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4

제 13 장 경영정보시스템

제 13 장 경영정보시스템. 제 1 절 정보와 기업경영 제 2 절 정보시스템의 변화와 활용 제 3 절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1. 인공지능이란 ? 2. 전문가시스템 3. 인공신경망과 경영 제 4 절 정보시스템 개발과 평가 읽을거리 : 인공지능. 제 1 절 정보와 기업경영. 1. 정보 (Information) 의 의의와 특성 1) 정보의 의의 흔히 데이터와 정보는 같은 의미로 사용 하는 경우가 있으나 개념적으로는 차이가 존재한다 .

Download Presentation

제 13 장 경영정보시스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13 장 경영정보시스템 제1절 정보와 기업경영 제2절 정보시스템의 변화와 활용 제3절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1. 인공지능이란? 2. 전문가시스템 3. 인공신경망과 경영 제4절 정보시스템 개발과 평가 읽을거리 : 인공지능

  2. 제1절 정보와 기업경영 1. 정보(Information)의 의의와 특성 1) 정보의 의의 • 흔히 데이터와 정보는 같은 의미로 사용 하는 경우가 있으나 개념적으로는 차이가 존재한다. • 데이터(Data)란 일반적으로 특정한 일에 유용하게 사용될지도 모르는 사실을 의미 하며, • 정보(Information)란 데이터를 특정목적과 용도에 맞고 목적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 추출, 요약된 데이터라 할 수 있다. • 지식(Knowledge)은 인간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아이디어, 규칙, 절차 등 을 의미.

  3. 2) 정보의 특성 ① 목적적합성(relevance) 관리자가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정보를 필요로 하는 목적에 맞게 사용될 수 있을 때 적합성이 있다고 한다. ② 적시성(timeliness) 정보가 필요한 때 적시에 공급되는 정도를 말 ③ 정확성(accuracy) 정보에 어느 정도의 오류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말하는 것 ④ 증거성(verifiability) 정보의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는 능력

  4. 2. 기업경영과 정보기술의 활용 1) 데이터 베이스시스템 ① 파일처리방식 ② 데이터베이스방식 2) 정보통신 정보통신이란 정보의 수집, 가공, 처리, 전달에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말하며, 전화와 같이 음성의 전달을 위한 전기통신,컴퓨터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 컴퓨터간의 상호연결을 통하여 자원을 공유하고 업무의 분산적인 처리를 가능케 하는 컴퓨터 통신 ▪ 기업경영에서 정보통신의 대표적인 활용 예 ( P.422) (1) 전자문서교환(EDI : electronic data interchange) (2) 근거리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3) 부가가치통신망(VAN : value added network)

  5. 3. 경영정보시스템(MIS) 1) 정보시스템의 의의 •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s, IS)은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정보로 변환시키는 시스템으로 경영관리나 경영상의 의사결정 및 통제에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 저장, 가공하여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형태로 의사결정자에게 제공. • 이러한 정보시스템을 활용하는 가운데 경영관리 및 정보 보고를 주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을 경영정보시스템(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MIS)이라 한다. • 경영정보시스템은 경영관리 정보의 제공, 다양한 자료의 통합저장, 통합 저장된 자료의 종합, 요약된 정보의 제공의 역할을 하며 경영정보시스템의 주체는 최고경영자뿐만 아니라 조직의 전체구성원을 포함.

  6. [그림 13-2] 경영정보시스템의 개념

  7. 2) 정보시스템의 역할 • 정보시스템은 의사결정자가 과거에 접근 할 수 없었던 각 부문별 정보를 통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하여 정보를 공유하지 못해서 초래하였던 비효율성을 감소. • 정보시스템을 기업내부 뿐만 아니라 고객과 공급자들과도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여 고객 개개인의 욕구수준을 기업의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게 하며, 공급업자의 욕구수준도 즉시 전달할 수 있게 하여 그에 따른 비효율을 감소 3) 정보시스템의 구성요소 • 정보시스템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정보시스템이 지향하는 목표를 원활히 이루기 위해서는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사람과 같은 하위시스템으로 구성 되어 있다.

  8. 제 2 절 정보시스템의 변화와 활용 [그림 13-3] 정보시스템의 역할변화

  9. 1. 경영관리와 정보시스템 1) 경영관리의 과정 • 경영관리(management)란 기업의 목적달성을 위해 제한된 인적․물적 자원을 최적으로 배분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으로plan-do-see의 연속순환과정을 거친다. • 원활한 기업 활동을 가능케 하는 경영관리는 계획(planning), 조직(organizing), 지휘(leading), 조정(coordinating), 통제(controlling)의 순환과정을 거친다.

  10. 2) 계층별 경영관리정보시스템

  11. [표 13-2] 경영계층에 따른 정보시스템의 비교

  12. 2. 의사결정과 정보시스템 1) 의사결정의 의의 ▪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여러 대안 가운데 가장 적절한 대안을 선택하는 과정 ▪ 문제인지, 설계, 선택, 실행이라는 단계를 거친다.

  13. 2)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 decision support systems) • DSS는 기업경영에서 당면하는 의사결정의 각 단계를 지원하고, 또한 여러 가지 의사결정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대안을 개발하고, 비교․평가하며, 합리적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지원시스템 • 의사결정자가 보다 쉽고 정확하게, 그리고 신속하고 다양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환경을 제공. •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조직내부․외부 및 공식․비공식 등의 다양한 원천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처리를 할 수 있도록 설계

  14. 3. 전략정보시스템(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 SIS) • 최고 경영층의 경영활동을 돕는 정보시스템으로 계량적인 자료보다는 직관이나 경험에 의한 의사결정을 지원 • 내부적으로는 현 조직의 전반적인 능력을 평가하고 과거자료를 이용한 미래예측 기능이 제공되며 • 외부적으로는 기업내부의 정보와 은행 등과 같은 외부의 정보를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15. 4. 정보기술의 경영활용 1)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리어링(BPR) • BPR은 비용․품질․서비스․속도 등의 기업핵심요소를 극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근본적으로 완전히 새롭게 재설계 하는 것 • 경영환경변화에의 대응, 조직의 복잡성 증대와 효율성 저하에의 대처, 정보기술을 통한 새로운 기회의 모색 등에 있어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16. 2) 전사적 자원관리(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전사적 자원관리란 재무, 인사, 생산, 판매, 회계 등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기능과 프로세스를 업무 표준화를 통해 하나의 체계로 통합하여, 기업의 물적, 인적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시키는 경영관리체계. • ERP는 항상 기업시스템이 잘 운영되도록 유지시켜주는 기업내부의 통제활동을 포함하고 있으며, 중간관리기능과 하위관리기능의 통합이기도 하다.

  17. ERP 응용 패키지는 이러한 통합 경영관리체계를 정보기술로 구현하여 통합 솔루션으로 제공되는 정보 시스템으로 필요한 프로세스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전사적으로 쉽게 확장할 수 있다. • ERP는 다양한 프로세스에서 운영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으며, 업무변화에 따른 시스템의 수정이 용이. • 조직내외의 다른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개방형 시스템 등의 특성이 있어 기업은 수익성과 성장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18. 3) 벤치마킹 • 벤치마킹은 발전모형으로 삼을 수 있는 기업의 성과지표를 기준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선노력을 추구하는 것 4) 칼스(CALS : commerce at light speed) • 칼스는 제품기획, 개발, 판매계획, 생산준비, 구매, 생산, 배송, 설치, 운용, 보수, 고객 서비스라는 기업 활동 전반에 대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 기업내부 및 외부에 대한 거래 정보의 흐름을 완전히 전자화함으로써 기업 업무를 보다 빠르고 효율적이면서 저렴하게 수행하기 위한 전략이다.

  19. 5) 전자상거래 • 기업, 개인, 정부간의 상품 및 서비스 거래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컴퓨터 및 통신망을 이용하여 교환하고 거래하는 방식 • 비즈니스 목적 달성을 위해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거래 당사자간에 전자적인 방식으로 거래하는 것

  20. 제 3 절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1. 인공지능이란? • 데이터의 가공처리로 생성된 정보는 체계적인 활용을 통해 지식으로 축적되는데 이러한 지식을 자원으로 기업경영에 활용하는 경영기법. • 이러한 지식경영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지능을 기계로 실현하고자 하는 정보기술의 연구 분야를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ce)이라 한다. • 활용분야로는 경영 의사결정, 교육적 지식을 응용하는 분야(수학, 화학, 교육 등), 본능적 지식을 응용하는 분야(언어, 영상인식 등)가 있다.

  21. 2. 전문가시스템 1) 전문가 시스템의 정의 • 인공지능의 활용분야에서 가장 성공적인 분야가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으로 • 이는 특정 문제영역에서 “전문가의 축적된 경험과 지식을 컴퓨터에 체계화”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거나 자동화하는 정보시스템을 말한다.

  22. 2) 전문가 시스템의 구성요소 • 전문지식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고 저장하는 지식베이스(KB:knowiedge base) • 저장된 지식에 근거하여 추론을 수행하는 추론기관(IE:inference engine), • 추론과정을 설명하는 기관, •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인테페이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인테페이스기관(UIU : user interface unit), •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로 구성된다.

  23. (3) 전문가시스템의 이점 • 체계화된 전문가 지식은 비전문가들이 사용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① 항구적 보관이 가능 ② 지식의 이전이나 학습이 용이 ③ 전문가시스템의 지식은 문서화가 용이 ④ 실제 전문가보다 더욱 일관성 있는 결과를 제공 ⑤ 적은 비용으로 전문가시스템의 구축이 가능

  24. (4) 전문가 시스템의 활용 • 전문가 시스템은 산업 전 분야에 활용 되어 과학적 방법이나 경험적 지식만으로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나,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한 두 사람의 전문가 보다는 더 나은 의사결정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 • 또한 신속하고, 논리적이며, 일관성을 가지며 전문가의 지식을 보존 및 재생산할 수 있어 조직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하여 새로운 조직구성원의 훈련도구로 활용하여 조직에 빨리 적응하도록 해야 함.

  25. 3. 인공신경망과 경영 (1) 인공신경망의 기본개념 • 인공지능의 새로운 분야로 폰 노이만(J.von Neumann)식의 컴퓨터에서의 문제해결 방식이 순차적인 명령문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반해, • 신경망 이론은 많은 계산단위로 이루어진 고집적 병렬망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가능성을 동시에 탐구하는 방식을 취한다.

  26. (2) 신경망의 정보처리기능 • 신경망에 일정한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고 가정할 경우, 나중에 이 신경망에 저장된 패턴과 비슷한 패턴이 입력되면 신경망은 기억된 패턴 중에 입력패턴과 가장 가까운 패턴을 찾아내는 정보처리 수행과정을 실행하며, • 신경망은 입력패턴을 몇 개의 클래스나 부류로 분류 • 일반화로 제한된 입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이 입력데이터가 형성하고 있는 패턴을 찾아내는 기능.

  27. (3) 인공 신경망의 활용 • 과거에는 전기, 전자 등 주로 공학적 분야에 응용 • 최근에는 일정관리, 품질관리, 물류관리 등과 같은 생산관리 분야, 각종 예측 분야, 주식시장 분석과 같은 재무관리분야 등 경영문제 전반에 걸친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 인공신경망이 잘 활용되고 있는 이유로는 기업이 당면해 있는 경영환경이 동적이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고려해야 할 변수가 많고, 기존의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할 수 없는 변수들이 많기 때문.

  28. 제 4 절 정보시스템 개발과 평가 1. 정보시스템의 개발 (1)시스템개발 수명주기(SDLC) • 시스템을 하나의 생명체로 인식하여 출생에서부터 폐기까지의 과정을 단계별로 정의한 방법론 • 일반적으로 <도표13-12>와 같은 단계별 과정을 거치며, 각 단계에서는 완성해야 할 작업이 있고, 그 작업의 결과는 다음단계의 입력요소로 활용된다.

  29. (2) 정보공학(Information Engineering : IE) • 정보공학은 “기업전략을 기반으로 정보시스템을 기획, 분석, 설계, 실현하는 통합적인 개발방법” • 기존의 SDLC방식으로 개발된 시스템들은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개발되어, 변화가 없는 정형화된 업무에 효율적이다. • 그러나 기업의 업무는 환경과 전략의 변화에 따라 항상 변화하므로 프로세스의 분석이나 설계를 다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업무 프로세스보다는 정보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개발방법론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30. (3) 프로토타이핑방식(Prototyping) • 사용자의 기본적인 요구만을 반영하여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소규모의 모형시스템을 개발 • 계속적인 수정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시스템을 개선하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더욱 정확히 반영할 수 있도록 개발된 방식

  31. (4) 최종사용자 컴퓨팅(End-User Computing : ECU) • 최종사용자가 자기에게 필요한 응용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이를 계속적으로 개선해나가는 시스템 • 시스템개발요구의 적체, 컴퓨터기술의 발전, 정보기술에 대한 사용자 수준향상, 전산부서에 대한 새로운 역할기대 등의 환경요인으로 최종컴퓨팅 방식은 점점 확산되어가고 있다.

  32. 2. 정보시스템의 평가 (1) 정보시스템 평가의 개념 • 정보시스템의 개발 및 도입, 운영, 정보자원의 관리에 관한 업무들이 사전에 설정된 목표 또는 계획대로 수행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것 • 평가는 객관적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현실적으로 계량화 불가능한 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제약이 따른다. • 그러므로 객관적 방법이 주로 사용되며, 이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주관적 방법을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평가의 신뢰성을 높여 가야 한다.

  33. (2) 정보시스템의 평가방법 1) 비용효과 분석 • 투자에 따르는 비용과 투자 결과 얻게 되는 이익이나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계량화된 기법. • 정보시스템평가에 있어서 비용효과분석은 투자대상인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정보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경영성과의 향상효과를 측정하고 비교는 것을 말한다. • 비용효과 분석은 계량화된 지표를 이용하므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중요한 평가항목을 계량화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완전한 평가를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34. 2)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 소프트웨어는 표준화가 어렵고 이에 따라 평가 또한 일관성 있는 방법을 적용하기가 어려운 분야. • 소프트웨어의 품질평가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으로는 ISO 9001을 소프트산업에 맞게 변형한 ISO 9000-3 이 이용된다. • 이 지침은 소프트웨어의 구매자가 공급자에게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보증할 수 있는 능력의 실증을 요구하는 경우 필요한 지침을 제공하며, 개발에서 부터 유지보수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품질의 부적합성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원래 ISO 9000시리즈는 제조업 분야에서 처음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그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