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9

학습목표

학습목표. 활인심방의 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2. 활인심방의 시연을 통해 생활 속에서 마음을 차분하게 할 수 있다. 건강을 지키는 원칙. 감정의 변화를 적절히 조절하라 . 적당히 노동하라 . 무기력함 , 운동부족을 경계하라 . 잘 자는 버릇을 들여라 . 머리빗기와 목욕에 정성을 쏟아라 . 얼굴을 중심으로 건욕 ( 乾浴 ) 하라 . 어깨 운동과 목운동을 꾸준히 하라. 신장의 기운을 돕는 소리 :. 양생가 퀴즈. 취. 심장의 기운을 돕는 소리 :. 허. 간장의 기운을 돕는 소리 :. 휴.

Download Presentation

학습목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학습목표

  2. 활인심방의 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2. 활인심방의 시연을 통해 생활 속에서 마음을 차분하게 할 수 있다.

  3. 건강을 지키는 원칙

  4. 감정의 변화를 적절히 조절하라. • 적당히 노동하라. • 무기력함, 운동부족을 경계하라. • 잘 자는 버릇을 들여라. • 머리빗기와 목욕에 정성을 쏟아라. • 얼굴을 중심으로 건욕(乾浴)하라. • 어깨 운동과 목운동을 꾸준히 하라.

  5. 신장의 기운을 돕는 소리: 양생가 퀴즈 취 • 심장의 기운을 돕는 소리: 허 • 간장의 기운을 돕는 소리: 휴 • 폐의 기운을 돕는 소리: 사 • 비장의 기운을 돕는 소리: 후 • 삼초의 기운을 돕는 소리: 히

  6. 봄에 내면 좋은 소리 : “휴” 여름에 내면 좋은 소리 : 허” 가을에 내면 좋은 소리 : 사” 겨울에 내면 좋은 소리 :“취” 사계절 내내 기운을 돕는 소리 : 후” 사계절 양생가

  7. 도인법

  8. 1. 치아운동(叩齒集神圖勢)

  9. 실시 방법 1) 양다리를 책상다리하고 앉아서 눈을 감고 마음을 가라앉힌다. 2) 정신을 집중하여 아래와 위 치아를 딱딱 맞부딪치기를 36회 운동한다. 3) 뒤이어 양손바닥으로 뒷머리를 감싸 쥐고 9회 심호흡한다. 4) 양손을 조금 앞쪽으로 이동시켜 양쪽 귀를 덮고 집게손가락을 가운데 손가락에 겹쳤다가 미끄러뜨리며 뒷머리 뼈를 탁탁 퉁기는데 좌우 각각 24회씩 운동한다. <유의점> 호흡의 진수는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하여야 한다.

  10. 2. 목운동(搖天柱圖勢)

  11. 실시 방법 1) 양다리를 책상다리하여 편한 자세로 앉는다. 2) 허리를 펴고 상기 그림과 같이 양손을 맞잡는다. 3) 목을 좌우로 각각 24회씩 돌린다. <유의점> 목운동 시 어깨도 함께 움직이며, 포개어 있는 손 모양에 유의하되, 일반 맥을 잡을 때 그 위치이며 손과 머리부분은 반대방향으로 천천히 오늘날 스트레칭 하듯이 하도록 한다.

  12. 3. 혀운동(舌攪漱咽圖勢)

  13. 실시 방법 1)양다리를 책상다리하여 앉아서 주먹을 꽉 쥐고 양손을 머리 위로 호랑이와 같은 기상으로 뻗어 올린다. 2)입안의 혀를 좌우 상하로 움직여 입천장과 아래위 잇몸, 아래위 치아 등 안팎을 마치 붉은 용이 요동치듯 36회 실시한다. 3)입안에 신수(神水) 즉 침이 모이면 이 신수를 3번 나누어 마치 단단한 음식을 삼키는 것처럼 신경을 써서 삼킨다. <유의점> 이때 호랑이와 용을 생각하고 신수의 3등분을 기억한다.

  14. 4. 옆구리운동(摩腎堂圖勢)

  15. 실시 방법 1) 양손바닥이 뜨거워지도록 맞비빈다. 2) 맞비빈 그 손으로 허리 뒤쪽 신장부위를 아래 위로 천천히 36회 마찰한다. 3)주먹을 쥔 채 양손을 무릎 올려놓고 심호흡을 하여 하복부에 단전에 화기를 보낸다. <유의점> 허리운동으로써 특히 신장 즉 콩팥부분의 운동에 주안점이 있으며 호흡 시 숨을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행하여야 한다.

  16. 5. 어깨운동(單關녹로圖勢)

  17. 실시 방법 1)고개를 숙이고 왼손을 허리에 댄 채 왼쪽 어깨 관절을 회전시키면서 흔들기를 36회 실시한다. 2)좌우 손을 바꾸어 오른손을 허리에 댄 채 어깨를 회전시키면서 돌리기를 36회 실시한다. <유의점> 녹로 즉 ‘도르래’라는 뜻임을 유의하여 어깨를 기점으로 돌림을 기억한다.

  18. 6. 양손운동(左右按頂圖勢)

  19. 실시 방법 1) 양다리를 뻗고 앉은 자세로 하거나 다리를 책상다리하여 앉은 자세를 취한다. 2) 양손을 맞비비면서 「커허」 소리를 내기 운동을 5회 실시한다. 3)양손을 맞잡아 깍지를 끼고 양손을 머리 위로 뻗어 올리되 손바닥을 위로 향하는 운동을 9회 실시한다. <유의점> 이때 양손을 위로 뻗을 때 마치 하늘을 떠받쳐 올리는 기분으로 하되 자세가 구부러지면 안 된다.

  20. 7. 다리운동(구攀圖勢)

  21. 실시 방법 1) 고개를 숙이고 양손으로 발바닥 중심을 잡는다. 2) 잡은 양손과 양다리를 가슴 쪽으로 12회 끌어당기기는 운동을 실시한다. 3)뻗었던 양발을 거두어 양다리를 책상다리하여 단정하게 앉아서 입안에 고인 침을 3번 나누어 삼킨다. <유의점> 이때 침이 잘 생겨 넘어가도록 특별히 신경 쓴다. 침이 잘 생겨 돌면 전신의 맥이 고르고 안정되어 기혈 순환이 잘 되기 때문이다.

  22. 양오장법

  23. 심장 운동 • 바르게 앉아 두 주먹을 쥐어 겹치게 하는 동작을 6회 한다. • 한 손으로 팔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아래를 향해 돌 던지듯이 손을 펼친다. 다음에 두 손을 깍지 끼어 발바닥에 대고 5~6회 눌러준다. • 그 다음 조용히 눈을 감고 앉아 침을 세 번 삼키고 세 번 이를 마주친다. • 이렇게 하면 가슴속에 쌓인 풍과 나쁜 기운을 제거하며 • 모든 병을 없애고 막힌 기운을 소통시켜준다.

  24. 간장 운동 • 바르게 앉아서 두 손으로 허벅지에서 무릎, 종아리, 발끝까지 서너 차례 왕복하며 주무른다. • 두 손을 깍지 끼어 가슴에 대고 위를 쳐다보면서 3~5회 치켜 올린다. • 이 운동은 간에 쌓인 풍이나 나쁜 기운을 없애주고 • 체내의 독기를 몰아낸다.

  25. 비장 운동 • 한쪽 다리는 앞으로 뻗치고 한쪽은 굽혀서 깔고 앉는다. • 양손을 뒤로 하여 잡은 뒤 잡아당기기를 3~5회 한다. • 무릎을 바닥에 대고 엎드린 뒤 양 팔꿈치도 대어 동물이 엎드린 자세를 취한 뒤 좌우 교대로 뒤돌아보기를 3~5회 한다. • 이렇게 하면 비장에 쌓인 풍이나 나쁜 기운이 사라지며 • 입맛이 좋아진다.

  26. 폐 운동 무릎을 꿇고 엎드려 머리를 바짝 숙인 다음 고개를 서서히 들면서 허리를 서서히 치켜든다. 다음은 두 주먹을 쥐고 손등으로 반대쪽의 등줄기를 두드려주기를 좌우 각 3~5회 실시한다. 눈을 감고서 이를 3회 마주친 뒤 침을 삼킨다. 엎드린 후 허리를 서서히 치켜들면 폐부에 쌓인 풍과 나쁜 기운이 제거되고 폐가 튼튼해진다. 또한 등줄기를 두드리는 것은 가슴속의 풍과 나쁜 기운을 제거하고 독을 풀어준다.

  27. 신장 운동 바르게 앉아 두 손을 귀에 대고 쓰다듬어 내릴 때 팔꿈치를 옆구리에 닿게 하기를 3~5회 한다. 양손을 들어 좌우로 각각 뻗쳐 몸을 늘리고 일어서서 발을 앞뒤 좌우로 수십번씩 흔든다. 이 운동은 신장과 방광에 쌓인 풍과 나쁜 기운을 없애준다.

  28. 활인심방 정의하기 • 활인심방 이란? • - 어린아이의 장난감이다 • - 왜냐하면 ? 배워보니 신기하니까 ^*^ • 질문 : 활인심방 이란?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