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8

데이터 전송제어방식

데이터 전송제어방식. 회선접속. 링크확립. 메시지전달. 링크단절. 회선절단. 전송제어. 회선제어 절차 5 단계. 데이터전송방식. 통신방식에 따른 분류 단방향통신 (SIMPLEX) : 한방향 전송만 가능 , Tv 반이중통신 (HALF DUPLEX) : 한번에 한방향만 , 무전기 전이중통신 (FULL DULEX) : 양방향 동시 가능 , 전화 연결방식 일대일 (Point to point) 컴퓨터와 단말기 간에 1:1 로 dusdruf 회선경쟁 방식 다지점방식 (Multi point)

vicky
Download Presentation

데이터 전송제어방식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데이터 전송제어방식

  2. 회선접속 링크확립 메시지전달 링크단절 회선절단 전송제어 • 회선제어 절차 5단계

  3. 데이터전송방식 • 통신방식에 따른 분류 • 단방향통신(SIMPLEX) : 한방향 전송만 가능, Tv • 반이중통신(HALF DUPLEX) : 한번에 한방향만, 무전기 • 전이중통신(FULL DULEX) : 양방향 동시 가능, 전화 • 연결방식 • 일대일(Point to point) 컴퓨터와 단말기 간에 1:1로 dusdruf 회선경쟁 방식 • 다지점방식(Multi point) 하나의 회선에 다수의 단말기가 연결 멀트드롭 방식(Polling/Selection) • 폴링 : 제어국에서 종속국으로 차례로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지 질의 • 셀렉션 : 제어국에서 종속국을 지정한 후 수신가능한지를 질의

  4. 직렬전송 • 각 비트들이 하나의 전송 선로를 통해 전송 • 비용이 저렴, 원거리 전송 • 병렬전송 • 각 비트들이 각각의 전송 선로를 통해 전송 • 근거리, 컴퓨터와 주변장치 사이 • 비동기식 전송 • 한 문자와 같이 작은 비트블록 앞뒤에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삽입하여 전송 •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의 오버헤드 • 단거리의 저속 통신시스템에 적합 • 동기식 전송 • 동기를 맞추기 위해 특수문자(플래그)를 삽입 •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 • 동기 비트 방식 : HDLC, SDLC • 동기 문자 방식 : BSC

  5. SYN SYN SOH Heading STX TEXT ETX BCC • 동기식 문자 위주 프로토콜(BSC) • 동기식 비트 위주 프로토콜 • HDLC • 임의의 길이를 프레임이라는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 • 링크의 효율이 가장 좋다 • Point to point, Multipoint, Loop방식 모두 가능 • Go back & ARQ 방식 • 단방향, 반이중,전이중 • 전송모드 : 정상응답(NRM),비동기응답(ARM),비동기균형(ABM) • 프레임의 종류 : I-프레임(정보),S-프레임(검사),U-프레임(무번호) 플래그 주소 제어 정보 FCS 플래그

  6. 오류검출방식 • 패리티 검사기법 • 한블록의 데이터 끝에 한비트를 추가하여 오류검출 • 기수(홀수,odd) 패리티 : 1의 개수를 홀수개로 • 우수(짝수,even)패리티 검사 : 1의 개수를 짝수개로 • 블록합검사(block sum check) • 순환잉여검사(CRC) • 다항식 코드를 사용 • 전진에러 수정방식 • 수신측에서 자동으로 정정 가능 • 헤밍코드, 상승부호 방식

  7. 에러제어 방식 • 자동반복요청(ARQ)방식 • 에러 검출 후 송신측에게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를 다시 전송해주도록 요청하는 방식 • 정지-대기 ARQ : 송신측은 한 블록을 전송한 다음 수식측에서 에러발생을 점검하고 ACK 나 NAK 신호가 올때까지 기다림 • 연속적 ARQ : • Go-back-N ARQ : 오류 발생한 데이터 프레임부터 재전송 • 선택적 ARQ :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 프레임만 재전송 • 적응적 ARQ :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채널의 상태에 따라 블록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

  8. 문제1. HDLC 프로토콜의 기본 기능이 아닌 것은? 가.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모두 사용 가능하다. 나. BYTE 방식 프로토콜이다. 다. Go-Back-N ARQ 에러제어 방식이다. 라. 데이터링크 형식은 Point-to-Point, Multi-Point 모두 가능하다. 문제2. HDLC 프레임을 구성하는 필드가 아닌 것은? 가. PCS 필드나. Flag 필드 다. Control 필드라. Link 필드 문제3. 다음 중 오류정정이 가능한 부호가 아닌 것은? 가. Convolution 부호 나. 2차원 Parity 부호(수직-수평 패리티 부호) 다. 해밍(Hamming) 부호 라.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 문제4. SDLC에서 한 프레임(Frame)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가. 플래그(Flag) 나. 번지 지정부(Address Field) 다. 제어부(Control field) 라. 논리 연산부(Arithmetic Logic Unit) 문제5. HDLC 방식에서 Flag의 형태에 해당되는 것은? 가. 01111110나. 01010101 다. 01100110라. 11011011 문제6. 프로토콜방식 중 바이트 단위로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은? 가. BSC방식나. SDLC방식 다. HDLC방식라. ITU-T 권고의 X.25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