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likes | 519 Views
생명과학분야 특성화 추진현황. 경상대학교. 2004. 8. 31. 경 상 대 학 교. 1948『 진주농과대학 』 으로 개교 1980 종합대학교로 승격 11 개 단과대학 , 7 개 대학원 재적생 : 24,619 명 교직원 : 1,279 명 경남을 대표하는 거점 국립대학. 서울. (1 시간 ). 대전. 대구. (1 시간반 ). 부산. 진주. 광주. 제주. 보 고 순 서. 생명과학분야 특성화 배경 생명과학분야 특성화 추진과정 대학차원에서의 특성화 지원전략 특성화 추진성과
E N D
생명과학분야특성화 추진현황 경상대학교 2004. 8. 31.
경 상 대 학 교 • 1948『 진주농과대학』으로 개교 • 1980 종합대학교로 승격 • 11개 단과대학, 7개 대학원 • 재적생 : 24,619명 • 교직원 : 1,279명 • 경남을 대표하는 거점 국립대학 서울 (1시간) 대전 대구 (1시간반) 부산 진주 광주 제주
보 고 순 서 • 생명과학분야 특성화 배경 • 생명과학분야 특성화 추진과정 • 대학차원에서의 특성화 지원전략 • 특성화 추진성과 • 세계적인 수준으로의 도약을 위한 향후전략
생명과학분야 특성화 배경 생명과학(BT)산업은 • 21세기를 선도할 기술집약형 고부가가치 산업 • 2012 생명과학산업 세계시장규모 2,300억불 • 고급연구인력 확보가 필수적인 산업 • IT, NT, ET, CT, ST와 함께 미래전략산업 경상대학교는 • 1948년 진주농과대학으로 출발 • 현재 11개 단과대학중 5개 대학이 생명과학 관련 • 의대, 수의대, 자연대, 농생대, 해양과학대 • 생명과학분야 우수 인력 확보 • 교수 : 200여명, 학부생 1,350명, 대학원생 280명 생명과학의 학문적 특성 • 끈기, 인내심, 성실성이 요구되는 학문 • 지방 국립대학 학생들이 장점을 갖는 학문분야
생명과학분야 특성화 추진과정 1983 국내 최초로 유전공학연구소 설립 • 5개 단과대학에 분산된 연구인력 결집, 중점연구과제 도출, 공동연구 수행, 기기공동 활용을 목표로 설립 • 교육부 특성화연구소 지정 • 기기구입비 $150만 지원 (OECF 차관) • 특성화연구소 연구비 5년간 20억원 지원 1990 한국과학재단지정 우수연구센터(SRC)선정 • 연구의 국제경쟁력 강화 및 고급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최초의 대형 장기간 R&D사업 • 사업 1차년도에 생명과학분야 3곳 선정(서울대, 건국대, 경상대) • 연간 10억원씩 9년간 90억원 지원(1990~1998) • 9년간 사업실적 최우수 SRC로 평가(과학기술부)
1999 교육부 BK21 『세계적 대학원 육성사업단』선정 • 세계적 수준의 석·박사급 고급 연구인력 양성사업 • 지방 국립대학중 유일하게 선정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KAIST, 포항공대, 아주대,경상대 • 연간 13억원씩 7년간 91억원 지원(1999~2005) 2003 과학기술부 지정 국가핵심기술연구센터(NCRC)선정 • 세계적인 연구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기획된 대표적인 대학지원 R&D사업 • 2003년 사업 1차년도에 전국에서 2곳 선정 • 경상대 『환경생명과학연구센터』, 서울대 『Nano응용시스템연구센터』 • 연간 30억원씩 7년간 210억원 지원
대학차원에서의 특성화 지원전략 선택과 집중을 통한 연구 인프라 구축 • 생명과학 연구동 건립 (4,340평, 약 100억원) • 특성화 연구소에 전임 연구교수 지원 • 한국과학재단 지정 SRC : 7명 • 과학기술부 지정 NCRC : 6명(예정) • 공동실험실습관을 통한 최첨단 고가 기기구입 지원 • 199종, 224점(128억원) 경쟁과 인센티브를 통한 연구의욕 고취 • 연구성과에 따른 연구비 차등지원 (2~3배) • 교수 신규채용 및 승진요건 대폭 강화 • SCI등재 국제학술지 발표 논문 3편이상
배출인력(석·박사)의 국제경쟁력 강화 • 박사학위 논문 SCI등재 국제학술지(IF5.0이상) 등재 의무화 • 외국어 구사능력 강화 • TOEFL 550점 이상, 세미나, 논문발표 영어사용 • 실험실습 교육강화 • 최첨단 기기사용을 위한 워크숍 개최 등 세계적 대학 및 연구소와 국제협력 강화지원 • 국제 공동연구 추진 • 독일 Max-Planck연구소, 미국 Scripps연구소(현지 Lab 설치) • 이스라엘 Weizman연구소, 미국 Ohio주립대 • 연구원 및 대학원생의 국제교류 활성화 • 국제공동심포지움 개최 지원 • 독일 Max-Planck연구소와 1992년부터 매2년마다 교차개최 연구성과의 산업화 지원 • 연구성과의 특허출원비 지원 • 특허취득 연구성과의 산업화 지원
특성화 추진성과 연 구 성 과 • 세계 Top학술지에 논문발표 • 최근 10년간 Cell, Nature, Science 등 30여종에 300여편 • 최근 5년간 국내에서 Cell에 발표된 총 5편중 2편, Nature에 발표된 총 7편중 2편 경상대학교에서 발표 • 국내·외 특허 30여건 출원 및 취득 • 생명과학분야 각종 학술상 수상 • 제7회 한국과학상(2002), 금호생명과학상(1998), 경남과학기술대상(2003)
인력양성 성과 • 최근 5년간 배출된 박사 40여명 중 30여명이 세계 최고수준의 연구소 및 대학으로 진출 • Harvard, MIT, Stanford, Yale, Columbia, UC-Berkeley, NIH, Max-Planck 등 • 박사학위논문 Nature에 국내 최초 발표(2001년, 김민철) • Cell에 표지논문 발표(2003년, 허원도) • 국내 최초로 박사과정 학생이 Cell에 논문 발표(2004년, 장호희) • 허원도 박사, Stanford대학 약리학교실 조교수임용예정
연구결과의 산업화 및 산학협력 성과 • 벤처기업 창업 • ㈜아미코젠(신용철 교수), 다국적기업 『N사』로부터 200억원 기술판매 제의 • ㈜HK바이오텍 (하영래 교수), 매출 8억원/년 • ㈜바이오허브 (김희규 교수), 매출 6억원/년 • 산업자원부 지정 Bio21센터 진주시 유치지원 • 연구동 및 벤처창업동 건축(산자부에서 134억원 지원) • ㈜장생도라지 등 14개 Bio벤처 입주 • Bio센터 인근 10만평의 바이오밸리 조성중 • 경상남도 Bio 벤처플라자 진주시 유치지원 • Bio 산업을 경상남도 미래 핵심전략산업으로 육성 • 국비 및 지방비 293억원 투입 (바이오벤처동, 비임상시험대행기관 건립, 2008완공) • 기술개발, 기업 및 인력양성 지원(5년간 438억원 투자)
세계적인 수준으로의 도약을 위한 향후 전략 당초 목표 제1단계(1983~1995) 관련분야 국내 최상위권 진입 제2단계(1996~2005) 미국 상위권 주립대학 수준 도달 제3단계(2006~2015) 관련분야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 • 창원대학과의 통합을 통한 특성화 • 진주캠퍼스 : 의·생명과학의 메카로 도약 • 창원캠퍼스 : 공학계열의 메카로 육성 • 학부생 정원의 대폭적인 감축(42학과 중복)과 교수대 학생비율 하향조정 • 한의과대학, 약학대학 유치로 명실상부한 의·생명과학의 메카로 특성화 희망 • 연구성과의 산업화에 의한 재정적 자립기반 구축 • 세계적인 석학 초빙(경상남도 지원의지) 및 스타교수 육성 생명과학분야 국내 Top3 대학 식물생명과학분야 미국 상위권 주립대학 수준 현 주소 향후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