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8

언어 지식

언어 지식. 2002-2 인지과학 입문. I. 언어학 일반. 언어 지식의 연구 인지과학에서의 언어학 : 언어 지식이 마음에 어떻게 표상되어 있으며 , 어떻게 습득되고 , 어떻게 지각되고 사용되는가 , 그리고 다른 인지 분야와는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연구 . 2) 언어란 ? :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종의 물리적 신호들 ( 소리 , 제스쳐 , 문자 등 ) 의 체계. 3) 언어 능력과 언어 수행 (1) 언어 능력 (linguistic competence)

Download Presentation

언어 지식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언어 지식 2002-2 인지과학 입문

  2. I. 언어학 일반 • 언어 지식의 연구 • 인지과학에서의 언어학 : 언어 지식이 마음에 어떻게 표상되어 있으며, 어떻게 습득되고, 어떻게 지각되고 사용되는가, 그리고 다른 인지 분야와는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연구. 2) 언어란? :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종의 물리적 신호들(소리, 제스쳐, 문자 등)의 체계

  3. 3) 언어 능력과 언어 수행 (1) 언어 능력 (linguistic competence) : 언어의 구성 원리에 대한 지식. a. 나는 축구에 관심이 있다. b. * 있다. 관심이 나는 축구에. c. 나는 영화가 보고 싶다. d. * 아버지는 영화가 보고 싶다.  뇌 속에 잠재한 무의식적 언어 지식.

  4. - 언어의 문법성에 대한 판단 - 언어의 동의성에 대한 판단 e. 나는 영화가 보고 싶다. f. 나는 영화를 보고 싶다. - 언어의 중의성에 대한 판단 g. 나는 철수와 영호를 때려 주었다. h. Mary was reading the letter to her husband. - 무한한 문장의 생성/이해  언어 지식은 규칙과 원리로 구성된다는 가설. 이 언어 지식을 ‘문법(grammar)’이라.

  5. (2) 언어 수행 (linguistic performance) : 실제로 언어를 사용하는 것. 잦은 오류, 빈번한 생략 (3) 언어학에서 일차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것은 ‘언어 능력’. 언어 수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기본이 되는 언어 능력을 먼저 이해해야 되기 때문. 언어학자는 내면화된 인간의 언어 지식을 설명해 주는 언어 규칙을 찾음.

  6. 2. 언어 지식 • 음운론 (phonology) : 언어에 사용되는 소리의 체계와 규칙 2) 형태론 (morphology) : 단어 형성에 관한 체계와 규칙 3) 통사론 (syntax) : 단어들이 문장을 이루는 규칙 4) 의미론 (semantics) : 단어, 문장의 의미 5) 화용론 (pragmatics) : 언어 사용상의 의미

  7. II. 생성 문법 • 유아의 언어 습득 • 심한 정신 장애가 있거나 사회에서 고립된 상태가 아니면, 모든 유아들은 만3세 정도가 되면 모국어의 문법을 거의 완벽하게 구사함. • 유아의 언어 학습 환경은 불완전. 체계성 없고 오류도 많은 언어 표현에 노출됨. • 의식적인 모국어 교육은 없음.

  8.  인간은 말을 하고자 하는 본능과 함께 선천적으로 언어 구조에 대한 선험적 지식을 가지고 태어남.  N. Chomsky는 이러한 인간의 언어 지식을 universal grammar라 하였고, 이를 찾아내는 것이 언어학자의 일이라 생각함.

  9. A B B B A A A … 2. 언어의 생성력 • 인간이 듣고 발화하는 문장은 무한함. • 언어 지식은 규칙의 집합을 포함하며, 이는 유한한 체계임. • 재귀성(recursiveness) : 유한으로 무한 만들기. A  B A

  10. 3. 통사 구조 • 문장의 계층 구조 a. (((개)(가)) (((고양이)(를)) ((물)(었)(다)))). b.수형도(tree-diagram, 구절표지) S(entence) : 문장 N(oun) P(hrase) : 명사구 V(erb) P(hrase) : 동사구 S(ubject) M(arker) : 주어 표지 O(bject) M(arker) : 목적어 표지 V(erb) : 동사 V(erb) s(tem) : 동사 어간 N(oun) : 명사 T(ense) : 시제 S(entence) E(nding) : 어말 어미

  11. S VP NP V N SM NP N OM Vs T SE 개 가 고양이 를 물 었 다

  12. 2) 구절구조 규칙 (phrase structure rule) : 문장을 이루는 직접 성분들의 형성 규칙을 다시쓰기 규칙(rewrite rule)으로 표현함. a. 해가 뜬다. b. 철수가 노래를 불렀다. c. 철수가 어떤 아이에게 책을 주었다. S  NP VP VP  (NP) (NP) V NP  (Det) N

  13. 3) 어휘 삽입 규칙 (1) 구절구조 규칙에 의해 만들어진 통사 구조에 적절한 형태소들을 삽입시켜 완전한 수형도를 만드는 규칙. (2) 형태소가 가지는 통사 자질(syntactic feature)와 구절구조 규칙이 생성해 낸 어휘 삽입전 구조 끝 부분의 통사 범주가 일치할 때 적용됨. (3) 문장의 심층구조 (deep structure) 형성.

  14. S VP NP V Det N NP NP 구절구조 규칙 Det N N Vs T SE Past Dec ---------------------------------- 이 신사 저 학생 책 보내 었 다 어휘 삽입 규칙

  15. 4) 변형 규칙 (1) 심층구조-표면구조 분리 필요성 : 다음과 같은 문장들의 의미적 동일성 a. 이 신사가 저 학생에게 책을 보냈다. b. 이 신사가 책을 저 학생에게 보냈다. c. 저 학생에게 이 신사가 책을 보냈다. d. 저 학생에게 책을 이 신사가 보냈다. e. 책을 이 신사가 저 학생에게 보냈다. f. 책을 저 학생에게 이 신사가 보냈다.

  16. 구절구조 규칙 어휘삽입 전 구조 어휘삽입 규칙 심층 구조 변형 규칙 표면 구조 (2) 문장의 형성

  17. (3) 변형의 종류 - 이동변형 (movement transformation) : 목적어 이동 규칙, 수동 변형 규칙, Wh-이동 규칙 등.

  18. - 삽입 변형 (insertion transformation) : 수형도에 새로운 언어 표현을 도입하는 변형 규칙. 주어표지 삽입, 목적어표지 삽입 등.

  19. S S VP NP VP NP NP V V NP NP NP 순경 이 도둑놈 을 잡 았다 순경 도둑놈 잡 았다

  20. - 탈락 변형 (deletion transformation) : 같은 언어 표현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요소는 탈락시킴. 동일동사구 탈락 규칙, 동일명사구 탈락 규칙 등. a. John will see Mary, and Bill will see Mary, too. a’. John will see Mary, and Bill will, too. b. 그 학생은 철수가 미국에 가기를 원한다. b’. 그 학생은 (그 학생이) 미국에 가기를 원한다.

  21. III. 의미 연구 • 의미에 대한 여러 주장들 • 지시 의미론: 지시(reference)- 어휘와 대상(물) 간의 관계. 지시의 전형적인 예- 한정 명사구, 고유명사, 대명사 등 • 종합 의미론: 지시와 의의(sense)로 설명. ex. the morning star – the evening star 지시로 보면 같은 의미. 그러나 의의로는 다른 의미. • 진리조건적 의미론: 지시 의미론에 입각하여 만든 형식주의적 의미론. 명제가 실재 세상과 합일하면 true, 않으면 false.

  22. 4) 심리주의 의미론: 지시 의미론은 상징과 지시 사이의 객관적, 직접적 관계만을 고려하는 데 비해 심리 의미론은 사람의 생각(thought, image, idea)까지 고려. 5) 화용 의미론: 비트겐슈타인 등의 철학자들의 영향. 의미란 그 말이 쓰인 맥락(context)에 따라 달라짐. 쓰이는 상황과 시간을 고려. 사용(use)에 바탕을 둠.

  23. 2. 어휘의 의미 • 의미장 (semantic field) (1) 어휘 가운데 의미상 서로 긴밀히 관련된 단어들이 모여 의미장을 이룸. (2) 어휘 안에서 특정 분야가 나뉘고 분류되고 조직되어 각 단어는 이웃 단어들을 한정시키고 또한 스스로 이웃 단어들에 의해 한정됨. (3) 독일어의 지식개념 분야 어휘의 예. wisheit: wisdom(현대)/보편적(1200)/ 종교적, 신비적 경험(1300) kunst: art/ 궁정적, 기사적 소양/ 예술 list: cunning/ 평민적 기술/ 없어짐, wizzen 도입, 지식 의미.

  24. 2) 상하 관계 (1) 상위 개념/ 하위 개념 ex. 동물-새-카나리아 (2) 상위 개념으로 갈수록 외연(extension, 주어진 상황에서 언어 표현이 지시하는 대상)이 커지고, 하위 개념으로 갈수록 내포(intension, 가능한 상황 모두에서 언어 표현이 가리킬 수 있는 대상 전체의 개념적 의미)가 상세해 짐.

  25. 3) 성분 분석/ 자질 분석 ex. 총각: [사람], [남자], [결혼 적령에 있음], [결혼한 적이 없음]

  26. 3. 문장의 의미 • 합성성(compositionality)의 원리 : 어휘 의미를 바탕으로 이들을 합성해서 문장의 의미를 형성함. 2) 동의성(synonymy)과 중의성(ambiguity) : a. It is obvious that horses like water. a’. That horses like water is obvious. b. 영희는 순이보다 철수를 더 좋아한다.

  27. 3) 전제(presupposition)와 함의(entailment) : a. 그 여자는 미국 남자와 결혼한 것을 후회했다. a’. 그 여자는 (자기가) 미국 남자와 결혼했다고 우겼다. b. 영희가 그 토끼를 죽였다. c. 그 토끼는 죽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