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9

대금결제와 신용장

대금결제와 신용장. 1. 대금결제. 대금결제방식의 종류. 1) 송금방식 2) 추심방식 3) 신용장 방식 4) 국제 팩토링 방식 5) 볼레로 방식 6) TradeCard 방식. 1) 송금방식. 송금방식은 수입업자가 물품의 인도 전 , 후 또는 인도와 동시에 수출업자에게 물품대금의 전액을 외화로 송금하여 지불함으로 써 결제를 완료하는 방법 사전송금방식 - 수표송금방식 (D/D), 우편환방식 (M/T), 전신환 (T/T)

Download Presentation

대금결제와 신용장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대금결제와 신용장

  2. 1. 대금결제 대금결제방식의 종류 1) 송금방식 2) 추심방식 3) 신용장 방식 4) 국제 팩토링 방식 5) 볼레로 방식 6) TradeCard 방식

  3. 1) 송금방식 • 송금방식은 수입업자가 물품의 인도 전, 후 또는 인도와 동시에 • 수출업자에게 물품대금의 전액을 외화로 송금하여 지불함으로 • 써 결제를 완료하는 방법 • 사전송금방식- 수표송금방식(D/D), 우편환방식(M/T), • 전신환(T/T) • 대금상환도방식 –상품인도결제방식(COD), • 서류인도결제방식(CAD)

  4. 2) 추심방식 • 취소불능화환수출입신용장 없이 단순히 매매당사자간의 계약에 • 의거하여 수출상이 물품을 선적한 후 관련서류를 첨부한 화환 • 어음을 수입업자에게 제시하면 수입업자가 그 어음에 대한 • 지급 또는 인수를 하여 결제하는 방법 • 종류 –지급인도조건 (D/P : Documents Against Payment) • 인수인도조건 (D/A : Documents Against Acceptance)

  5. <그림 12-1> D/P 및 D/A의 거래절차

  6. 3) 신용장방식 수입상을 개설의뢰인으로 하고 수출상을 수익자로 하여 수입상 의 거래은행인 개설은행이 수입상의 요청과 지시에 따라 수출상 또는 그 지시인으로 하여금 신용장에 명시된 조건과 일치하는 선적서류를 제시하면 수입업자를 대신하여 지급의 이행 혹은 신용장에 의해 발행된 어음의 지급, 인수를 수출업자 또는 어음 매입은행 및 선의의 소지인에게 확약하는 증서 =>수익자에 대한 개설은행의 조건부 지급확약증서

  7. 4) 국제 팩토링 방식 팩토링(Factoring)은 판매자가 구매자인 고객에게 물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발생하는 외상매출채권과 관련하여 팩터링회사가 판매자를 대신하여 구매자에 관한 신용조사, 신용위험의 인수(지급보증), 매출채권의 관리 및 대금회수, 금융제공 및 기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의 금융서비스를 말함

  8. 5) 볼레로 방식 • Bolero(bill of lading for Europe, bill of lading electronic • registry organization) 프로젝트는 1994년 6월 홍콩, 네덜란드, • 스웨덴, 영국, 미국의 해상운송회사, 은행, 통신회사 등이 참여 • 하여 무역거래에 필요한 종이서류를 전자메시지로 전환하여 •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 출발한 프로젝트 • 현재 이 Bolero 프로젝트는 국제은행 간 금융전산망의 주체인 • SWIFT(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 telecommunication)와 TT클럽이 공동으로 지분을 출자하여 • 개발하고 있는 프로젝트 • Bolero 프로젝트에서는 선하증권을 비롯한 무역서류 전반에 • 걸친 전자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 .

  9. 6) TradeCard 방법 • TradeCard 시스템은 소위 신용장없는 무역대금결제방법 • 으로 이행하기 위한 전자시스템의 일종임 • WTCA(World Trade Center Association: 세계무역센터협 • 회)가 주관하고 있는 사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시범기업 • 으로 LG상사와 산업은행이 참여하여 시범운영하고 있음 • TradeCard는 신용장 거래 하에서의 서류심사업무가 은행 • 에서 TradeCard시스템으로 이관된다는 것이 특이하다. • 1995년 5월, 세계무역센터협회의 총회에서 우리나라와 • 홍콩이 Trade-Card 시범운영국가로 선정됨

  10. <그림 12-2> TradeCard의 처리절차 7. 대금지급요청 6. , 구매서 송장처리 무역카드운영본부 무역카드 운영본부 4. 신용확인 5 . 선적서류송부 3 9. 대금지급 무 구 은행 수출업자 은행 수출업자 매서 역카드로 송 부 8. 대급지급결제 1. 수입업자에게 2. 교역협상 신용보증 수입업자 수입업자

  11. 2. 신용장 1) 신용장의 거래원칙 • 매매계약으로부터의 독립성 - 신용장 통일규칙 제 3조에서 “ 신용장은 그 성질상 그 근거가 될 수 도 있는 매매계약이나 기타 계약으로부터 독립된 거래이며, 은행은 이러한 계약에 관한 어떠한 참조조항이 신용장에 포함되어 있다할 지라도 그러한 계약에 전혀 무관하며 또한 구속되지 않는다” 라고 규정 • 서류에 의한 거래(추상성) - 신용장통일규칙 제 4조에서 “ 신용장거래에 있어서 모든 관계당사자 들은 서류상의 거래를 하는 것이지 그러한 서류들과 관련된 상품, 용역 그리고/또는 기타 계약이행상의 거래를 하는 것은 아니다” 라고 규정

  12. 3) 신용장의 한계성 • 신용장은 하나의 독립된 지급수단이라기보다는 계약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므로 특정조건에 일치하는 선적서류를 약정된 기간아래 제시하면 은행의 약정이지 그 자체가 유통 증권은 아니다. • 신용장은 매매계약에서 매수인이 매도인에게 하는 부수적인 약속의 수단이 아니므로 개설은행은 매수인이 일정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만 지급 •인수를 하겠다는 약정으로 매수인 이 물품대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은행이 대신 지불한다는 약정 은 아님 • 신용장이 계약상품의 입수를 완전히 보장하지 않음

  13. 4) 신용장의 거래절차 상환은행 상환은행 ⑧ 어음상환청구 ( Reimbursing Bank) ( Reimbursing Bank) ( ) ⑩ 대금결제 수권 ⑩ 대금결제 ⑧ 환어음 및 서류송부 매입은행 발행은행 매입은행 발행은행 ⑩ 대금상환 ( Negotiating Bank) ( Issuing Bank) ( Negotiating Bank) ( Issuing Bank) ③ 신용장 발행 및 송부 통지은행 ② ⑨ ⑨ 통지은행 ( Advising Bank) 신 서 수 ( Advising Bank) ⑦ ⑥ 용 류 입 대 매 환 ④ 장 인 대 금 입 어 신 발 도 금 지 의 음 용 행 결 급 뢰 서 장 의 제 류 통 뢰 지 ① 매매계약 수출업자 수입업자 수출업자 수입업자 ( Beneficiary) 수익자 발행은행인 ( Beneficiary) 수익자 발행은행인 ⑤ 통관 및 물품선적 ( drawer) ( Applicant) 어음발행인 ( drawer) ( Applicant) 어음발행인

  14. 5) 신용장 당사자 • 신용장발행의뢰인 • 신용장발행은행 • 수익자 • 통지은행 • 신용장확인은행 • 매입, 지급, 인수은행

  15. 6) 신용장 종류 • 요구서류의 유무에 의한 분류 - 화환신용장 (Documentary Credit) - 무담보보증신용장 (Clean Credit) • 발행은행의 책임에 의한 분류 - 취소가능신용장 (Revocable Credit) - 취소불능신용장 (Irrevocable Credit) • 상환청구권 유무에 의한 분류 - 상환청구가능신용장 (With Recourse Credit) - 상환청구불능신용장 (Without Recourse Credit) • 지급유예기간에 유무에 의한 분류 - 일람출급신용장 (Sight Credit) - 기한부신용장 (Usance Credit)

  16. 선적서류,해상보험, 국제운송 및 물류

  17. 1. 선적서류 1) 선하증권(B/L : Bill of Leading) • 화주와 선박회사간의 해상 운송계약에 의해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 유가증권 • 선하증권은 선박회사가 화주로부터 위탁받은 화물을 선적, 또는 • 선적을 목적으로 수탁한 사실과 화물을 양륙항까지 운송하여 • 이 증권의 소지자에게 증권과 상환으로 운송화물을 인도할 것을 • 약속하는 수취증권

  18. 2) 보험증권 • 보험가입자가 보험목적물에 대해 매 건별로 보험회사 및 보험 • 업자와 보험계약을 체결할 경우, 보험회사 및 보험업자가 • 발급하는 보험계약 증명서류를 말함 • 보험증명서(Certificate of Insurance) • 수출업체가 매 수출시 마다 보험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 피하고 보험비용도 절감하기 위하여 그 업체의 일정기간 동안의 • 보험가입예상 물동량을 추출하여 보험회사의 포괄계약을 • 체결한 후, 실제로 보험가입 필요가 발생할 때 마다 보험회사로부터 • 그에 합당하는 보험서류를 받게 되는데 이를 보험증명서라 함 • 보험승낙서(Cover note) • 보험승낙서는 보험가입자가 직접 보험회사를 상대하지 않고 • 보험중개업자(Insurance broker)를 통하여 보험에 부보할 경우 • 보험중개업자가 발급해 주는 보험승낙을 증명하는 서류 • 은행은 특별한 약정이 없는 한 보험승낙서는 수리하지 않는다.

  19. 3) 상업송장 • 상업송장(C/I : Commercial Invoice)은 매도인이 매수인 앞으로 • 작성해 보내는 선적 화물의 계산서 및 내용명세서 이며, 매수인의 • 입장에서는 수익계산서이다. • 선적송장 ( shipping invoice)–실제 선적된 화물의 내용과 가격 • 을 명시한 서류 • 견적송장 ( Pro-forma invoice)–수출상이 거래를 유발하기 • 위한 수단으로 또는 수입허가나 외환배정을 받기 위한 수입상의 • 요청에 의해 수입상에게 장차 그가 매입할 물품에 대해 작성하여 • 발송하는 송장

  20. 2. 해상보험 1) 해상보험의 의의 해상운송도중에 일어나는 사고에 대해서 보험자가 손해를 보상 하여 줄 것을 약속하고, 피보험자는 그 대가로서 보험료를 지불 할 것을 약속하는 손해보험의 일종 2) 해상보험의 당사자 - 보험자 : 보험료를 받아 해상 위험을 부담하는 자 - 보험계약자 : 보험회사와 보험계약을 체결하고 보험료를 지불하는 자 - 피 보험자 : 손해가 발생하면 보험자로부터 보상을 받는 자

  21. 3) 피보험 이익 • 보험이 보호되는 대상은 선박이나 화물과 같은 어떤 물체 그 • 자체가 아니라 보험의 목적물에 대하여 특정인이 갖는 이해관 • 계이며, 이 이해관계가 보험계약의 목적이며 또한 피보험 이익 • 이 됨 • 유형물체만 부보하는 것이 아니고 책임 •비용 •이윤과 같은 • 무형의 재산도 부보될 수 있는데 해상피보험이익의 대표적인 • 것으로는 선박, 적하, 선박비용 (항해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지불 • 되는 연료, 식량 및 기타 소모품의 구입비와 항해중에 지불되는 선박인 • 부임, 세관 제비용, 선원급료 등 포함), 운임, 화물의 예상이익등

  22. 4) 보험가액과 보험금액 • 보험가액(Insurable value) - 일정한 피보험이익에 대해 발생 • 할 수 있는 경제적 손실의 최고한도액 또는 그 견적액 • 피보험이익의 경제적 가치 또는 금전으로 평가한 가액 • 보험가액은 그 피보험이익의 미발생 손해의 가액임 • 보험금액(Insured amount)–보험자가 계약상 부담한 손해보상 • 책임의 최고한도금액

  23. 현실전손(actual total loss) 전손(total loss) 추정전손(constructive total loss) 물적손해 (Physical loss) 단독해손(particular average) 분손(partial loss) 공동해손(general average) 해상손해 구조비용(salvage charge) 비용손해 (expenses) 손해방지비용(sue and labour charge) 특별비용(particular charge) 충돌손해배상책임( collision liability) 5) 해상손해의 종류

  24. 6) 담보조건 ① 전위험담보조건 (A/R : All Risks Clause) – ICC(A) - 신협회약관의 제 4,5,6,7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면책위험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위험에 대해 보험자가 담보한다는 것 포괄담보주위를 채택하고 있으며 3개의 약관 중 가장 담보 범위가 넓은 약관임 ② 분손담보조건 (WA : With Average Clause) – ICC(B) - 위험약관에 규정된 담보위험으로 인한 손해 중에서 분손에 해당하는 손해를 담보하기는 하지만 특정비율미만의 손해는 담보하지 않는다는 것 ex) 면책률약관에서 대마, 아마, 피혁 등에 대해 5%미만의 손해 와 기타의 화물에서 3%미만의 손해는 담보하지 않음

  25. ③ 분손부담보조건 (FPA : Free from Particular Average Clause) - ICC(C) - 분손(단독해손)은 원칙적으로 담보하지 않는 조건임 이 조건에서는 좌초나 침몰 또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한 분손(단독해손)은 담보하지 않는 것이 원칙

  26. 3. 국제운송 1) 해상운송 • 해상운송의 개념 • 해상운송은 화물운송선에 의해 바다를 통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 방식으로 주로 대량화물이나 운송이 급박하지 않는 화물, 또는 • 저렴한 운임으로 운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주로 이용 • (2) 해상운송의 특징 • 대량수송 • 원거리 수송 • 수송비 저렴 • 수송로의 자유성 • 국제성이 높음 • 속력이 늦음

  27. (3) 해운서비스의 형태 • ① 정기선 (Liner) • 선박회사가 동일항로에 정기적으로 선박을 운항하는 것으로 • 일정량의 선복을 공시된 운임률을 적용해서 장기적이고 안정적 • 으로 화주에게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특징 • 반복되는 항해 • 공공서비스의 형태 • 부가 서비스 • 표준화된 계약

  28. ② 부정기선 (Tramp) • 정기적으로 서비스를 하는 것이 아니고 화물에 따라 부정기적 • 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운서비스 형태상 가장 오랜 역사를 • 가지고 있다. • 특징 • 항로의 자유선택 가능 • 주요대상 화물 - bulk cargo (석탄, 철광석 등) • 운임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상황에 따라 달리 결정 ③ Tanker 주로 원유를 수송하는 해운의 형태로서 선적항과 양하항사이를 계속적으로 취항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

  29. (4) 해상화물의 운송계약 ① 개품운송계약 정기선로에 취항하는 정기선에 의한 운송의 대부분은 개개의 화물을 운송하는 계약하에 여러 화주로부터 화물을 모아 혼합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식을 취함 ② 용선운송계약 타인소유의 선박을 일정한 조건을 정하여 차용할 때의 계약 선주가 제공한 선박의 전부나 일부의 선복에 의해 화물을 운송할 것을 약정하고 그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방식 주로 벌크화물이 이용되며 부정기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임

  30. 용선계약의 형태 • 항해용선계약(voyage charter, trip charter) - 일정한 항구에서 항구까지 화물의 운송을 의뢰하는 화주와 선박회사간의 용선계약 이 계약은 대당 또는 선박의 일부분으로 용선하게 됨 • 기간용선계약 (time charter) - 선박을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용선하는 계약으로 용선한 선박을 어디도 임의로 배선하고 계약상 제한된 화물을 제외한 어떤 화물이라도 적재할 수 있음 • 나용선계약 (bareboat charter) - 용선주가 대차방식에 의해 선원의 수배는 물론 운행에 관한 일체의 모든 감독 및 관리권한까지 행사하도록 하는 것

  31. 2) 항공운송 • 항공운송의 개념 • 항공기의 항복에 여객과 화물을 탑재하고 국내외의 공항에서 • 공로로 다른 공항까지 운항하는 운송 • (2) 항공운송의 특징 • 신속성 • 안전성 • 확실성 • 운임료가 비쌈 • 중 •소량 고부가가치 화물의 장거리 수송에 적합 •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음

  32. 3) 육상운송 • 육상운송의 개념 • 철도나 자동차에 의한 육로운송을 말함 • (2) 철도운송 특징 • 대량화물의 수송 • 대량화물의 원거리운송 • 경제적 운임 • 전천후 수송수단 • 안전성 높음

  33. (3) 도로운송 특징 • 단거리 수송에 적합 • 장거리 운송시 비용 많이 듦 • 적기에 배차가 편리함 • 기후의 영향을 조금 받음 • 사고위험률 높음

  34. 4) 컨테이너 운송 • 컨테이너 운송의 개념 • 컨테이너화란 컨테이너 용기에 내장화물을 적재하여 운송하는 •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말함 • 컨테이너 수송의 출현원인은 ① 선복이용증대 ② 항만생산성 • 증대의 필요성 ③ 비생산적인 비용의 감소 ④ 노동집약적 하역 • 으로부터 탈피 ⑤ 선박회항시간 단축 ⑥ 기업이윤의 증대 등임 • (2) 컨테이너화의 장단점 • 장점> • •선주입장 –항만에 체항하는 시간단축 • 선박당 실제 가동률이 높아 선복의 생산성 높아짐

  35. •화주입장 –포장비 절감, 내륙수송비 절감, 수송시간 단축 • 재고관리기간 단축으로 인해 손상률 저하로 • 보험금 부담 줄어듬 • 단점> • 컨테이너화를 위한 투자 • 기술적 지원 가능 • 많은 개도국에서는 선진국형 수송제도를 수동적으로 수용 • (3) 컨테이너 유통 시스템 • 컨테이너 화물은 LCL(Less Container Loaded)이든 • FCL (Full Container Loaded)이든 창고에서 내륙컨테이너 • 기지로 반입되고 다시 컨테이너 터미널을 거쳐 항구를 통해 • 외국으로 수송

  36. <그림 13-1> 컨테이너 화물 유통과정 컨테이너 터미널 내륙 컨테이너 기지 내륙 컨테이너 기지 컨테이너 터미널

  37. 5) 복합운송 • 복합운송의 개념 • 국제간의 물품운송을 복수의 수송수단에 의해 Door to Door • 까지 일관수송을 지향하는 수송방식 • 두 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이 결합해 모든 운송구간에 걸쳐 운송 •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단일의 운송계약에 의해 복합운송 • 인이 일관책임을 지는 형태의 운송 • (2) 복합운송의 경제적 의의 • 화물유통의 신속성 제고 • 화물유통의 안정성제고 • 화물유통의 저렴성 확보 • 운송서류의 간소화 • 노동력 부족의 해결과 하역설비의 자동화 • 무역의 확대촉진

  38. (3) 복합운송의 형태 • 복합운송이 가능한 운송루트 • 태평양연안 경우 미국중서부 경로 • 미니 랜드브리지에 의한 미국동부 및 걸프지역 경로 • 북태평양항 경유 캐나다 동부지구간 경로 • 캐나다 동해안 경유 캐나다 동부지구간 경로 • 시베리아 랜드브리지에 의한 유럽항 경로 • 유럽제항 경유 유럽 각국간 경로 • 북미대륙 랜드 브리지에 의한 유럽항 경로 • 오스트레일리아 항로에 의한 동부 오스트레일리아항 경로 • 부관 페리에 의한 한일 복합운송 경로

  39. 랜드브리지(Land Bridge) • 육 •해 복합일관운송이 실현됨에 따라 해상-육로- 해상으로 • 이어지는 운송구간 중 중간구간인 육로운송구간을 말함 • 대륙횡단을 위한 철도 및 육로 운송방식을 이용하여 매개운송 • 구간화함으로써 육상과 해상을 잇는 해륙복합운송을 위한 • 교량역할 • 주요 랜드 브리지 • ① 아메리카 랜드브리지 (ALB : America Land Bridge) • 1972년 미국의 Sea Land社가 처음으로 개설한 것 • 극동과 유럽간의 화물운송에서 미국대륙의 횡단철도로 중계 • 하여 극동-구주간의 화물을 컨테이너를 이용해서 일관운송 • 하는 것 (27~ 32 일 소요, 해상운송은 33~35일 소요)

  40. ② 시베리아 랜드브리지 (SLB : Siberia Land Bridge) 한국이나 일본으로부터 대륙운송의 접점인 러시아 나호드카 나 블라디보스톡까지 컨테이너선으로 해상운송하고, 그 곳 에서 시베리아 철도에 의해 육상운송하여 유럽과 중동의 운송기관과 연결하여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극동~유럽~중동 간의 국제복합운송 ③ 미니랜드브리지 (Mini- Land Bridge) 극동~ 미국의 태평양연안간을 해상운송하고, 태평양연안의 항구로부터 미국동해안 혹은 멕시코만의 모든 항구까지 철도로 운송하거나 구주~미국의 대서양 연안까지를 해상운 송하고 거기서부터 서해안의 태평양 모든 항까지를 철도운송 하는 것

  41. 5. 국제물류 1) 국제물류의 의의 • 미국의 물류관리협회 정의 • - 물류란 완성품을 생산라인의 종점에서부터 소비자에 이르기 • 까지 유효하게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한 광범위한 활동이며 • 원재료의 공급원에서부터 생산라인의 시점까지 이동시키는 것 • 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 국제물류는 생산과 소비가 2개국 사이에서 행해질 경우의 생산과 • 소비간의 공간적, 시간적 거리를 극복하는 유형, 무형의 재화에 • 관한 물리적인 국제경제활동

  42. 고도정보화 사회 경쟁격화 저 성 장 기업간 네트워크 판매방법의 혁신 서비스 경쟁 신제품 다발 가격 경쟁 물류업자의 , 판촉 스피드화 납품 다빈도화 물류부문의 다품종화 유통채널의 혁신 개선지연 악성재고 점증 물류서비스의 물류구조의 코스트 다운 상태 재검토 다시보기 요청증대 2) 물류의 환경변화 <13-2> 물류환경의 변화

  43. 자재관리 물적유통 배송센터 원재료 반조립품 고객 또는 최종소비자 외주품 제 제 완성품 완성품 구입부품 공 ( ( 공장 야적 포장자재 창고) 창고) 품 조 중간업자 Logistics 물자의 흐름 정보의 흐름 3) 물류와 로지스틱스 비교 <그림 13-3> 물류와 로지스틱스

  44. 4) 국제물류의 기능 • 기업활동에 있어 제품, 가격, 판매촉진, 유통경로 등은 마케팅 • 믹스의 발전을 통하여 상당한 진전을 가져왔으나 제품의 물적 • 흐름에 관해서는 단지 기업활동의 보조나 지원수단으로 인식 • 제품의 운송 •보관 •제고통제 등의 물류분야는 관리의 혁신을 • 통해 대폭적인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으나 관심부족으로 • 타분야에 비해 미개척분야로 남아 있었음 • 최근 기업들의 물류에 높은 관심을 갖는 이유 • ① 생산비 절감에 한계 인식 • ② 물류비의 매년 상승 추세 • ③ 고객요구의 다양화 •전문화 •고도화 • ④ 기업경쟁의 승리를 위한 물류면에서 우위확보의 필요성 증대 • ⑤ 기술혁신에 의한 운송 •보관 •하역 •포장기술 •정보의 급속한 발전

  45. <그림 13-4> 국제물류의 활동

  46. ①운송기초시설활동 철도.도로 등의 통로시설 및 항만.공항.화물역.자동차터미널 등의 터미널 시설을 제공하는 활동을 말한다. ②운송활동 운송기능시설인 자동차.화차.선박.항공기 등의 시설을 이용 하여 재화를 장소적으로 이동시키는 활동을 말함 ③ 보관활동 창고를 제공하는 활동과 그 시설을 사용하여 보관하는 활동 보관활동은 운송다음으로 물류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그 영역으로는 물품을 단순히 저장하고 관리하는 행위뿐만 아니라 물품의 가치를 유지시켜 유통의 최전선인 고객에게 서비스하는 기능까지도 포함

  47. ④ 하역활동 보관과 운송의 양단에 있는 물품을 취급하는 활동을 말하며, 하역활동이란 하역시설을 제공하는 활동과 그 설비를 이용하여 직접 하역을 행하는 활동을 말한다. 하역은 하역 자체가 갖는 가치보다는 운송이나 보관능력의 효율향상을 지원하는 역할이 크다. ⑤정보유통활동 무형의 물자로서 정보를 유통시키는 경제활동을 총칭하여 정보유통활동이라 하며 구체적으로 상품의 유통활동을 촉진시 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뜻한다.

  48. ⑥포장활동 생산의 종점인 동시에 물류의 시발점으로 상품의 운송 •보관 •거래 사용 등에 있어서 적절한 재료 •용기 등을 이용하여 그 가치 및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술 및 보호상태를 말함 ⑦ 유통가공활동 유통가공설비의 제공과 그 설비를 사용해서 유통가공을 실시하는 활동으로 물자유통의 과정에 있어서 물자에 부가가치를 부여하는 것을 말함

  49. 무역의 정보화

  50. 1. 무역정보화의 의의 1) 무역자동화의 개념 전통적인 문서의 작성과 전달을 통해 무역업무를 처리하는 대신 새로운 정보전달 수단인 전자자료교환방식(EDI)을 이용하여 수출입절차 전반에 걸쳐 무역업체 및 유관기관을 컴퓨터 통신망 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을 구축함과 동시에 문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전자서류화하여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문서없는 무역절차(paperless Trade)’를 실현하는 것을 의미함 2) 무역자동화의 문제점 ① 호환성 ② 국제간 자료의 유 •출입에 관한 통제 ③ 전자문서의 유통성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