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likes | 1.06k Views
신개념 광역교통수단 도입 관련 해외출장 결과 보고. 1. 연수개요. 2. 영국 CROSSRAIL. 3. 프랑스 RER. 4. 러시아 MOSCOW METRO. 5. 연수결과 시사점. ◇연수개요. 연수목적. 『 수도권 신개념 광역교통수단 도입방안 연구용역 』 에 해외 구축 사례 연수 및 도입방안 마련 및 정책 수립 대도시권 택지개발과 연계한 효율적인 철도망 구축 방안 마련. 연수분야. 선진국 대도시권 교통정책과 철도망 구축사례
E N D
신개념 광역교통수단 도입 관련 해외출장 결과 보고 1. 연수개요 2. 영국 CROSSRAIL 3. 프랑스 RER 4. 러시아 MOSCOW METRO 5. 연수결과 시사점
◇연수개요 연수목적 • 『수도권 신개념 광역교통수단 도입방안 연구용역』에 해외 구축 사례 연수 및 도입방안 마련 및 정책 수립 • 대도시권 택지개발과 연계한 효율적인 철도망 구축 방안 마련 연수분야 • 선진국 대도시권 교통정책과 철도망 구축사례 • 급행철도 운행과 타 교통수단과의 연계 구축사례 및 역세권 개발 사례 • 해외 철도 사업의 재원조달 실태와 개발사업과의 연계방안 사례 연수 일정 • 기 간 : ’08. 9. 1(월) ~ ’08. 9.11(목) • 지 역 : 프랑스(파리), 영국(런던), 러시아(모스크바)
영국 CROSSRAIL 개 요 • 노 선 • -메이든해드~애비우드 • 운행속도 : 지상 : 160km/h • 터널 : 96km/h • 개통년도 : 2017년 • 수송계획 • - 오전 첨두시 160,000명 이상 • ※ 런던권 출퇴근 철도 분담률 : 약 75% 건설 배경 및 목적 • 영국 남동부와 런던지역을 잇는 철도노선으로 영국 사상 최대 인프라 사업 • 런던의 지하철 수용 능력 7% 상승 예상 • 최대 지하 60m 계획으로 기존 철도노선 하부 통과 건설 ⇒ 환기 등 문제 해결방안 제시 활용 • 민관공동투자 방식 추진 중 영국 철도(고심도) 노선 ⇒ 심도 20m 내외, 쉴드터널 공법 • 센트럴선 (연장 74㎞, 역사 수 49), 메트로폴리탄선 (연장 41.5㎞, 역사 수 34) • 피카딜리선 (연장 71㎞, 역사 수 52), 워터루앤드시티선(연장 2.5㎞, 역사 수 2) • ※ 피카드리역 약30~35m
영국(런던) 역 환승시스템 Crossrail 방문 • 런던시 동서와 남북을 잇는 광역철도 계획 • 철도계획 및 건설에 대한 자료 수집 • 역사 환승 체계 및 동선 조사 철도세미나 급행열차 역사 • 임페리얼대학에서 철도 세미나 • 주요국가의 도시철도 운영현황 비교 및 경기도 도입 방안 • 급행열차 역사 답사
프랑스 RER 개 요 • 노 선 : 총 5개 노선(LINE A~E) • - 파리를 중심으로 각 노선별로 약 50~100km 운행 • - 총 연장 587km, 정류장 257개소 • 운행형태 : 주요거점 및 환승역 정차 • 평균역간거리 : 2.3km(1.7~2.7km) • 첨두시격 : 2.5분~5분 • 평균표정속도 : 53 km/h • - 최근 건설된 E선은 71km/h로 운영 • ※ 파리권 출퇴근 철도 분담률 : 약 77% RER 운행 특성 • RER 노선은 도심반경 6㎞이내 구간에서는 역간거리 2~3㎞로 건설되었고 그 외 지역에서는 더 길게 • 설치되어 표정속도 50㎞/h 이상을 유지함(RER A, B, C, D 노선 공통적으로 해당함 • RER은 일부구간에서 선택정차방식(Skip & Stop)으로 운행함 • METRO는 시내교통을 담당하는 도시철도로 철도차량의 크기가 적지만, RER은 광역교통을 담당하는 • 도시철도로 철도차량의 크기가 크며, 특히 RER A호선은 2층으로 되어 있는 다량수송용 열차를 • 사용하고 있음
프랑스(파리) RFF 방문 북역 시찰 • 광역철도이 건설 배경 및 목적 , 신설계획 등 면담 • 재원조달 방법 및 향후 철도 계획 등 자료 수집 • METRO, RER, 유럽행 열차가 운행하는 역사 • 환승체계 및 역사 개발 자료 수집 TRAM 시승 라데팡스 • TRAM 노선 시승 및 환승체계 조사 • 라데팡스 지역의 도로 교통체계 • 신도시 개발과 연계된 교통체계 구축 방안 모색
러시아 MOSCOW Metro 개 요 • 노 선 : 총 12개 노선 • - 총 연장 292.9km, 역사 176개소, 환승역사 62개소 • - 최장노선 41.2km Sepukhovsko-Timiryazevskaya • 운행형태 : 주요거점 및 환승역 정차 • 평균역간거리 : 1.7km(0.5~6.6km) • 최단첨두시격 : 1.5분 • 평균표정속도 : 41.62 km/h 주요 특성 • 1935년 개통, 매년 10km씩 130km 추가 계획, 세계에서 2위의 운영실적 • 도시승객의 57%가 이용, 평일최대 9백만명의 시민이 이용 • 대심도 역사(Park Pobedy) 운영 ⇒ 환기 및 방제 문제의 기술적 해결 가능성 확보 • 유럽에서 가장 긴 에스컬레이터가 있음 (126m, 740계단, 3분 소요) • ※ 상트 페테브르크 모스크바역 54m, 핀란드역 63m
러시아(모스크바) 대심도 승강장 대심도 승강장 • 대심도 역사 답사 및 환승체계 조사 • 대심도 철도 에스컬레이터(Ploshchad Revolyutsii 역) 대심도 출입구 철도 시승 • 요금 징수 시스템 시찰 • 대심도 철도 시승을 통한 대심도 도입 가능성 검토
Ⅲ연수결과 시사점 철도 중심의 간선 교통망 계획 수도권의 속도 경쟁력 확보 대심도 급행전철노선의 필요성ㆍ 가능성 검토 철도사업의 민자투자 적극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