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likes | 1.15k Views
폐 전지 재활용 기술. 9조 진식 & 형주. 목차. 1. 목적 2. 1차 전지 3. 2차 전지 4. 국내외 기술수준 5.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및 전망 6. 기술활용범위 7. 고찰. 1. 목적. 일반매립 및 소각. 전지내 금속성분 및 전해액유출 가스 발생 으로 인한 환경오염방지. 2. 1차 전지. : 방전한 후 충전에 의해 본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는 전지
E N D
폐 전지 재활용 기술 9조 진식 & 형주
목차 • 1. 목적 • 2. 1차 전지 • 3. 2차 전지 • 4. 국내외 기술수준 • 5.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및 전망 • 6. 기술활용범위 • 7. 고찰
1. 목적 일반매립 및 소각 전지내 금속성분 및 전해액유출 가스 발생 으로 인한 환경오염방지
2. 1차 전지 : 방전한 후 충전에 의해 본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는 전지 (대표적 전지-망간 건전지)
3. 2차 전지 :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대표적 전지-납축전지) *최근 알칼리 축전지가 널리 보급
4. 국내외 기술수준 • 1)망간,알칼리망간전지 일본(이토무가광업소) 600-800도 회전식 배소로 (수은을기화) 응 축 기 (응축) 재증류 (고순도수은 얻음) 폐 전 지 회 수
일본(스미토모 중기계공업) <아연> 기화,응축 하여 아연금소 으로부터 회수 700도에서 수은을 기화,응측 시켜 분리 수직형 샤프트 위에 투입 폐 전 지 1500도 의 용융로 <망간> 페로망간 으로부터 회수
2)수은전지 • 종류-원통형,단추형 등(수은함량 약30%) <MRT system,Bethlehem Mercury system> 폐 전 지 진공로 (수은 전부기화) Afterburner (유기물질 연소) 응축기 (수은회수)
3)산화은전지 • <건식침출법> 동 양극판 으로 주조 동제련 전로에 동 스크랩과 같이 투입 폐산화 은전지 용해 (조동) 전해법 으로 동 정련 양극 슬라임 발생 은회수
습식침출법 잔 사 Czse,탄소, 가스켓 등 Crude Hg 전해액 폐산화 은전지 증 류 침 출 여 과 잔 사 NaCl 용 액 Ag, Fe, Ni,Zn등 여 과 HNO3 AgCl 폐액 Fe,Ni,Zn NaOH 환원제 (포도당) Ag분말
5. 국내외기술개발 동향및전망 • 1) 망간 및 알칼리 망간전지 재활용 • 2) 리듐 이온전지 재활용 • 3) 함 수은 폐전지 재활용 • 4) 니켈-카드뮴 폐전지 재활용
1) 망간 및 알칼리 망간전지 <프랑스 Zimaval회사> 폐전지 물리적 선 별 알칼리 침출법 (아연) 전기화학적 환원 (아연분말) 황산 침출법 (망간침출) 회 수 (황산망간사용)
2) 리듐 이온전지 재활용 <일본 소니&스미도모 금속광산> 소각 처리 (유기물 제거) 철,동 성분을 분리 남은 분말 산침출 용매추출법 (코발트성분 분리 및 회수)
3) 함 수은 폐전지 재활용 • 기존 공정 : 증류법으로 수은을 기화, 응축시켜 회수 - 대기오염 발생 배가스중의 수은을 활성탄으로 흡착 습식법으로 수은 용해 전기화학적 환원법과 용매 추출법 폐수중 수은 회수
4) 니켈-카드뮴 폐전지 재활용 <이탈리아 Texeco Eng> 산침출 (유가금속 침출) 물리적 파쇄 및 선별 Cyanex272 추출제 (코발트 분리) 용매추출법 (카드뮴, 철분리 회수)
6. 기술활용 범위 • 1) 망간 • 2) 아연 • 3) 은 • 4) 코발트 • 5) 니켈
1)망간사용처 망간 제철제강산업(90%) 30% - 제철,제강의 기능향상 70% - 합금소재 건전지산업 - 1차전지원료 비철금속합금산업 기타(용접봉 등)
2) 아연 사용처 • 아연 철강재료의 방식피복용 • 합금재 • 용융점이 낮아 다름금속과 쉽게합금 • Cu,Al 첨가해서 우수한 합금 얻음 • 기타
3) 은 사용처 • 은 사진감광제(질산은)-은최대사용처 • 가공재, 장신구 등 • 전기, 전자분야 • 4) 코발트 • 코발트 자석의 원료, • 공구 및 다이캐스팅에 사용
5) 니켈 니켈 가공성 –판, 봉, 선, 관 내식성 –화학공업용 재료, 내열재료, 자성재료 국내에선 스텐레스강 제조에 수요의 89% 사용
고찰 아직까지 재활용기술이 상용화된것이 많이 없다. 위 방법들이 개발된다면 분명 환경 오염을 많이 줄일수 있을것이다.
즐거운 방학 보내세요 THE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