강제환기) • 환자가 자발적인 호흡 하게 되면, Ventilator는 간헐적으로 Volume 공급해주고, • 나머지 시간에 환자가 스스로 호흡 하도록 • Ventilator 보조 호흡 횟수 줄여가면서 환자 호흡능력 증강 • 9)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 지속적 기도양압으로 환자의 폐에 일정량의 • Pressure를 인가해서, 항상 환자의 폐가 부푼 상태에서 • 스스로 자발적인 호흡을 하도록 돕는다. 7200 PB 인공호흡기 key pad

  17. 2. 학습하기 • 7. 인공호흡기 관련 용어 • 10) PEEP(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 • 정의: 호기말 짧은 시간동안 일정한 압력 가하여 환자 폐표면 확장시켜 환자의 호흡 도움, 주로 5~10cmH2O 적용 • 적응증: ARDS, 폐부종, FiO2 0.5 이상에서도 PaO2가 70mmHg 이하 • 합병증: Barotrauma, 심박출량 감소, 뇌압상승, 신혈류량 감소 • 금기증: ICP 상승 환자, 폐기종, 기흉, 급성기관지 경련, 저혈압 가능성 환자 7200 PB 인공호흡기 key pad

  18. 2. 학습하기 • 7. 인공호흡기 관련 용어 • 11) Auto PEEP • 정의 • 인공호흡기가 설정한 PEEP 아니라 불충분한 호기 시간의 결과로 호기말에 폐포내 공기가 다 빠져 나가지 못해 발생 • 원인 • 분당환기량 과다 • ET tube 직경이 작음 • 기관지 경련 • 호흡수 증가 • 치료 목적으로 shunt 감소와 FRC 증가 위해 Pressure controlled inverse ventilation 적용으로 발생 • 결과 • Plateau pressure(고평부압) 증가, hypotension, barotrauma (압력상해)

  19. 2. 학습하기 • 7. 인공호흡기 관련 용어 • 11) Auto PEEP • Auto PEEP 상쇄위한 방법 • 진정제, 마취제 사용 • 직경이 큰 E-tube 사용 • 기관지 확장제 투여 • 인공호흡기 설정요소에서 호기시간 증가 및 호흡수 감소 설정 • COPD 환자에서 PEEP 적용하여 auto PEEP 억제 • PCV(pressure controlled ventilation)에서 auto PEEP 발생하면 일회호흡량 감소 Clinical Tip: 보통 PO2가 낮으면 FiO2와 PEEP 올리고 PaCO2높으면 tidal volume 과 RR(호흡수) 올림

  20. 3. 학습정리 • 인공호흡기 적용 준거 • 1) Apnea(신경근육이나 심, 폐기능 허탈) • 2) 급성호흡부전 (Acute Respiratory Failure, ARF) • PaO2 < 60mmHg on FIO2 > 0.6 • AaDO2 350mmHg 이상 • VD/VT ratio: 0.6 이상 • RR: 호흡수 35회/분 • Vital capacity: 10ml/kg 이하일 때 (= Tidal Volume x 2 이하일 때) • 3) 심한 저산소혈증: room air 에서 PaO2가 50mmHg 이하인 상태 • 4) 호흡근의 피로: 쇠약, 과대사 상태, COPD 환자

  21. 3. 학습정리 • 2. 인공호흡기 모드(Mode) 분류 • 1) control variable • Volume Controlled Ventilation(VCV), Pressure Controlled Ventilation(PCV), time control, flow control • Parameters: Compliance(유순도), Resistance(저항) • 2) Phase variable • Triggering • Ventilator triggering( 주로 time-cycled triggering) • Patient triggering (pressure triggering & flow triggering) • Limit variable: pressure limit(PC mode), flow limit(PS mode), Volume limit • Cycle variable: Time cycled, volume cycled, flow-cycled, pressure cycled • 3) Conditional variable • SIMV

  22. 4. 형성평가 정답 1. 1) • CMV mod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가) 스스로 호흡할 수 없는 환자에게 완벽한 환기를 보장해 주기 위해 적용한다. • 나) 호흡횟수, 일회환기량, 분당호흡량이 환자의 호흡능력 관계없이 인위적으로 제공된다 • 다) 중추신경계 기능부전, 약물로 인한 마비나 진정 등의 무호흡환자, 음압이 금지되는 심한 흉부 외상 환자들에게  사용한다 • 라) 산소화 증진을 위해 간헐적으로 양압을 제공한다 • 1) 가, 나, 다 2) 가, 다 3) 나, 라 4) 라 5) 가, 나, 다, 라 해설) CMV (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조절환기)로 환자에게 연속적으로 강제호흡 해주는 방식으로 환자가 자발적 호흡을 못할 때 적용하며, SIMV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동시적 간헐적 강제환기)는 환자가 자발적인 호흡 하게 되면, Ventilator가 간헐적으로 Volume 공급해주고, 나머지 시간에 환자가 스스로 호흡 하도록 Ventilator 보조 호흡 횟수 줄여가면서 환자 호흡능력 증강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라)는 SIMV 에 대한 설명이다.

  23. 4. 형성평가 정답 2. 1) • 인공호흡기 적응증에 해당되는 것은? • 가) 신경근육이나 심, 폐기능 허탈로 무호흡 환자 • 나) 흡입산소농도가 60% 이상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60mmHg 이하 • 다) 폐활량이 10ml/Kg 이하인 자 • 라)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이 25mmHg 이하인 자 • 1) 가, 나, 다 2) 가, 다 3) 나, 라 4) 라 5) 가, 나, 다, 라 해설) 인공호흡기 적용 준거는 Apnea, PaO2 < 60mmHg on FIO2 > 0.6, AaDO2 350mmHg 이상, VD/VT ratio: 0.6 이상, RR: 호흡수 35회/분, Vital capacity: 10ml/kg 이하일 때 (= Tidal Volume x 2 이하일 때) , room air 에서 PaO2가 50mmHg 이하인 상태, 호흡근이 피로한 급성 악화된 COPD 환자 등이다.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이 25mmHg 이하인 자는 과다환기 된 자로 적응증 기준이 아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