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9

2011. 1. 28 ( 사 ) 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

한친농 수출촉진 협의회. 친환경농자재 수출목표 3 억불 달성을 위한. 2011. 1. 28 ( 사 ) 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 친환경농자재 수출입 동향. 8,016. 국내농자재산업 시장규모 ( 수출포함 ). ( 단위 : 억원 ). 20,000. 15,000. 경종 66%. 19,555. 축산 34%. 10,000. 국내 농자재 시장규모 (’09 기준 ) : 약 6.7 조원 ( 세계시장의 2.4%) 비료 : 1 조 8 천억 (1,567 업체 , 3,391 제품 )

Download Presentation

2011. 1. 28 ( 사 ) 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친농 수출촉진 협의회 친환경농자재 수출목표 3억불 달성을 위한 2011. 1. 28 (사) 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

  2. 친환경농자재 수출입 동향 8,016 국내농자재산업 시장규모(수출포함) (단위: 억원) 20,000 15,000 경종 66% 19,555 축산 34% 10,000 • 국내 농자재 시장규모(’09기준) : 약 6.7조원(세계시장의 2.4%) • 비료 : 1조8천억(1,567업체, 3,391제품) • 농약 : 1조 4천억, 등록업체102(업체 11)품목 1,329(미생물31), 원제 434 • 친환경농자재 : 8천억 유기 27% 24,422 14,061 화학 73% 5,000 5,810 2,500 1,000 3,450 500 필 름 62% 파이프 38% 0 종 자 비 료 농 약 친환경농자재 시설자재 농기계

  3. 구 분 1990 2000 2007 2008 2009 수출물량(천톤) 금액(백만불) 원자재수입물량 금액(백만불) 1,169 175 1,342 190 2,261 181 1,768 425 2,609 420 1,386 741 2,313 788 1,403 327 1,027 347 농자재 수출입 동향 1.비료 백악관 텃밭가꾸기 - 수출 : 복합비료, 유안 중심, 태국,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 브라질, 호주, 피지, 파라과이 순 2. 농약 : 수출 194억, 수입 3,628억(원제 78%, 품목 16%)

  4. 3. 친환경농자재 가. 생산현황 생산업체 : 1,300업체중 목록공시 373(작물생육 335, 병해충관리 81) 목록공시 : 1,048 제품(작물생육 661, 병해충관리 387) 나. 수출 : 25여개사 약 500만불(추정) 다. 수입 : 피마자박 등 유박원료(연30만톤, 150~400억), 천연추출물, 광물 원료 및 완제품(연 700톤, 100~150억 • 미생물 : 토양미생물제 + 미생물농약, 비티가 주종, 천연물 : 광물 키토산, 천연추출물, 부식산 등 • 목초액 :4,936KL 145억, 목탄 :9,208톤 99억, 톱밥 2,091톤 362억, 산림농용자재 483톤 826억 • .유기질비료 지원 : (09)2100천톤, 1218억 ->(10) 2500천톤, 1450억 • 상토는 전체 1800억중 50%수준인 유기상토만 계상, 토양개량제는 지방비제외 정부지원예산

  5. 친환경무상급식 이슈화 : 저농약 소농중심 -> 질적성장, 규모화 생산문제 대두 시도지사 및 교육감, 기초단체장 대다수 주장 예산확보 경쟁(금년 약 6천억) 친환경 무상급식 실현시 30% 소비증대효과 친환경농산업 비례 발전전망 서울 : 초등무상급식 친환경쌀 전면사용 경기 : 의회타협 친환경급식 342억 증액 강원 : 무리않고 협의 통해 업무 추진” 충북 : 친환경 학교급식 등 665억 책정 충남 : 무상급식 등 5년계획수립 400억 전북 : 친환경 등 농업분야 8700억 투입 전남 : 친환경 농업예산 1조4천억투입 경북 : 친환경예산 3,477억 투입 경남 : 4대강사업 , 쌀 농가 지원 주목 제주 : 농수축산물 수출 1조원 달성 만전

  6. 친환경농자재산업을 수출전략산업으로 육성 • 1. 친환경 농자재 산업을 수출전략산업으로 육성 • 필요성 • 국내 기술수준 국제경쟁력확보, 국내시장 협소, 과당경쟁 레드오션화 • (10) 500만불 ->(13) 1억불 ->(15) 3억불 • * 수출 이제 시작단계,CEPA 체결 등 여건우호적이나 정보부족, 정부지원 미흡 • 극소수업체만 해외전시 참가비 등 지자체 지원 및 국책공동연구과제 등 혜택 • 수출목표 : 3차 친환경농업육성 5개년까지 3억불 • 농식품 수출육성정책에 친환경농자재 포함지원 건의 • (현행) 지자체,중기청,코트라 등 일부지원 → (개선) 농식품부직접지원 • 국제수준의 친환경농자재 conference 개최 해외고객 상담유치 • 국제심포지움 해외전문가 초청비용, 해외 전시회참가비용, 해외지사 • 구축 및 해외 우수인력 도입 비용, 수출전용제품 개발비, 물류포장비 등 • 지원 • 수출을 위한 원료구매자금, 생산비축자금 등 지원 ☞ 해외수요와 시장창출이 활로, 수출산업으로 전환

  7. 친환경농자재 공동수출을 위한 컨소시움 구성 • (해외수출시장 개척을 위해 민관 협력체제 구축) • <원료 공동구매> • 유박 등 친환경농자재 원료 공동구매 : 사료협회처럼 중장기 추진 • < 수출시장 개척> • • 러시아 : 셀트리온 70억대 사업시작, 향후 1,000억 투자예정(제2과제) • 중국 연변 자치주 : 녹색식품단지 조성 등 추이를 보아가며 추진(제3과제) • 베트남, 캄보디아 등은 기진출 선교회와 연계추진(성지상사 제의) • 해외수출시장 진출사례 • - 인도(고려바이오), 일본(승진교역, 동성엔티씨), 영국(오더스), 중국(FM에그텍, 오더스, 승진, 고려바이오 등), 파라과이, 베트남, 벵글라데시(동성엔티씨), • 스리랑카(진성티엔씨 등 ) 인지, 태국 등은 기 진출 회원사와 협력 공동진출추진 • * 신제품 수출위한 상호정보교류 및수출선도기업 사례발표회 반기 개최 • * 추후 구체적 아이템 선정시 희망 회원사 모집추진

  8. 동업계 해외 공동진출 win-win 표준모델 협회 차원의 가칭”농자재 수출기업 협의회”구성 1단계 해외시장 개척 know-how detail 공유 2단계 3단계 업체간 협의를 통하여 개별 또는 공동으로 해외시장개척 (수출컨설팅, 수출대행 등) • 해외수출 추진전략 및 주의사항(고려바이오 사례) • <해외진출시 주의사항> • 품질, 가격경쟁력 갖춘제품확보, 인증등록자료준비 • 해외전시회 참가, 코트라 등 활용, 영어 등 능숙한 • 해외 전문인력확보, • 바이어 중심의 제품구색, 단계별 수출목표 추진인 해외 전시회 참가 및 코트라 활용 증/등록, 기술자료 품질, 가격 경쟁력 갖춘 제품 확보 • 품질, 가격 경쟁력 갖춘 제품 확보 • 품질, 가격 경쟁력 갖춘 제품 확보 8

  9. 해외수출 과제 및 나아갈 방향 (㈜오더스 사례) 가격이 아닌 가치의 경쟁력 브랜드의 경쟁력 차별화의 경쟁력 1.제품 2.운영 3.우수인재 4.異문화이해 인재 확보 현지 인재 확보 현지화 경쟁력 자금력,인력,기술력 • 내수 시장 기반 • 인적 자원 개발 • 가치의 경쟁력 • 차별된 기술화

  10. 부척 관련 정부지원 수혜 • 정부 및 유관기관 수출지원 사업현황 10

  11. 수출전용 국제경쟁력 갖춘 농자재 개발 R&D 강화 • 고효율 저비용 친환경 유기농자재 개발 • • 우수 신제품 개발 국책기술연구과제 확대 : 농식품부, 농진청, 중기청 등 • 산학연 신제품 공동연구 개발 : 물질분석, 동정, 혼합제 개발 등 • 유기농자재, 가공유기농식품 개발 확대 : (‘13) : 30억원 → 500억 • • 생물학적 병해충 종합방제 지원 확대 • 천적, 미생물농약→ 보조금 중단사태 • 생물농약 등록규정 완화 • • 수출전용 고급비료 개발 • 비료공정규격 신설, 우량비료 지정 활성화 • • 자재 생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술공유 개발 친환경농산물 만족도조사 국제인증 지원 건의 - OMRI(미국), IFOAM(국제유기농연맹), TRA(인도) 등 국제인증기관과 유기 농자재 인증등재를 추진 (협회 IFOAM과 협력): 정부지원

  12. 수출촉진 협의회 구성안 협의회 장 (협회장) 자문위원단 분기별로 분과 개최 수시협의 공동수입 공동수출방안 모색 분과위원회 (7개 분과장) 기술위원회 (수출전용품목개발) 해외협력 (정보수집) 유기질 기타 생물농약 미생물 기능성 비료 천연 광물 생화학 (추출물) 목초액 키토산

  13. 제3차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농식품부) • 유기농자재 산업화 토대 마련 ○ 곤충 및 미생물 등 생명자원 육성을 통해 유기농자재 산업의 신수요 창출 • 저탄소 유기농자재산업 육성 및 안정적 공급기반 확충 ○ 유기농자재 품질인증제 도입, 검증강화 효능 적은 제품 시장 퇴출 유도 ○ 천연자재 제조우수사례 발굴, 전통농법 등 수집보급 ○ 올바른 유기농자재 안전사용교육 및 홍보활동 강화 • 경영자금지원및 우수업체 투자유치 저탄소 유기농자재산업 집중육성 ○ 일방적 보조방식보다는 업체에 대한 지원방안검토 ○ 펀드업계 및 중기청등과 정책적 연계지원방안 마련 • 친환경농자재산업의 수출활성화 방안 모색 ○ 농식품 수출육성정책에 유기농자재 포함 육성방안 검토 - 수출시장개척위한 해외전문가 초청, 해외 전시회 참가 등 ○ 수출시장 개척을 위한 민관 협력체계 구축 및 수출컨설팅 전문인력 양성

  14. 유기농자재 개발 및 산업화 역활분담 체계도 • ① 정부 및 지자체 : 유기농자재 공급 지원, 생산업체 관리 • - 지역소재 우수제품 전시회 개최 및 소규모 IR 실시 • - 유기농자재 산업육성을 위한 R&D 강화 및 민관협력체계 구축 ② 농촌진흥청(연구기관, 도 농업기술원) - 친환경농자재 검증 및 표준사용 매뉴얼 제작․보급 - 천연물질 활용 생물농약 등 개발 - 천연자재 자가제조 기술 보급 ③ 친환경농업연구센터 및 유기농농자재관련 연구센터 - 미생물제제 등 생물농약 및천적활용 생물학적 방제기술 개발 - 시범포 운영 및 실용화 방안연구(농법과 연계 표준모델 개발 등) ④ 친환경유기농자재 생산업체 • 제품 상용화 판매/ 자재사용 및 재배기술 지도 등 • 친환경농자재 전시 및 홍보

  15. 친환경 녹색 기술 및 업체에 대한 민간투자 활성화 • 민․관 합작투자 형태의 농식품 모태펀드를 활용, 유기농식품산업의 규모화 및 경쟁력 제고 * 농식품경영체에 투자하는 펀드(농식품투자조합, VC, PEF 등)를 사업공모를 통해 선정하고 농식품모태펀드에서 투자자금을 출자하는 방식 * ‘10년(신규) : 597억원 확보 → (’20) 1조원 조성 ○ 모태펀드를 관리하는 기관을 통하여 유망한 기업체를 발굴, 민간 투자와 연계되도록 농식품분야 투자 유치 활동 강화 • 녹색인증 제도와 연계하여 유기농식품 산업에 대한 민간투자 활성화를 촉진 * 정부에서 유망 녹색기술 및 사업, 녹색전문기업인증제도 도입(10대 분야) ○ 세제혜택이 부여된 민간 녹색금융상품을 통해 인증된 녹색 기술․사업에 대해서는 자본시장에서 우선 투자 지원 ○ 아울러 유기농식품 산업 관련 인증사업 또는 녹색전문기업 등에 대해 R&D, 보증, 마케팅, 수출 등 지원 우대를 검토

  16. <참고> 연변주 추진내역 • 1. 시범단지 위치: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 량수진 하서촌 • 2. 시범단지 개요 • ㄱ. 재배면적: 50ha • ㄴ. 재배품종 • a. 치커리 b. 케일 • c. 레드 d. 청겨자 • e. 샐러리 p. 기타 갑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품종 • ㄷ. 친환경농업 기자재 종류 • a. 고단위 영양제 b. 친환경 천연제초제 c. 해충방지제 d. 연작장애제 • e. 광합성 촉진제 f. 뿌리 발근제 g. 해충포집기 h. 분해성 생면 멀칭포 • 병균 방지제 j. 물바구미킬러 • 3. 1hr당 생산농산물 매입 예산 • ㄱ. 1box당 기준중량 2kg(box 중량 제외) • ㄴ. 1box당 구매금액 580원(한화)/3.49원(RMB) • ㄷ. 매출 1hr당 13,050,000원(한화)/78,525원(RMB) • ㄹ. 이상 한화 10000 원대 인민페 환율 58원 기준, 환율변화시 한화 가격을 기준으로 조정함. • ㅁ. 생산량 1hr당 45000kg----22500 box (쌈채류 경우에 한함)

  17. 제 5 조 자재종류와 가격(※ 1리터(kg) = 1000평 사용) *상기 조항의 자재종류 및 사용량은 구체적인 실정에 근거 변경가능

  18. 재배 품종 목록

  19. 친환경농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우리 농자재산업의 무대는 세계요, 추구할 길은 지식녹색성장이다”“가도 되고 안가도 되는 길이 아니라 반드시 가야만 하는 길이고, 이미 가고 있는 길이다”(BH)친환경농산업 활성화로 저탄소 녹색성장 목표달성!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