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likes | 228 Views
일본의 주요 통상관계 1. 국제통상관계론 2013. 1. 일본의 무역. 1. 수출입추이 —p.31 쪽 참조 2011 년 수출 : 8200 억달러 수입 : 8530 억달러 , 무역수지 : -323 억달러 2012 년 수출 : 8013 억달러 수입 : 8886 억달러 , 무역수지 : -873 억달러 2013.1-8 수출 :4771 억달러 수입 :5501 억달러 , 무역수지 :-730 억달러 1980 년 수출 :1267 억달러 , 수입 :1246 억달러 무역수지 :21 억 2500 만달러 흑자
E N D
일본의주요 통상관계 1 국제통상관계론 2013
1.일본의 무역 • 1.수출입추이—p.31쪽 참조 • 2011년 수출:8200억달러 • 수입:8530억달러, 무역수지: -323억달러 • 2012년 수출: 8013억달러 • 수입: 8886억달러, 무역수지: -873억달러 • 2013.1-8 수출:4771억달러 • 수입:5501억달러,무역수지:-730억달러 • 1980년 수출:1267억달러, 수입:1246억달러 • 무역수지:21억2500만달러 흑자 • 2004년 무역수지 1000억달러 초과
1.일본의무역 • 2.수출상대국(10위) • 1990: 미국,독일,한국,대만,홍콩,영국,싱가포르,타이,호주,카나다 • 2009년부터 중국이 1위로 부상,중국비중이 증가경향 • 2012:중국,미국,한국,대만,타이,홍콩,싱가포르,독일,인도네시아,호주의 순서 • *수출중 화교국가비중, 화인경제권 • 3.수출상품(p.32) • (1)대세계 • (2)국별: 선진국/개도국
2.대외직접투자 • (1)지역별(2011년말 잔고기준) P.33 • 미국, 유럽,중국,아세안,기타 • (2)시기별 직접투자 • 1960-70년대:경공업,아시아,일본내∙외 경제상황 • 1980년대:ANIEs, ASEAN • 1990년대:미국과 무역마찰,유럽통합.자동차 등 • 2000년대:중국경제의 고도성장,WTO가입,ASEAN • 2011년 3월11일 동일본 대지진 이후 전년대비 약 2배인 1157억달러, 2012년1/4분기 2.3배 증가한 229억달러로 급등. • 지역별 투자특징:중국, ASEAN, 한국(p.40,41,42,43)
3.일본의 FTA정책 • (1)일본의 FTA추진 현황 • (2)한일비교: p.21 • (3)한미FTA발효 이후 일본의 동향 • 한미FTA:2007.4 1차협상→2010.12 2차협상타결→2012.3.15 발효(p.22-) • 일본의 동향: 기업;①한 • ②미 • ③N • 정부; 미일FTA(?),TPP가입 • TPP 가입추진:미국주도,아베정권(2012.12.26발족)출범 이후 TPP가입을 결정. 13.8.22 TPP교섭 각료회의에 처음 참가.*참가국(p.20 참조)
4.미일경제관계 (1)최근의 미일관계 일반—이하 p.50-54 (2)미일동맹관계 (3)미일경제관계 추이 *일본입장에서 미국의 중요성 *미국입장에서 일본의 중요성 (4)미일관계 현황과 전망 *일본입장 *미국입장
5.한일관계 • (1) 경쟁관계 • P.45 <표21>미국시장에서 한,일의 상품경쟁, p.49 • P.48 한국의 산업고도화, 수출상품 고도화에 따라 일본과의 경합분야가 증가. 일본의 경계감 증가 • (2) 보완관계—p.40-44 • 한국산업의 초기: 한국의 대일기술도입 • 일본의 대한직접투자 • 한일무역구조:부품,소재, 중간재 무역이 중심. • 최근 한국의 대일수출 증가(40-41). 최근 일본의 대한투자 증가(4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