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9

장 애 인 복 지 재 정

장 애 인 복 지 재 정. 장애인복지재정. 재정의 의미 : 사업수행에 필요한 공간 , 시설 , 인력 , 장비 등의 확보를 위한 자원 재정의 성격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의 영향권 ( 선별주의와 보편주의 ) 재원 : 공공재원 ( 일반예산 , 사회보장성예산 ), 민간재원 ( 기업 , 개인재산 , 후원금 등 ) 사회복지의 민영화와 공급주체의 다양화 논의 : 보편성 공공재원 / 민간재원 , 정부일반예산 / 사회보장성조세 장애인복지재정 : 공공재원 ( 정부일반예산 ).

ull
Download Presentation

장 애 인 복 지 재 정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장 애 인 복 지 재 정

  2. 장애인복지재정 • 재정의 의미 : 사업수행에 필요한 공간, 시설, 인력, 장비 등의 확보를 위한 자원 • 재정의 성격 :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영향권 (선별주의와 보편주의) • 재원 : 공공재원(일반예산, 사회보장성예산), 민간재원(기업, 개인재산, 후원금 등) • 사회복지의 민영화와 공급주체의 다양화 논의: 보편성 • 공공재원/민간재원, 정부일반예산/사회보장성조세 • 장애인복지재정 : 공공재원(정부일반예산)

  3. 공공재원 • 장애인복지예산 : 일반예산 • 예산의 구성 : 국비(40%)와 지방비(60%), 단 장애수당의 경우 국비(70%)와 지방비(30%)로 구성됨 • 규모 : 보건복지부 예산 • 2013년 총예산 41조 673억(사회복지예산 32조6,205억) 중요 장애인복지예산(장애연금 3,440억원(2,946), 장애인활동지원 3,829억원(3,099), 장애수당(1,075억원),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 49억원,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16억원) • 구분 : 직접성 예산(현금, 현물), 간접성 예산(시설운영) • 유형 : 생활시설예산(1990년 중반까지 절대적) 재가장애인예산(1990년대 후반부터 증가, 약 50%)

  4. 공공재원 • 정부예산의 용도(보건복지부) • 장애인복지시설 지원 : 직원의 급여, 요양시설 등 생활자 생계보호비 등 • 재가장애인복지사업 : 생계보조수당, 이용시설운영비, 학비와 의료비 지원, 보장구 교부 등 • 장애인민간단체지원 : 각종 협회의 운영비 • 일반 수용비

  5. 비용부담 • 복지시설설치,운영비는 복지시설기관이 비용부담 가능 • 비용부담의 비율 장애인복지관, 주간보호센터, Group Home : 국비 40%, 지방비 60% 장애수당: 국비70%, 지방비30%(서울은 50:50) • 장애인복지시설 설치 운영비 보조할 수 있음 • 비용의 수납 : 시군구에 신고 후 부양의무자로부터 비용징수가능 • 조세감면 : 장애인이 제작한 물품의 부가세 감면

  6. 민간재원 • 법인재산 : 사회복지사업수행을 위한 기본재산 • 수익사업 : 법인의 목적사업의 경비 충당 • 정부보조금 : 운영비의 대다수. 정부의 통제 • 서비스 이용료 : 이용시설의 경우, 민영화관련 • 후원금 : 가장 일반화된 재원보충방법 • 사회복지공동모금 : 서비스의 책임성, 효과성 • 세제지원 : 상속세 및 증여세 등 감면

  7. 장애 유형 1. 우리나라 장애범주 :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분류 및 장애범주

  8. 장애유형 • 지체장애 : 지체부자유 상태, 신체골격, 근육, 신경증 등으로 운동기능, 감각장애상태의 증상이 나타남, 절단장애, 관절장애(4-6급), 지체기능장애, 변형(5-6급), 마비 등의 장애. 자존감약화(열등감), 반사회적성격가능 • 뇌병변장애 :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등의 기질적 병변에 의한 신체적 장애, 보행 및 일상생활동작 제한을 받는 상태. 운동 및 감각마비로 의존적임. 외부인과의 교류 거부, 자기중심적 성격. • 시각장애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1이하인자 등. 긴장감과 불안감이 높음. 독립적 생활에 지장 있음. 동작어색.

  9. 장애유형 • 청각장애 : 타인과의 의사소통에 지장이 있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가지는 경우, 청력손실(2-6급), 평형기능장애(3-5급).언어장애 초래 가능성 많음. 운동능력지체. 심리적불안감 높음. 수화, 구화, 필담 등으로 의사교환 • 언어장애(3-4급) : 약 7세가 되어도 언어발달이 완전하지 않아 개인의 의사소통이 방해받는 경우. 말더듬, 실어증 등. 대인관계와 사회적응력 약화. 정서적문제초래. • 지적장애(1-3급) : 지적발달장애, 정신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진, 사회생활적응 곤란. 언어지체, 운동장애, 정서장애. 발생시기는 만 18세미만. 경도(IQ50-70), 중등도 (IQ35-49), 중도 (IQ20-34), 최중도 (IQ20미만).

  10. 장애유형 • 자폐성장애(1-3급) : 의사소통, 사회적 기술, 인식력 부족. 이상행동, 대인관계 회피. 정신지체 및 자폐증. 과잉행동 및 공격성 가능. 반복적 행동 및 변화 거부. • 정신장애(1-3급) : 정신질환, 정신분열증(환상, 망상 등), 정동장애(조울증 등), 성격장애(경계선 성격장애 등) 등. 대인관계가 자기방어적. 감정표현부족. 사회적 편견. • 신장장애(2,5급) : 만성신부전증. 투석요법치료. 직업불가능 • 심장장애(1-3급) : 심부전증, 협심증. 사회(직업)생활 불가능 • 호흡기장애(1-3급) : 호흡곤란, 기침과 가래, 천명. 사회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이동이 어렵다.

  11. 장애유형 • 간장애 (1-3,5급): 간은 영양소의 가공처리를 통하여 중요한 영양소들을 합성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함. 간경화, 만성간염, 간암 • 안면장애(2-4급) : 선천적 기형, 후천적 사고, 질환, 화상 등으로 안면부위의 색깔, 모양, 혹 등이 변형된 상태. 대인관계에서 어려움 초래, 사회생활어렵다. • 장루(요루)장애(2-5급) : 직장,대장,소장 등의 질병으로 대변배설에 어려움이 있을때 복벽을 통해 체외로 대변을 배설시키기 위해 만든 구멍. 대인관계거부. • 간질장애(2-4급) : 반복적 발작을 주증상으로 하는 질병. 200명중의 한명꼴로 빈번함. 발작시 호흡장애, 흡인성폐렴, 탈진, 두통 등의 현상이 동반될 수 있음.

  12. 1. 진단 및 평가 개념 • 장애인의 잠재능력과 강점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평가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함부로 다룰 수 없는 중요한 의미 • 진단과 평가과정에서 가장 신뢰성 있고 타당하고 면밀한 분석 • 특히 장애인들의 잠재능력과 강점을 정확히 진단, 평가하는 것은 그들의 재활과정에서 정말 중요 • 펄맨(Perlman)은 진단을 문제의 제 부분을 검토하는 정신적 활동이라고 정의 • 허프난(Heffernan)은 평가를 서비스 적용과정에서 그리고 적용이 완료된 후 초기에 설정한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하는 활동이라고 정의 • 갈라진(Galazon)은 진단 과 평가의 목적 첫째, 장애인의 재활활동에 관련되는 것들을 예측하는 것 둘째, 직업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는 것, 셋째, 직업적응을 위해 어떤 능력과 특질 또는 소질 및 기술이 잠재되어 있는가를 밝히기 위함

  13. 1. 진단 및 평가 개념 • 장애인의 진단, 사정, 평가는 정확한 이해와 적절한 재활방향을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다. • 진단, 평가의 궁극적인 목적은 장애인이 지닌 현재의 장애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바람 직한 재활을 위해서 가장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 기본 원칙 첫째, 개별화 둘째, 가족 중심 차원 셋째, 장애의 예방 및 최소화에 초점 넷째, 대상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유용한 방법 (이는 장애유무를 확인하는 데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욕구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데 초점.) 다섯째, 다양한 출처, 도구, 영역 및 상황에서 얻은 정보에 기초 여섯째, 사정은 사회적으로 가치 있고 수용 가능한 방법 일곱째, 사정에 의한 의사결정은 다 학문적 팀 구성원들의 합의

  14. 2. 진단 및 평가 단계 • 장애인과 부모 및 서비스 의론이 서비스 기관을 처음 방문하였을 때, 주로 초기 면접을 한 후 각각의 진단 및 평가단계를 거쳐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 • 개별사회사업(casework)에서는 ① 초기과정(intake), ② 케이스 조사(case study), ③ 케이스 진단(case diagnosis), ④ 케이스 치료(helping process, learning process, problem solving 등) • 장애인 재활과정에서는 ① 사례파악(casefinding), ② 선별검사(screening), ③ 진단(diagnosis), ④ 판정(assessment), ⑤ 서비스 제공, ⑥ 평가(evaluation)의 과정

  15. 2. 진단 및 평가 단계 • 여기에서는 사례관리 시스템에 따라 ① 사례발견과 접수상담(intake), • 최초의 단계이면서 매우 중요한 단계 ② 진단(diagnosis), • 종합적인 판정을 위한 준비단계 ③ 사정(assessment), • 접수된 정보를 종합 해석하는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과정. • 이를 토대로 평가를 실시하게 된다. ④ 서비스 계획수립 및 실시, • 재진단 또는 재사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 평가(evaluation) • 모니터링 기능

  16. 3. 진단,평가,사정 내용 및 도구 • 진단 및 평가, 사정은 과학적, 객관적이며 표준화된 여러 검사 등으로 밝혀지며 장애인의 개인 문제는 복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가지 검사만으로 이해할 수 없다. • 장애인의 진단, 평가, 사정을 위한 각 영역별 도구 1. 의료재활 영역 1) 오세레츠키 운동능력검사(Oseresky Motor Skill Test) 2)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ARS :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3) 이화-자폐아동 행동발달 평가도구 (E-CLAC : Ewha checklist for Autistic Children) 4) 그림자음검사 5) 한국표준어음검사 6) 문장이해력검사 취학 전 아동 언어검사 (PLS:Preschool Language Screening Test) 7) ECC(Evaluating Communicative Competence)

  17. 3. 진단,평가,사정 내용 및 도구 2. 언어재활 영역 1) 그림 어휘력검사(PPVT) ∙ 2) 벤더시각 운동 형태 검사(BVMGT: Bender Visual Motor Gestalt Test) 3) PPVT-3(Peabody Pivture Vocabulary Test) 4) 맥크론 신경근육 발달사정 (MAND : McCarron Assessment of Neuromuscular Development) 5) 촉각 시 지각 변별검사(HVDT: Haptic Visual Discrimination Test) 6) 행동평가(BRS : Behavior Rating Scales) 7) EBC : Emotional Behavioral Checklist 8) 기능적 적응 행동조사(SFAB : Survey of Functional Adaptive Behaviors)

  18. 3. 진단,평가,사정 내용 및 도구 3. 사회심리재활 영역 1) 적응행동검사 : 학교용 2) 적응행동검사: 학교용2판 3) 적응행동척도-주거 및 지역사회용2판 4) 웩슬러 아동지능검사(K-WISC-Ⅲ) 5)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 6) 고대-비네 지능검사(Kodae-Binet Scale) 7) 카이제-코스 정신발달검사(KISE-KHOS : KISE-Koha Block Design Test) 8) 간편 인물화 지능검사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