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7

조직풍토론

Halpin 과 Croft 의 학교 풍토론. Halpin 과 Croft 의 학교 풍토론. Halpin 과 Croft 의 학교 풍토론. 1. 초기의 학교 풍토론 - 조직풍토기술척도 (OCDQ). < 교사 행동 특성 > • 장애 (hindrance) • 친밀 (intimacy) • 방임 (disengagement) • 사기 (esprit) < 교장 행동 특성 > • 과업 (production emphasis) • 냉담 (coldness)

waneta
Download Presentation

조직풍토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Halpin과 Croft의 학교 풍토론 Halpin과 Croft의 학교 풍토론 Halpin과 Croft의 학교 풍토론 1. 초기의 학교 풍토론 - 조직풍토기술척도(OCDQ) <교사 행동 특성> •장애(hindrance) •친밀(intimacy) •방임(disengagement) •사기(esprit) <교장 행동 특성> •과업(production emphasis) •냉담(coldness) •인화(consideration) •추진(thrust) <학교풍토의 구분> •개방적 풍토 •자율적 풍토 •통제적 풍토 •친교적 풍토 •간섭적 풍토 •폐쇄적 풍토 조직풍토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2. <교사 행동 특성> •단체적(collegial) •친밀한(intimate) •일탈적(disengaged) <교장 행동 특성> •과업(production emphasis) •냉담(coldness) •인화(consideration) •추진(thrust) <학교풍토의 구분> •개방풍토(open climate) •몰입풍토(engaged climate) •일탈풍토(disengaged climate) •폐쇄풍토(closed climate) 조직풍토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개정된 초등학교용 OCDQ

  3. Miles의 조직건강론 2. 조직풍토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과업달성변인> •목표에 대한 관심(goal focus) •의사소통의 적절성(communication adequacy) •권력의 적정한 분산(optimal power equalization) <조직유지변인> •자원의 활용(resource utilization) •응집력(cohesiveness) <조직유지변인> •혁신성(innovativeness) •적응력(adaptation) •문제해결력(problem-solving adequacy) 동료 부정행위 신고하는 건강하지 못한 조직 교사, 학부모, 학생이 이끄는 학교풍토

  4. Willower 등의 학교풍토론 3. 학생 통제이념질문지(PCI) •인간주의적 학교 : 학생들이 협동적인 상호작용과 경험을 통해 배우는 교육 공동체. 엄격한 교사의 통제보다는 스스로의 자제가 중시. 교사들의민주적인 통제 방식을 추구. •보호 지향적 학교 : 학교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엄격하고, 통제된 상황을 조장하는 조직체. 교사는 학교를 학생과 교사의 지위체계가 잘 정비된 권위적인 조직. 학생의 행동을 도덕적인 차원에서 판단. 학생들은 엄격한 규율과 체벌로 통제해야 한다고 인식. 조직풍토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스포츠 좋아하는 미국학교 풍토 보호 지향적 학교에서 인간주의적 학교로 전향하는 강경중

  5. 문화와 풍토의 비교 4. 공통점 • 조직 내 인간행동이, 가장 가까운 사건들만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이끌어져 나오는 것. • 조직 환경 내에서 무형의 힘과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취급하는 추상적 개념. 차이점 • 문화- 어떤 조직의 행위규범․가정․신념과 관계 있는 개념. • 풍토- 이러한 규범․가정․신념을 반영하는 조직 내 인간의 지각과 관계 있는 개념. 조직풍토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6. 요약 5. 인간에서 개성이 있듯이 조직에도 그 나름의 성격이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조직이 갖고 있는 문화적 특성을 조직풍토라고 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과 같이 조직풍토의 개념은 접근방법에 따라 다소 달리 정의되고 있다. 다양한 맥락에서 학교조직풍토를 정의하면, 학교조직풍토란 학교의 성격적 특성으로서 학교조직요인과 인간요인 그리고 주변환경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조성되는 사회심리적 분위기라고 할 수 있다. 조직풍토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7. 1. 조직문화의 정의 문화란? 인류학이나 사회학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는데 사회단위에 속한 사람들 간의 전통적 신념, 기대, 가치, 규범, 행동양식, 생활습관 등이 오랫동안 내재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마다 이러한 문화가 독특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조직 문화가 존재하고, 그 정의도 다양하다. 조직문화란? 조직구성원들이 내외적인 문제를 해결과정에서 반복된 경험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당연하게 공유하게 된 기본 가정, 신념, 가치, 행동규범 등의 결합체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8. 2. 조직문화의 수준 ->조직 문화는 여러 가지 구성요소 중에서 구체적인 것에서부터 추상적인것으로 나누어 규범, 공유된 가치, 묵시적 가정으로 수준을 나눌 수 있다.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9.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10. 1) 묵시적 가정으로서의 문화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예) 조직 구성원들이 인간을 선천적으로 보느냐 아니면 악하다고 보느냐 인간관계를 위계적으로 보느냐 아니면 평등하다고 보느냐 환경도 인간이 통제할 수 있다고 보느냐 아니면 환경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고 보느냐 등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 묵시적가정이란 조직 구성원들 사이에 공공연하게 이야기 하거나 거론하지 않아도 당연한것으로 받아들이는 수준으로 문화의 수준 중 가장 심층적이고 추상적인 것이다. 이러한 가정은 구성원이 오랜조직생활을 통해 습득한 것으로 조직에서 아주 당연시하는 가정이다 이를 해독하고 구체적인 문화의 형태로 실현한 것이 가치관과 규범이다. 조직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요체는 조직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기본 가정이 무엇인가를 알아내는 일이지만 가장 심층적이고 추상적이기 때문에 쉽게 발견하기 어렵다.

  11.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2) 공유된 가치로서의 문화 문화의 중간수준은 조직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다. 가치는 바람직한 것에 대한 개념이고 이는 문화에 대한 기본적 가정을 반영한다.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에 따라서 구성원의 행동이 달라질 수 있다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는 조직 구성원을 그 조직의 일원임에 대하여 자부심을 느끼고 그 조직에 근무하는 것에 중요한 의미를 더 쉽게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예)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와 군대가 추구하는 가치에는 분명 차이가 있다.

  12.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3) 공유된 규범으로서의 문화 규범은 문화의 수준에서 가장 표면적이고 구체적이기 때문에 가시적이다. 규범은 성문화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구성원들이 그렇게 행동을 하도록 한다. 규범은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의 성격에 부합하도록 마땅히 따르도록 하는 원리나 법칙이다. 그래서 규범은 구성원들의 행동이나 조직생활의 측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수단이자 방법을 제공한다. 규범의 특징은 조직 구성원들이 승인하면 할수록 더욱 강화 된다. 즉, 사람들이 조직의 규범에 따랐을 때 보상이나 격려를 받는다든지, 또는 규범을 어겼을 때 곤란을 당한다든지 하게 되면 그 규범은 더욱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 예) “수업시간에 떠들어서 수업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라는 말은 학교의 학칙이나 규정에는 성문화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모든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떠들어서는 안 된다는 기대 속에서 행동한다.

  13. 학교조직문화의 이해 3. ① 이야기 학교조직문화 ②삽화와 상징 ③ 의례와 의식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14.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1) 이야기 예) 학교의 설립자의 이야기나 아니면 학교의 선배 중에서 입지적인 인물이나 학교의 전통과 관련하여 내려오는 이야기다. 졸업한 선배 중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사람이 있다고 할 때, 그 학교에서 문학에 대해 가지는 의미는 엄청날 것이다. 이와 같이 조직에 관련된 이야기는 어느 조직에나 있기 마련이다 2) 삽화와 상징 예) 학교의 복도에 역대 교장의 사진이 걸려있는 것, 교장실에 들어갔더니 그 동안 졸업생들이 국내외 대회에 나가서 받은 트로피 장식 등은 그 학교의 전통이다 그 학교의 전통을 나타내는 조직문화의 중요한 매체가 된다. 조직구성원들은 상징물과 징표를 보고 그 학교에 근무하거나 다니는 것에 대해 자부심과 긍지를 느끼게 된다. 3) 의례와 의식 예) 학교의 조회, 교직원 회의, 운동회, 봉사활동 등

  15. 조직문화의 유형 4.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16.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1) 혁신문화 학교조직에서 교사들이 외부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문제해결과정에 유연성을 보인다. 그러므로 외부환경의 변화에 두려움을 갖기보다는 의욕적이고 모험적으로 아이디어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창의성을 발휘한다. 교사 상호간에 의견교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결과가 다소 불확실 하더라도 새로운 교수방법을 적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수방법에 대해 교사들의 수용 정도가 높아 혁신적으로 환경변화에 반응한다

  17.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2) 합리문화 교사들이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하나 문제해결과정에 경직성을 보인다. 그러므로 학교운영과 조직의 편성은 체계적이고 일관된 관리체제를 바탕으로 교육목표 달성만을 강조한다. 일을 처리하는 데 가능한 최소한의 투입에 최대한의 산출인 효율성이 중요한 규범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교사들 상호간의 인간관계보다는 과업달성을 위해 실리적인 관계가 유지된다. 결국 인간관계나 주어진 여건보다는 성공 여부에 대한 결과를 중요하게 여긴다.

  18. 조직 구성원들이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해 소극적으로 반응하며 문제해결과정에 유연성을 보인다. 외부환경에 대해 능동적이지 못하지만 교사 상호간에 협조적이다. 따라서 학교 운영의 중요한 지표도 마치 가족과 같이 교사들 간에 결속력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교사들 사이에 업적 위주의 경쟁보다는 교사들 상호 간의 팀워크나 협동이 강조된다. 그래서 교사들은 서로의 개인적 사정이나 어려움을 자신의 일로 받아들이고 관심을 갖는다.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3)집단문화

  19.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4) 위계문화 조직구성원들이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해 소극적으로 반응하며 문제해결과정에 경직성을 보인다. 조직구성원인 교장과 교감 그리고 교사들 간에 서열의식이 강조된다. 조직 내부적으로 엄격한 결재과정을 통해서 매우 체계적이고 일관된 관리체제가 형성되며 조직 전체의 통솔과 통제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업무처리에 관련된 절차나 규정이 세밀하게 정해져 있고 변경하기가 어렵다.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기 보다는 규정을 철저히 따르면서 실수 없이 수행하는 것이 강조된다. 따라서 교사들은 독자적으로 일을 처리하기 보다는 일일이 교장이나 교감의 지시를 받아서 처리한다.

  20. 조직문화의 이론 5. McGregor는 인간 본성에 대해 두 가지 기본 가정에 기초하여 조직문화와 경영이론을 전개하였다. 하나는 전통적인 경영이론에 바탕을 둔 X이론이며, 다른 하나는 경영에 대한 새로운 이론에 근거를 둔 Y이론이다. 이 두 이론은 경영자가 구성원의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전략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선택이 조직의 분위기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조직문화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1) McGregor의 X-Y 이론

  21.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McGregor의 X-Y 이론

  22.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2) Ouchi의 Z이론 Ouchi는 고 생산 기업들이 어떠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가를 발견하기 위하여 미국과 일본의 기업을 비교 연구하였고 이들 기업의 성공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Z이론을 발전 시켰다. Z이론은 전체조직의 문화에 관심을 두고 있다. 성공적인 기업은 친밀성, 신뢰, 협동, 팀워크, 평등주의 등 공유된 가치관에 의하여 내적으로 일관되고 다져진 독특한 기업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들 조직의 성공은 기술보다는 인간 관리에 기인하고 있다.

  23.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Z이론의 조직 문화 특성

  24. 최근 들어 학교조직에서도 학교조직문화를 어떻게 창출할 것인가의 문제는 교육행정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조직 문화는 “조직구성원들이 내외적인 문제를 해결과정에서 반복된 경험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당연하게 공유하고 있는 기본가정, 신념, 가치, 행동규범 등의 결합체다.” 그리고 조직문화의 수준은 규범, 공유된 가치, 묵시적 가정으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실제 학교조직문화를 파악하는 데는 이야기, 삽화, 의식 등을 통해 조직문화를 이해 할 수 있다. 조직문화의 유형으로 혁신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로 나누었다. 조직문화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요약 6.

  25. 결론 - 조직이란 둘 이상의 사람이 일정한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구성한 사회체제로서, 목표 달성을 위한 특정한 과업, 역할, 권한, 의사소통, 지원구조 등을 갖는 체제이다. -조직의 구성요소는 구성원, 목표, 사회적 구조, 테크놀로지이다. - 행정조직의 원리에는계층의 원리, 기능적 분업의 원리, 조정의 원리, 적도집권의 원리, 명령 통일의 원리, 통솔 한계의 원리가 있다. - 조직의 유형에는 공식조직과 비공식 조직, 계선조직과 참모조직이 있다. -조직유형론이란 유사한 성격을 지닌 조직을 집단으로 묶어 보는 것이다. - 조직유형론의 유형으로는 Parsons의 사회적 기능 유형, Blau와 Scott의 1차적 수혜자 유형, Carlson의 봉사조직 유형, Etzioni의 순응 유형이 있다. - 학교조직풍토란 학교의 성격적 특성으로서 학교조직요인과 인간요인 그리고 주변환경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조성되는 사회심리적 분위기라고 할 수 있다. - 조직문화란 조직구성원들이 내외적인 문제를 해결과정에서 반복된 경험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당연하게 공유하게 된 기본 가정, 신념, 가치, 행동규범 등의 결합 체이다.

  26. 참고문헌 • 진동섭,이윤식,김재웅 (2008). 교육행정 및 학교경영의 이해. 교육과학사 • 윌리엄 타일러(1997). 학교조직론. 양서원 • 성병창(1994). 학교조직구조론-이론과설계. 양서원 •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위론. 형성출판사 • 전태련(2008). 함께하는 교육학. 마이쌤 • 주삼환(2009).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학지사 • 진동섭(2008). 교육행정 및 학교경영의 이해. 교육과학사 • 융정일(2008). 교육행정학원론. 학지사 • 남정길(2006).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교육과학사 • 신유근(1990). 조직론. 다산출판사

  27. 감 사 합 니 다. 감 사 합 니 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