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3

Condensate 분리

정제탑 3 증기 발생 및 승압 (MVR) 시스템. Condensate 분리. MVR General Design 조건 + Discharge 온도 : 280 ℃ (2 단 ) - 2 단 이상은 Intercooling 필요 - 2 단 이상은 유체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유속방지를 위하여 5~10m 배관필요 + RPM : 40,000 + Ratio : 3.5 ( 절대압 기준 )

warren-wynn
Download Presentation

Condensate 분리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정제탑 3 증기 발생 및 승압(MVR) 시스템 Condensate 분리 MVR General Design 조건 + Discharge 온도 : 280 ℃ (2단) - 2단 이상은 Intercooling 필요 - 2단 이상은 유체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유속방지를 위하여 5~10m 배관필요 + RPM : 40,000 + Ratio : 3.5 (절대압 기준) + 흡입압력 조건 : 0.1 Kg/cm2 A 이상 (유체의 Turburance 방지) 21

  2. 정제탑 3 증기 발생 및 승압(MVR) 시스템 (MVR Design) • Data Sheet • Inlet 압력 Range에 따른 설계 운전값 22

  3. 정제탑 3 증기 발생 및 승압(MVR) 시스템 In Door Type MVR MVR Suction 및 Discharge 23

  4. Cooling Water/전기절감 □ 3,000 Ton/Hr 냉각수 사용량 감소 + 냉각수 Pump 1기 가동정지 (600 Kw 전기절감) 24

  5. Cooling Water/전기절감 Hot Cooling Water (약40℃) 인한 Condenser Fouling 영향 없음. 25

  6. Energy Saving Detail 세부내용 항목 절감 Unit Naphtha 2.2 steam POX fire heater off : 0.6 ( 5) Power generation off : 0.7 (10) Steam source change : 0.9 (13) Total : 2.2 (28) te/hr Steam source change : 9 steam import 9 te/hr Eletricity import - 3.4 MVR compressor : - 1.0 Power generation off : - 3.0 Cooling water pump off : + 0.6 Total : - 3.4 Mwh 26

  7. CO2 Emissions reduction □ CO2 Emissions : 26 → 20 ton/h Source Items Reduction Unit POX fire heater off : 1.6 Steam source change : 2.6 UPSC steam import : 1.8 Total : 6.0 CO2 Emission 6 te/hr 23% reduction of CO2 emission in SSBP (2000년 대비) 27

  8. 년도별 에너지사용량 및 원단위 추이 에너지원단위 : 61% 절감 (1995→2001년) 28

  9. 효과분석 (무형효과) •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에 따른 지구온난화 정책 참여 • CO2 배출량 감소(6 T/H)로 총 배출량의 23% 감소 • 특허출원 : 2001년 5월 7일 (10-2001-0026965) • 합작사인 BP와의 기술공유 • BP Helious Awards(Category :Innovation) • BP그룹 Brand values 를 훌륭하게 빛낸 4분야 (Green, Performance, Progressive, Innovation)에 대하여 년1회 시상하는 BP그룹 최고의 권위 있는 상임. • Innovation 분야에 Awards 수상 29

  10. 에너지 프로젝트 성과 • 핵심핵심기술 확보 • 정제공정에서의 잠열 회수 및 제어시스템 • 저압스팀을 MVR 또는 TVR이용 스팀 승압 및 제어시스템 • 포화증기 MVR공급설비 및 MVR 인입/토출부 온도 제어시스템 • 반응기에서의 반응열 회수 및 제어시스템 • 동종업체 최초 도입 • 초산 공정에 최초적용/BP Chemicals 적용사례 없음 • 파급 효과 (기술이전) • BP 그룹 및 석유화학 장치공장에 적용가능 30

  11. 공장 에너지 개선시 문제점 회수 가능한 저압스팀의 사용처가 없다…. . LPS 사용처 ??? . Required Pressure ??? 4.7 te/h Low Pressure Steam Recovery 개선 항목 개선항목 저압스팀회수 개선항목 저압스팀회수 개선항목 개선항목 저압스팀회수 저압스팀회수 저압스팀회수 31

  12. Low Pressure Steam 승압 방안 • LPS을 공정에 사용 가능한 압력 까지 승압 방안 구분 TVR MVR 장 점 소량 저압 스팀 승압시 사용 다량의 저압 스팀 승압시 필요 투자비 가 적다 ESD시 타 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음 운전비용 적다 단 점 Motive STM 필요 투자비가 높다 ESD시 Motive에 따라 타공정에 영향 운전비가 높다 설비 설치 공간 이 필요 + MVR (Mechanical Vapor Recompessre ) 전기를 이용 저압의 스팀을 사용가능한 압력까지 기계적으로 재 압축 설비. + TVR (Thermo Vapor Recomressor ) 고압의 증기를 Motive Steam(구동원)으로 하여 저압스팀을 흡입 압축한 후 토출 하여 스팀을 재사용. 32

  13. 에너지 진단결과 종합 단위 에너지 공단 진단 삼성비피 실적 절약 항목 발굴 건수 MVR외 12 MVR외 8 절감량 Toe/년 16,011 19,100 절감액 백만원/년 4,545 5,900 투자비 백만원/년 11,800 13,100 투자회수기간 년 2.6 2.2 CO2 절감량 Tc/년 13,273 15.833 33

  14. 에너지 개선_ 폐가스보일러 • 폐가스 회수 보일러 설치 • ○ 개요 • + 공정중의 폐가스를 회수하여 보일러 연료 사용 • + 환경문제(불꽃, 소음. CO2 3 Ton/Hr) 개선 • + 에너지비용 절감 (10,364 TOE절감) • + 특허 출원중 • . 폐가스를 연료로 하는 완전연소 시스템 • (출원번호 10-2000-0024399) • ○ 공사기간 : 1998.8월 - 1999.9월 • ○ 투자비 : 약70억 (ESCO 자금 활용) • ○ 절 감 액 : 30억/년 34

  15. 에너지 개선_ 폐가스보일러 • 개선전 불꽃, 소음, 검은연기 발생 Plant 1 에틸렌 계열 배출가스 Plant 2 일산화탄소 계열 배출가스 Flare Stack Plant 3 수소 계열 배출가스 잉여수소 배출가스 Plant 4 35

  16. 에너지 개선_ 폐가스보일러 • 개선후 불꽃, 소음, 검은연기 제거 Plant 1 에틸렌 계열 배출가스 3개 streams Flare Stack 일산화탄소 계열 배출가스 2개 streams Plant 2 Buffer Tank 수소 계열 배출가스 3개 streams 폐열보일러 Plant 3 잉여수소 배출가스 Plant 4 Boiler Start 용 LNG 36

  17. 에너지 개선_ 폐가스보일러 • 폐가스 회수 보일러 Scheme 개선전 개선후 37

  18. 38

  19. 2. 에너지 개선_ 폐열보일러 • 프로젝트 추진시 주요문제점 • 사내 및 합작사로 부터의 기술적용에 대한 부정적 시각 • 신규 설비(폐보일러) Trouble 발생시 공장 전체 안정성 확보 • 국내외적으로 기술적용 상업화 사례 없음 (최초시도) • 부식성 가수로 인한 연소시스템 설비 안정성 확보 • 다 종류의 배출가스를 다양한 운전조건에서 안정적 연소기술 • 공장비상정지시의 기존보일러와의 자동 부하조정 시스템. • 다량의 수소 단독연소 • 투자에 따른 수익성 보장여부 39

  20. 2. 에너지 개선_ 폐열보일러 • 주요 핵심 기술 • 각각 배출가스별로 Buffer Tank에 회수후 안정적으로 특수하게 제작된 4개의 버너에 연소시킴으로 환경문제 해결. • 부식성가스의 다량유입시 자동차단장치 도입 • 배출가스 유입시 자동연소공기 제어시스템 도입 • 고순도 수소 단독 및 혼소 기술 획득 • 기존 보일러와의 자동부하시스템 확보 • 국내최초 고순도 가스를 이용 고압스팀 50 Ton/Hr 생산능력확보. 40

  21. 2. 에너지 개선_ 폐열보일러 • 성과 분석 • 유형효과 :에너지 비용 절감 30 억/년 • 무형효과 • + 환경문제 해결 • + 이산화 탄소 배출량 저감(4.9Ton/Hr-총배출량의 15% 저감)에 따른 • 지구 온난화 정책에 자발적 참여 • + 안정 가동 : 스팀의 공급원을 다양화함으로서 Utility의 안정적 공급 가능 • (기존 보일러 가동정지시 스팀 대체 공급) • +독자 기술력 확보 및 특허출원 공정배출가스 활용에 대한 독자적인 설계 • 능력 보유 42

  22. 수소 계열 LNG, 잉여수소 에틸렌 계열 일산화탄소 계열 43

  23. 감사 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