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likes | 639 Views
지진이 우리나라의 옛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 여러가지 주제를 떠올려보다가 요즘 전세계적으 로 일어나고 있는 지진에 대해 서 흥미가 생겨서 이런 주제를 선정하 게 되었다. 탐구 주제. 또한 옛날에도 우리나라에 지진이 일어났음으 로 과연 조상들은 지진에 어떻 게 대비하여 건물을 건축했을지 궁금하여서 선정하였다. 탐구동기. 탐구 내용. * 내진설계의 구조와 각각의 차이점 * 지진의 발생원인 * 조선시대 지진 발생 사례 * 최근 우리나라의 지진발생 사례및 강도
E N D
지진이 우리나라의 옛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 여러가지 주제를 떠올려보다가 요즘 전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지진에 대해서 흥미가 생겨서 이런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탐구 주제 또한 옛날에도 우리나라에 지진이 일어났음으로 과연 조상들은 지진에 어떻게 대비하여 건물을 건축했을지 궁금하여서 선정하였다. 탐구동기
탐구 내용 *내진설계의 구조와 각각의 차이점 *지진의 발생원인 *조선시대 지진 발생 사례 *최근 우리나라의 지진발생 사례및 강도 *옛 건축물중 주변에 인접한 화성을 중심으로 관찰 *옛 건축물이 자연재해를 생각하지않고 지었다면 보존하기위한 방법 *만약 옛 건축물이 자연재해에 대비되어있다면 어느정도까지 보호할수 있을까
탐구 방법 *인터넷을 이용한 지진의 기본자료 참고 *화성을 직접 방문 건축물 구조 이해및 관련기관 문의 *건축물 모형을 만들어 자연재해와 비슷한 환경을 적용
지진이 발생하는 원인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여러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중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곳은 지구의 표면 즉, 지각인 암석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각은 커다란 널빤지 처럼 편평한 1장의 판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마치 모자이크 처럼 여러개의 판들이 서로 붙어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판들은 지구 내부에서 작용하는 여러가지 힘으로 인해서 아주 조금씩 움직입니다. 이렇게 커다란 판의 움직임의로 인해서 지진이 일어나게 됩니다. 물론 판들의 움직임 때문에 땅이 직접적으로 흔들리는것은 아닙니다. 판이 움직이는 정도는 우리가 느낄수 없을 정도로 작지만 판들이 맞닿는 부분(모자이크의 경계선과 같은곳)에서는 작은 움직임으로도 큰 마찰이 생기고 이로 인해서 큰 진동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판 중에서도 얇은 부분에서는 틈이 생겨 용암이 솟구쳐 올라 화산 활동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조선시대 우리나라 지진사례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중종대인 16세기 초반 큰 지진이 일어났다. 조광조가 신진 사림파의 핵심으로 등장하여 개혁정치가 저극 추진되던 1518년(중종13) 5월 15일의 일이었다. 실록에서는 당시 지진 발생이 매우 심각했음을 기록하고 있다. 내용:유시에(오후6시경) 세 차례 크게 지진이 있었다. 그소리가 마치 성난 우레소리처럼 커서 인마가 모두 피하고, 담장과 집들이 무너지고,성첩이 떨어져서 도성 안사람들이 모두 놀라 안색을 잃고 어찌할 바를 몰랐다. 밤새도록 노숙하며 제 집으로 들어가지 못하니,고로들이 모두 옛날에는 없던 일이라 하였다. 팔도가 다 마찬가지였다. 1392년부터 1863년까지 472년간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지진 건수는 무려 1900여 건에 이른다. 대략 1년에 4회꼴로 이전시대보다는 지진의 빈도가 훨씬 높다. 이것은 조선시대에 지진 발생이 비약적으로 증가했다기보다는 지진에 대한 관측이 정밀해지고 보고 체계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실록을 편찬할때는 사관들이 쓴 사초와 함께 각 관청의 업무 일지인 시정기를 참고하였는데 , 시정기인 관상감일기에 기록된 지진 관련 내용이 실록에 포함되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출처:조선시대 지진의 발생과 대응: 글쓴이신병주 *건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최근 우리나라 지진사례 1978~1997에 일어난 지진을 보자면 약 18건으로 경상남도, 강원도 서해,황해도 지역에서 주로 발생되었다.
내진설계에 대하여 내진 설계란 지진에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의 내구성을 말한다. 지진이 일어나면 상하진동보다 좌우진동이 일어나므로 이런 수평진동을 견디게 건축물 내부의 가로축을 튼튼하게 만들어 건축물을 강화하는 것이다. 건물 내부구조를 <ㄴ>,<T>자형으로 설계하거나 벽면에 각종 보강 설비를 갖추는 것은 지진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한 과정이다.
내진설계 방법 1 3 물탱크 2 땅 철골지주대 맨 아래쪽에 바퀴를 달고 타원형의 철판을 대준다. 물탱크가 건물 위에서 무게 중심을 잡아준다. 건물이 기울어질때 기울어진 사선줄이 느슨에지면 둥근추가 폭발하면서 건물의 무게중심이 반대편으로 이동한다.
옛 건축물(화성)건축방법 우리나라 조상들이 예전부터 지진에 어느정도 대비하여서 건물을 지었다는 것이 증명된다.
탐구 과정 여러가지 내진 설계 방법 중에서 철골지주대 맨 아래쪽에바퀴를 달고 타원형의 철판을 대는 방법으로 실험을 하였다. 우선 아빠의 도움을 받아서 타원형의 철판과 철골지주대를 준비하였고, 엄마와 직접 화성 박물관을 갔을때 기념품관에서 사온 팔달문 모형도 준비하였다. 그후에 우드락을 이용하여 실제로 지하에 설치된 내진 설계처럼 만들었다. 그래서 우리 옛 건축물인 화성의 사대문중 팔달문에 실제로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내진설계를 도입하였다.
탐구결과와 알게된 사실 우리나라 옛건물에 최근에 이용되는 내진설계를 도입하여 보았더니 왠만한 지진에는 버틸수 있을것 같았지만 강한 지진이 일어난다면 견딜 수 없을것 같았다. 그런데 알아보니 이러한 내진설계는 우리나라에서 알아낸 것이 아니라 일본이나 미국에서 알아낸것을 우리나라에 도입하여서 쓰고있는것이였다. 아무리 우리나라가 지진발생률이 낮은 나라라지만 그래도 언제 지진이 일어날지 모르니 우리나라도 연구를 더 많이해서 더 낳은 내진설계를 할 수 있게되면 좋겠다. 느낀점 가능하다면 우리나라 옛 건축물들의 모습을 파괴시키지 않고 내진설계를 할 수 있게되어서 강한 지진이 우리나라에 일어나도 현재 건물들과 옛 건축물들 모두 아무이상이 없도록 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