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

훈민정음

훈민정음. 5 학년 2 반 23 번 최혜승. 훈민정음이란 ?. 우리민족은 옛날부터 우리말을 쓰고 있었으나 어렵고 배우기도 힘들었다 . 그래서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어려운 한자를 쓰는 것을 늘 안타깝게 생각하였다. 훈민정음이란 ?. 그래서 백성들이 쉽게 배울수 있는 글자를 만들기 위해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 훈민정음 ’ 만들었다. 훈민정음의 뜻. 훈민정음의 뜻은 가르칠 훈 백성 민 바를 정 소리 음. 훈민정음의 뜻.

sharla
Download Presentation

훈민정음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훈민정음 5학년 2반 23번 최혜승

  2. 훈민정음이란? • 우리민족은 옛날부터 우리말을 쓰고 있었으나 어렵고 배우기도 힘들었다. • 그래서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어려운 한자를 쓰는 것을 늘 안타깝게 생각하였다.

  3. 훈민정음이란? • 그래서 백성들이 쉽게 배울수 있는 글자를 만들기 위해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 ‘훈민정음’ 만들었다.

  4. 훈민정음의 뜻 • 훈민정음의 뜻은 • 가르칠 훈 • 백성 민 • 바를 정 • 소리 음

  5. 훈민정음의 뜻 • 단어로는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세종대왕님이 직접 지으신 이름입니다. 1446년 10월 9일에 세상에 널리 28자를 알리시고 지금 우리의 생황을 편리하게 해주고 있습니다.

  6. 훈민정음의 역사적 가치 • 전계에서 체계화되고 과학화된 글자는 훈민정음 뿐입니다. 한글은 과학적이고 독착정입니다. 외국말보다 배우기도 훨씬 쉬우면서 더 많은 단어를 나타낼수 있습니다. • 외국의 여러사람들도 한글을 보고 감탄했습니다. • 또 훈민정음은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으로 등록되었습니다.

  7. 훈민정음에 대해 아쉬운 점 • 한글의 맞춤법이 어려워 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8. 출처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101&docId=199517373&qb=7ZuI66+87KCV7J2M7J2YIOucuw==&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RIvQz35Y7tlssZhMZA8sssssssZ-336419&sid=U6DfyXJvLDoAAGjmDI0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101&docId=199517373&qb=7ZuI66+87KCV7J2M7J2YIOucuw==&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RIvQz35Y7tlssZhMZA8sssssssZ-336419&sid=U6DfyXJvLDoAAGjmDI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57659&cid=3065&categoryId=3065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801&docId=77980841&qb=7ZuI66+87KCV7J2M7J2YIOyCrOynhA==&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RIvmMU5Y7u4ssvwibxKsssssstV-108531&sid=U6DhOXJvLCIAADwZFJI

  9. 출처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101&docId=198166644&qb=7ZuI66+87KCV7J2M7J2YIOycoOuemA==&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RIvANF5Y7vKssuCFar0sssssssG-513211&sid=U6DicnJvLDMAACknD1k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10&docId=63280524&qb=7ZuI66+87KCV7J2MIOyCrOynhA==&enc=utf8&section=kin&rank=2&search_sort=0&spq=1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