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8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변화와 Open Access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변화와 Open Access.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최 재 황 2004. 11. 19. Institutional Repositories. SPARC. 과학기술 학회마을. dCollection. Disciplinary Repositories. arXiv. Self-Archiving. 전 체 목 차. 1.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2. 새로운 출판문화의 등장. 3. Open Access 개요 및 Journals. 4. Open Access Repositories.

zenda
Download Presentation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변화와 Open Access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변화와 Open Access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최 재 황 2004. 11. 19 Institutional Repositories SPARC 과학기술 학회마을 dCollection Disciplinary Repositories arXiv Self-Archiving

  2. 전 체 목 차 1.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2. 새로운 출판문화의 등장 3. Open Access 개요 및 Journals 4. Open Access Repositories 5. OAI 프로토콜의 발전 6. 요약 및 논의

  3. 1.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학술지의 기원 학술지의 특징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위기 • 상업출판사의 개입 • 학술지 가격의 상승 • OFT(Office of Fair Trading) Report

  4. 학술지의 기원 • 최초의 학술지 • (영국)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in 1665, by Henry Oldenburg • (프랑스) Le Journal des Savants, in 1665, by Denys de Sallo • 목적 • to communicate laboratory experiment results and inventions in physics, chemistry, and anatomy

  5. 학술지의 특징 • 정보생산자와 이용자가 동일 • 정보생산자의 두 부류 • 이윤(money) 추구 • 출판물 판매를 통한 이윤 • 저작권 보호 요구 • 효과(impact) 추구 • 지식발전에 기여 • employment, research fund, promotion, tenure, prizes • 개인의 명성획득 • 저작권의 보호보다 광범위한 이용이 주목적 • Scholars write for impact, not for money!!

  6. Web인터페이스 Web인터페이스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이 용 소화 및 응용 새로운 지식의 발견 pre-print 작성 및 유통 동료간 평가 (peer-review) 검 색 pre-print 수정 이용자의 정보요구 조직 및 저장 도 서 관 출 판 최종 논문

  7.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위기(1/3) • 상업출판사의 개입 • 개입 시기 • 1960-1970 • 원인 • 미국 고등교육기관의 증가 • 연구활동 증가 • 학회 자체출판으로는 수용 불가 • 결과 • 상업출판사가 사업기회 포착 • 연구결과의 독점성을 시장경제 논리에 도입 • 상업출판사간 합병을 통한 시장 독점 • 학술지 가격상승 도서관의 학술지 구독취소 학술지 가격상승 도서관의 학술지 구독취소 • 기관은 생산과 구독을 위한 중복비용 지출

  8.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위기(2/3) • 학술지 가격의 상승 • ARL 통계 • http://www.arl.org/stats/arlstat/graphs/2003/monser03.pdf • Serial Costs in ARL Libraries, 1986-2003 • CPI(소비자 물가지수): +68% • Serial Expenditures: +260% • Serial Unit Cost: +215% • Serial Purchased: +14%

  9.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위기(3/3) • OFT(Office of Fair Trading) Report • The Scientist, vol. 16, no. 21 (2002.10. 28) • 평균 소비자 물가를 상회하는 학술지가격의 증가 • 상업출판사와 비상업출판사간 학술지가격의 큰 차이 • 상업출판사의 STM(과학,기술,의학)분야에 대한 높은 마진 • 대규모 상업출판사의 학술지 묶음 판매(bundling)로 인한 소규모 출판사의 시장진입 방해

  10. 2. 새로운 출판문화의 등장 SPARC PLoS 과학기술 학회마을 BOAI

  11. SPARC(1/5) • 개요 • Scholarly Publishing & Academic Resources Coalition • 1998년 6월 발족 http://www.arl.org/sparc • “..to correct market dysfunctions in the scholarly publication (communication) system” • 활동 • 소규모 출판사에게 기술지원을 통해 전자잡지의 출판유도(incubation) • STM분야의 대규모 출판사와 경쟁유도 • 교수, 연구자, 사서, 출판 편집위원에게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위기’고취(campaign) • Create Change, Gaining Independence

  12. SPARC(2/5) • SPARC 대안학술지의 예 SPARC, American Institute of Biological Sciences, Univ. of Kansas, Big 12 Plus Libraries Consortium, Allen Press http://www.evolutionary -ecology.com http://www.maths. warwick.ac.uk/agt http://www.bioone.org

  13. SPARC(3/5) From Rick Johnson Presentation @CURL/JISC/SCONUL Meeting with SPARC

  14. SPARC(4/5) • Create Change Campaign • 대상 • Academic community • librarians, faculty, administrators • http://www.createchange.org • Declaring Independence Campaign • 대상 • editorial boards of high-priced commercial journals • http://www.arl.org/sparc/di

  15. SPARC(5/5) • 성과 • 상업출판사의 독점적 가격 설정에 제동 • 학술지의 질(impact factor) 향상 • Organic Letter (SPARC 저널): 3.367 • Tetrahedron Letter (Elsevier): 2.558 • 고가 상업학술지의 편집위원직 사임 • SPARC 대안학술지 지원

  16. http://www.plos.org PLoS(1/2) • 개요 • Public Library of Science • a coalition of research scientists dedicated to making the world’s scientific and medical literature a public resource • 2000년 10월 발족 • PLoS Initiative –‘Open Letter’ • 과학기술분야 출판사의 출판물을 “free online public libraries of science”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촉구하는 open letter를 전세계 과학자들에게 발송 • 현재 180개국 34,000여명의 과학자들이 동의

  17. PLoS(2/2) • 출판물 • PLoS Biology • 2003년 10월 13일 창간(online and in print) • PLoS Medicine • 2004년 10월 19일 창간(online and in print)

  18. 과학기술 학회마을 http://society.kisti.re.kr • 개요 • 과학기술분야 국내 학회학술지의 원문제공 • KISTI가1996년 4개 학술지로부터 시작 • 현재 230여 개 국내 학회로부터 650여종의 과학기술분야 학술지 통합검색 및 원문제공 • 논문투고 관리시스템(ACOMS)의 무상보급 • 논문투고 과정의 자동화 • 전자저널 구축의 자동화 • 학회 전자도서관의 자동 구축 • 학술지 보급시간의 단축

  19. BOAI(1/2) • OSI(Open Society Institute) Meeting in Budapest • 2001년 12월 1-2일 • “… to accelerate progress in the international effort to make research articles in all academic fields freely available on the internet” • http://www.soros.org/openaccess • OSI는 금융가이면서도 자선사업가인 George Soros가 창립 • 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 (Budapest 선언) • 2002년 2월 14일 공표

  20. BOAI(2/2) • BOAI Recommends two strategies • Open Access Journals •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저널의 창간 • 출판사에게 자사 출판물에 대한 자유 접근 장려 • Self-Archiving • 저자본인에 의한 심사 후의 연구논문 저장 • institutional/disciplinary repositories • repositories간 자료교환을 위한 표준프로토콜 준수 • $3M grant from George Soros

  21. 3. Open Access 개요 및 Journals Open Access의 발생배경 Open Access의 정의 Open Access의 특징 Open Access Journals 정의 DOAJ PubMed Central(PMC) BioMed Central(BMC)

  22. Open Access의 발생배경 • 현재의 상황 • 상업출판사가 연구논문의 저작권 소유 • 학술지 가격의 상승 • 학술지 구입의 어려움 발생(inaccessible) • 모든 연구논문 저자의 희망 • 인터넷을 통한 모든 분야, 모든 논문의 상호연결 및 접근(accessible) From Les Carr Presentation @ ALPSP/OSI meeting

  23. Open Access의 정의(1/2) • “free and unrestricted online availability on the public Internet” • “the free availability of peer-reviewed literature on the public Internet, permitting any user to read, download, copy, distribute, print, search, or link to the full texts of the articles”

  24. Open Access의 정의(2/2) • 인터넷 이용 • 무료 • No subscription, no license fees • No price barriers to access(No 접근비용) • 저작권자의 사전 동의 • unrestricted reading, downloading, copying, sharing, storing, printing, searching, linking • No permission barriers to access(No 접근장벽)

  25. Open Access의 특징 • 학술연구 결과물의 자유로운 이용이 주목적 • 전통적인 구독기반 출판모델의 대안으로써 등장 • 연구와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저작물에 적용 • 보상을 목적으로 하는 저작물에는 미적용 • 현재의 저작권법 테두리 안에서 적용 • 독자에게는 무료지만, 출판을 위한 비용은 필요 • 출판비용 해결을 위한 다양한 모델 출현 • Article processing fee: $1,500(미국물리학회), $500(PLoS) • Institutional membership: 저자가 속해있는 기관이 비용 부담 • Pay-per-view 방식 • 외부재원, 광고수입 등 • 논문심사제 채택

  26. Open Access Journals • 정의 • Journals which are freely available online worldwide and do not rely upon the traditional subscription based business model to generate revenue • Journals that use a funding model that does not charge readers or their institutions for access

  27. DOAJ • 개요 •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 2003년 발족 • “A one stop shop for users to Open Access Journals” • 현황(2004년 10월) • 1,345 Journals in the Directory • 61,037 articles in the DOAJ service

  28. PubMed Central(PMC) http://www.pubmedcentral.nih.gov • 개요 • 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산하 NLM(National Library of Mecidine)의 free digital archive • in biomedical and life sciences • 2000. 2, 2종(PNAS & MBC)의 학술지로 서비스 시작 • 현재 82종의 학술지 서비스 • 내용 • 주요 저널을 PMC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출판사 설득 • 많은 출판사들이 반대입장 견지 • 출판사의 수입감소를 고려하여 6-12개월 유예기간 허용 • BioMed Central에서 출판되는 모든 저널에 대한 Service • ‘PubMed’, ‘BioMed Central’은 ‘PubMed Central’과 별개

  29. BioMed Central(BMC) http://www.biomedcentral.com • 개요 • BioMed Central은 상업출판사 • 회원간 구독기반 체계 유지 • 80+ peer reviewed journals in biology and medicine • 2002년 7월부터 open access 출판정책 실시 • PubMed Central에서 이용 가능 • 비회원도 접근 가능 • 저자, 기관이 출판비용 부담 • 저자: $500(표준) • 기관: $1,500(작은 기관)에서 $7,500(큰 기관) • 기관이 납부할 경우 기관 내의 개인은 무료 • OSI는 개발도상국의 기관회비 납부 지원

  30. 4. Open Access Repositories Disciplinary Repositories Institutional Repositories

  31. Disciplinary Repositories • 특정 또는 관련학문분야의 연구정보를 수집, 축적, 제공하는 인터넷 상의 저장소 • arXiv • CogPrint • NCSTRL • RePEc • E-Print Network • E-LIS • NetPrint • PhilSci Archive

  32. arXiv • e-print archive ? • electronic distribution servers • 저자: 이메일, WWW을 통해논문 제출 • 독자: 이메일, WWW을 통해논문 검색 • 개요 • 1991년 Los Alamos National Lap의 P. Ginsparg 박사가 e-mail archive 방식으로 처음 시작 • hep-th@xxx.lanl.gov라는 이메일 사용 • 현재는 Cornell 대학이 운영 • 목적 • 물리학 및 관련분야pre-print의 자유접근 • 학술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시간 단축 • 논문접수, 저장, 이용 과정을 자동화 • 전통적인 학술지와 기존관계 유지 • pre-print: e-print archive에 • final version: 기존 학술지에 • http://www.arxiv.org • http://kr.arxiv.org

  33. http://cogprints.ecs.soton.ac.uk http://ncstrl.org CogPrint, NCSTRL • CogPrints • an electronic archive for self-archive papers that are pertinent to the study of cognition. • NCSTRL • Networked Computer ScienceTechnical Reference Library

  34. http://www.repec.org http://www.osti.gov/eprints http://eprints.rclis.org RePEc, E-Print Network, E-LIS • RePEc • Research Papers in Economics • E-Print Network • Energy, science and technology • E-LIS •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5. NetPrint, PhilSci Archive • NetPrint • Clinical Medicine and health http://intl-clinmed.netprints.org • PhilSci Archive • Philosophy of Science http://philsci-archive.pitt.edu

  36. Institutional Repositories • 대학교 또는 기관내에서 생산된 연구정보를 수집, 축적, 제공하는 인터넷 상의 저장소 • eScholarship • SHERPA • DSpace • dCollection

  37. http://repositories.cdlib.org/escholarship http://www.sherpa.ac.uk eScholarlyship, SHERPA • eScholarship • Univ. California units, centers, or departments • 약 100개 기관 • SHERPA • UK 5 Universities (Nottingham, Edinburgh, Glasgow, Oxford, Leeds and Sheffield) + BL, AHDS(Arts and Humanities Data Service) • JISC의 14개 FAIR 프로그램 중 하나 • ePrints UK, TARDIS, ROMEO… • Nov. 2002 – Nov. 2005 • £2 Million investment

  38. https://dspace.mit.edu DSpace • DSpace • MIT communities(학과, 연구소, 기관 등) • 14개 기관 • “MIT has developed free software, called DSpace, that colleges and universities can use to set up superarchives. About 125 universities have done so…”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April 9, 2004 http://chronicle.com/free/2004/04/2004040901n.htm

  39. dCollection • dCollection • “국가 지식정보 생성 및 유통체계” • KERIS가 정보통신부 지식정보자원 관리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 4개 대학 + 5개 교육 유관기관 (2003년) • 부산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충남대 • KERIS,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6개 대학추가 (2004년 예정) http://www.dcollection.net

  40. 5. OAI 프로토콜의 발전 OAI의 정의 OAI-PMH의 역사 OAI-PMH의 정의 OAI-PMH의 운용 OAI-PMH의 운용 예

  41. http://www.openarchives.org Open Archives Initiative -다양한 아카이브의 콘텐트에 접근 가능 -프로토콜에 개방 -상호운용성 지원 - 프로젝트 또는 전문적인 활동 -디지털콘텐트의 저장소 -disciplinary/institutional repositories -핵심개념: self-archiving OAI의 정의(1/2)

  42. OAI의 정의(2/2) • OAI is an initiative to develop and promote interoperability standards that aim to facilitate the efficient dissemination of content. • “When archives conform to standards created by the OAI, search engines and other tools can treat the separate archives as one. Users then need not know which archives exist or where they are located in order to find and make use of their contents.” • OAI는 각종 상호운용성 표준을 개발하고 보급 • 대표적인 상호운용성 표준이 OAI-PMH (Protocol for Metadata Harvesting)

  43. OAI-PMH의 역사 • 1999년 10월(Santa Fe, New Mexico) • 메타데이터 하베스팅에 기반한 산타페 규약 발표 • arXiv, Cogprints, RePEc 등을 대상으로 한 UPS(Universal Preprint Service) 기반 • To “optimize the discovery of e-prints” • 2001년 1월(Washington DC) • OAI-PMH 버전 1.0 발표 • A new focus to facilitate the discovery of “document-like objects” • 2002년 6월(Cornell Univ.) • OAI-PMH 버전 2.0 발표 • “the recurrent exchange of metadata about resources between systems”

  44. OAI-PMH의 정의 • Metadata harvesting을 위한 프로토콜 •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간 상호운용성 보장 • 6개의 명령어로 DP(Data Provider)와 SP(Service Provider)간 커뮤니케이션 수행 • DP: makes metadata available for harvesting • SP: harvest metadata

  45. SP의 요청 HTTP의 GET 또는 POST 명령어 사용 DP의 응답 XML로 인코딩 Requests (based on HTTP) Metadata Metadata (Resources) „Service” Metadata (encoded in XML) Harvester Repository Service Provider Data Provider OAI-PMH의 운용

  46. OAI-PMH의 운용 예

  47. 6. 요약 및 논의 •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변화는 open access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진행 • 학술지 고비용 구조 개선 • 학술자원 접근성 제고 • 학술유통 시간 단축 • 실제적인 대안모델의 구현 • Open Access Journals • Open Access Repositories • OAI-PMH 사용 •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변화는 대학, 기관, 국가, 국제적 차원에서 진행 • 우리나라의 경우 KISTI, KERIS를 중심으로 접근 • 과학기술 학회마을(KISTI) • dCollection(KERIS)

  48. 감사합니다 최 재 황, Ph.D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조교수 choi@knu.ac.kr (053) 950-5240 Q & A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