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3

8 강 . 혁명의 진행과정 2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시대사 2013 년 1 학기. 8 강 . 혁명의 진행과정 2. 2013 년도 1 학기 백인호. 2. 민중혁명. 1. 전쟁과 공화정. 혁명의 절정 (1793~1794). 2. 2. 민중혁명. 1791 년 바렌느 사건 , 샹 - 드 - 마르스의 발포사건 , 제헌의회의 종언. 루이 16 세는 왕국의 새로운 조직을 마지못해 받아들임 1791 년 3 월 혁명에 대한 교황의 비난이 루이 16 세를 움직임 1791 년 6 월 20 일 국왕의 도주 실패

watson
Download Presentation

8 강 . 혁명의 진행과정 2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시대사 2013년 1학기 8강. 혁명의 진행과정 2 2013년도 1학기 백인호

  2. 2. 민중혁명 1 전쟁과 공화정 혁명의 절정(1793~1794) 2

  3. 2. 민중혁명 1791년 바렌느 사건, 샹-드-마르스의 발포사건, 제헌의회의 종언 • 루이 16세는 왕국의 새로운 조직을 마지못해 받아들임 • 1791년 3월 혁명에 대한 교황의 비난이 루이 16세를 움직임 • 1791년 6월 20일 국왕의 도주 실패 • 파리의 충격은 컸고 국왕은 적대적 분위기에서 귀환→ 공화정 주장 확산

  4. 2. 민중혁명 의회의 왕권 정지, 자체 분열 • 국왕 폐위 세력에 맞서 특권파와 온건파 의원들에 의해 국왕의 권한반환 • 이 결정은 다시 민중 소요를 야기 • 애국파의 분열과 국민들의 국왕 불신 • 1791년 9월, 루이 16세가 새로운 헌법에 선서한 한편, 파리에서는 새로운 선거로 새로운 대표 선출

  5. 2. 민중혁명 전쟁과 공화정 혁명의 절정(1793~1794)

  6. 1. 전쟁과 공화정 • 입법회의의 선전포고 • 상황의 악화 • 패배가 긴장을 증폭시킴 • 위기에 처한 조국, 1792년 8월 10일 봉기 • 제 1차 공포정치와 발미의 승리 • 국민공회의 공화정선포 • 포위당한 지롱드파 • 지롱드파의 몰락

  7. 입법의회 • 1791년 10월 1일, 재산 제한선거제로 뽑힌 • 새로운 대표들은 입법회의 과업에 착수 우파 : 온건파, 페이양파 좌파 : 다혈질의 웅변가 • 브리소파는 중도파의 지지를 받았고, • 나중에 지롱드파라고불림

  8. 1791년 입법의회의 구성

  9. 상황의 악화 • 도시 : 물가의 급등이 여러 사건 유발 • 지방 : 반혁명적 소요가 일어남 • 외국 군주들: 루이16세에게 유대감 표시 • 모두가 전쟁을 원하는 상황 • 1792 3월 루이16세는 지롱드파인롤랑과뒤무리에장군을 입각시킴 • 1792년 4월 20일 국왕의 지시에 따라 의회는 오스트리아 황제인 프란츠2세에 대한 선전포고안을 열광적으로 통과 시킴 이리하여 혁명은 중요한 국면전환을 맞이하게 되었다 • 의원들, 페이양파, 지롱드파, 루이16세

  10. 1792-1794혁명전쟁

  11. 패배가 긴장을 증폭시킴 1 2 4 6 오스트리아, 프로이센과 전쟁돌입 국내 경제위기 발생 도시에 쌍뀔로뜨 운동 형성 프랑스 군대가 격심하게 해체됨 3 1792년 봄, 공정가격제 시행을 요구하는 도시민중소요 5 이들이 파리 48개 구의 제 1차 선거인단의 정치생활을 독점적으로 장악

  12. 패배가 긴장을 증폭시킴 7 9 지롱드파 의원들의 단호한 대처 상퀼로트들이 튈르리 궁으로 침입, 국왕의 거부권 행사에 항의했으나 실패 • 거부파사제들의 추방 • 루이16세 친위대의 해산 • 파리에 2만 명의 국민방위대 창설 8 6월 12일, 국왕은 거부권을 행사하고 지롱드파 대신들을 해임

  13. 위기에 처한 조국 • 의회는 조국이 위기에 처했다고 선언하고 애국운동을 불러일으킴:젊은이들의 군대 자원, 지방 연맹군 상경 • 브룬슈비크공작은 망명귀족의 요청에 따라 협박내용의 선언 공표 • 파리에 알려진 브룬슈비크공작의 선언은 정반대의 효과 초래 • 프로이센군이 동부전선에 집결 루이16세의 폐위 요구 청원 증가 7월 7.11. 7.25. 8.1. 1 프랑스는 침입의 위기를 맞음

  14. 위기에 처한 조국 2 4 민중이 보기에 국왕은 외국인의 공범자 입법의회는 사건에 대한 통제력 상실 3 소요 사태가 극으로 치달음

  15. 1792년 8월10일 민중혁명

  16. 위기에 처한 조국 6 7 수 천명의 파리 시민들이 튈르리 궁으로 몰려감 1792년 8월 9~10일 밤, 48개 구의 대표자들은 새로운 시 자치제 구성 5 8 이후 사태를 주도한 세력: 상퀼로트, 자코뱅파, 코르들리에파, 지방에서 온 연맹군이 장악한 파리의 48개 구 군중의 압력으로 루이 16세의 권한을 정지시키고, 6인 임시 내각을 새로 만들고, 국민공회를 보통선거를 통해 구성할 것을 받아들임

  17. 1792년 파리 48개 sectioin 섹션

  18. 제 1차 공포정치와 발미의 승리 2 3 파리 군중들은 탄압의 조치를 요구 유혈사태, 국경의 나쁜 소식들, 특권계급의 음모와 배반에 대한 강박관념이 불안을 증폭시킴 • 제 1차 공포정치의 출현ex) 왕당파 신문의 폐간, 징집과 공정가격제실시, 가택수색, 500여명의 혐의자 체포 1 4 8월 10일 사건으로 400명 이상 사망 입법의회는 거부파 사제의 추방, 예배의 금지, 이혼의 허용들을 규정하는 법령을 통과시킴

  19. 제 1차 공포정치와 발미의 승리 5 6 7 10 혁명의 급진화 8월 19일 프로이센군의 국경 돌파 파리 코뮌이 총동원령 촉구 프랑스 군대가 격심하게 해체됨 8 9월 2일 수 백명의 파리 시민들이 입대 자원, 이들은 입대 전 반역자 숙청을 결정 9 11 그 결과 1792년 9월 2~6일 사이에 1000~ 1400명의 수감자들이 즉결재판을 받고 학살됨 9월 20일에 발미의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의 침입 저지

  20. 국민공회의 공화정 선포 1 새 의회에 새 헌법을 기초하고 임시적으로 나라를 다스릴 책무가 부여됨 2 국민공회는 보통선서로 뽑혀서 1792년 9월에 파리로 소집됨 (기권율 高) 3 산악파 의원들이 뽑힌 파리는 구두로 투표 4 1792년 9월 21일 국민공회는 군주제를 폐지하고 22일에 공화정 선포

  21. 국민공회(La Convention Nationale)의 구성

  22. 포위당한 지롱드파 1 발미의 승리 이후 국민공회는 프랑스군 에게 국경을 넘도록 명령함 2 의원들은 혁명적 낭만주의에 사로잡힘 3 1792년 11월 국민공회가 국왕을 재판 →1793년 1월 21일 루이 16세 처형 4 국왕의 처형은 유럽 군주들을 격분시킴 5 유럽 군주들은 대불동맹을 결성, 반격 6 1793년 3월 10일 방데 반란 발발 7 지롱드파에게 군사적 패배와 반란은 중대한 실패를 의미하며 갈수록 더욱 고립됨

  23. 루이16세 재판과 처형

  24. 혁명력2년의 민중협회 분포도

  25. 지롱드파의 몰락 • 1793년 3~4월 상퀼로트와평원파의지지를 받은 산악파는 국민공회의 공공안녕의 독재적 조치들을 처음으로 부과하는데 성공함 • 4월 6일, 공안위원회 구성 • 지롱드파의 권력의 재장악시도 → 실패많은 지롱드파 인사들이 몸을 숨겼고 일부는 처형됨

  26. 지롱드파 대표인물 작크피에르브리소/마담 롤랑

  27. 지롱드파의 처형/ 지롱드파의 최후 만찬

  28. 2. 민중혁명 전쟁과 공화정 혁명의 절정(1793~1794)

  29. 산악파의 독재 1 1793년 7월 공안위원회 재조직 2 로베스피에르의 부상 3 1793년 6월 24일 국민공회는 매우 민주적인 새로운 헌법을 통과시키나 시행 연기. 따라서 국민공회는 점차 독재적이고 중앙 집권적인 혁명정부로 변모 4 1793년 8월, 의회의 국민총동원령

  30. 방데와 슈앙당의 반혁명 반란 방데와슈앙당의 반혁명 반란

  31. 공포정치와 덕성 1 상퀼로트의 압력은 수그러들지 않음 2 1793년 9월 5일 격렬한 봉기는 공안위원회와 국민공회로 하여금 격앙파의 두 가지 기본 요구사항인 공정가격제와 공포정치의 설정을 만족시키게 함 3 통제경제의 등장: 최고가격제의 법령화 4 5 보안위원회의 설치 1794년 6월 10일 법령통과와 함께 대공포정치의 시작-종교적 차원을 지님

  32. 1793년의 위기

  33. 혁명력 2년의 비기독교화의 강도

  34. 국민공회의 승리, 분열,몰락 1 1793년 말부터 나타난 회복의 조짐 2 국경에서 군기를 회복한 프랑스군은 침입을 저지 3 이러한 회복의 징후는 공안의원회와 산악파의 정치적 입지를 정당화 4 관용파는 에베르파 및 격앙파와 대립 5 파리 코뮌은 공안의원회의 통제아래 놓게 되었고 4월부터 경제적 자유화가 윤곽을 드러냄

  35. 국민공회의 승리,분열,몰락 6 국민공회는 숙청의 강박관념에 빠짐 7 평원파와 산악파 의원들이 로베스삐에르를 비판하고 그의 독재를 고발 8 공안위원회 내부에서도 비판을 받게 된 로베스삐에르 9 결국 1794년 7월 28일 로베스삐에르 처형

  36. 3. 부르주아 공화국(1794~1799년) 1 테르미도르파의 국민공회 시소게임 총재정부 불안정한 체제 보나파르트의 부상 2 3 4 5

  37. 3. 부르주아 공화국(1794~1799년) 테르미도르파의 국민공회 시소게임 총재정부 불안정한 체제 보나파르트의 부상

  38. 1. 테르미도르파의 국민공회 • 열월 9일은 오래 지속될 썰물의 시작 • 국민공회는 로베스피에르의 몰락 이후 에도 15개월을 살아 남음 • 여론은 테르미도르파에게 유화의 조치를 취하도록 압력을 가함 혁명적이고 민중적인 흐름 소진 왕당파의 반대가 재등장 광범위한 사회층이 질서를 열망

  39. 1. 테르미도르파의 국민공회 • 1794년 8월 초, 국민공회는 혐의자들을 석방함 • 단두대로부터 살아남은 사람들은 자유를 회복하자마자 무도회와 축제에 탐닉 • 방탕의 분위기가 혁명의 말미를 잡음 • 젊은이들로 구성된 새로운 우파 귀공자 청년대가 부상하여 자코뱅파 추적

  40. 1. 테르미도르파의 국민공회 • 1794년 9월, 카리에가 낭트에서 명령 한 익사형이 알려지면서 체포되었고, 이 사건은 자코뱅파에 대한 불신을 일으킴 • 남부에서 자코뱅파 학살 벌어짐 • 온건파의 부상 • 테르미도르파는 왕당파와 협상을 벌임 • 1795년 라조네 조약 체결 • 테르미도르파와 외국의 협상

  41. 3. 부르주아 공화국(1794~1799년) 테르미도르파의 국민공회 시소게임 총재정부 불안정한 체제 보나파르트의 부상

  42. 2. 시소게임 • 1794년 12월 국민공회의 최고가격제 폐지 • 1795년 5월 20일, 교외 지구의 민중이 빵과 93년의 헌법을 요구하며 국민공회에 침입, 3일간의 소요 끝에 군대는 질서를 회복함 • 1795년 5월 20~23일의 사건은 혁명기 최후의 민중봉기: 이후로 국민방위대는 부르주아로만 구성 • 좌파의 위협이 배제되자 이번에는 우파로부터 위협이 나타남: 왕당파의 흐름이 다시 등장 • 1795년 10월 5일 왕당파의 봉기 • 왕당주의의 부활로 인해 테르미도르파의반자코뱅적 열정도 식어감

  43. 3. 부르주아 공화국(1794~1799년) 테르미도르파의 국민공회 시소게임 총재정부 불안정한 체제 보나파르트의 부상

  44. 3. 총재정부 • 테르미도르파는 사실상 새로운 헌법을 기초했으며, 그 헌법은 1795년 10월부터 효력을 발생함 • 1차 총재정부:1795년11월-1797년 9월4-5일 • 2차 총재정부:1797년 9월6일-1799년11월 9일 • 신체제인 총재정부는 스스로 온건파이기를 희망 • 총재정부는 소유권을 옹호하고 명사층에 의지했으며 자코뱅적인 민중과 왕당파의 위협을 똑같이 경계함

  45. 3. 총재정부 • 투표 : 재산제한, 간접선거, 비밀선거 • 선거인들은 의원을 지명했고 의원은 매년 ⅓을 개선 • 500인 의회는 법을 발의하고 원로원은 이를 채택 • 양원제와 권력분립 원칙의 도입 • 총재정부를 지배한 정치가들: 온건파, 지롱드파, 산악파 출신의 경험이 풍부한 사람들

  46. 3. 부르주아 공화국(1794~1799년) 테르미도르파의 국민공회 시소게임 총재정부 불안정한 체제 보나파르트의 부상

  47. 4. 불안정한 체제 • 아시냐 화폐의 폐지 • 1797년 9월 30일 총재정부는 ⅔의 파산을 통해 국채의 ⅓만을 인정 • 가혹한 시절 : 재정적 위기는 공공 업무를 무너뜨림 • 군대는 여전히 장비가 좋지 못했고 탈영의 위기를 겪고 있었음 • 소수의 벼락부자와 기아에 허덕이는 도시 서민 사이의 사회적 대조가 뚜렷함

  48. 4. 불안정한 체제 • 여론은 지치고 곧 총재정부 체제를 경멸하게 됨 • 군대가 정치적 충돌의 중재자가 되었고, 위협이 좌나 우로부터 다시 나타남에 따라 여러 번 쿠데타가 발생 • 점차 군대가 자신의 힘을 느끼게 되면서 권력을 갈망하게 됨 • 군대는 그들이 경멸하는 총재에 비해 사령관에게 훨씬 더 충성함

  49. 3. 부르주아 공화국(1794~1799년) 테르미도르파의 국민공회 시소게임 총재정부 불안정한 체제 보나파르트의 부상

  50. 5. 보나파르트의 부상 • 1795년 봄, 제 1차 대불동맹이와해되었으나 영국과 오스트리아는 프랑스에 대한 전쟁을 계속함 • 이런 상황에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라 는 장군의 지휘 아래 북부 이탈리아에서 승리 • 보나파르트는 총독처럼 행세하여오스트리아와 유리한 캄포포르미오조약 체결(1797년 10월)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