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likes | 471 Views
전환사채의 이해 ( 마지막 남은 재테크 블루오션 ). 1. 전환사채의 이해. 1. ▷ 전환사채 (CB, Convertible Bond). 발행기업이 장기 자본조달 수단의 일종으로 자본시장에서 확정이자율부 보통사채를 발행할 때 미리 정해진 일정한 조건 ( 전환가격 등 ) 에 따라 일정 시점 ( 전환가능 시점 ) 에 발행회사 주식으로 전환하여 취득할 수 있는 권리 ( 전환권 ) 을 부여한 사채 채권과 주식의 양면적 속성을 가지는 일종의 합성증권으로서
E N D
전환사채의 이해 (마지막 남은 재테크 블루오션)
1. 전환사채의 이해 1 ▷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 • 발행기업이 장기 자본조달 수단의 일종으로 자본시장에서 확정이자율부 보통사채를 발행할 때 • 미리 정해진 일정한 조건(전환가격 등)에 따라 일정 시점(전환가능 시점)에 발행회사 주식으로 • 전환하여 취득할 수 있는 권리(전환권)을 부여한 사채 • 채권과 주식의 양면적 속성을 가지는 일종의 합성증권으로서 • - 투자자는 해당기업 주가 상승시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 - 주가하락 시에는 고정금리 채권의 안정성을 대신 누릴 수 있는 유리한 금융상품임. • 전환사채의 채권적 특성은 확정이자를 지급하는 점과 만기시 정해진 만기상환율이 있다는 것, • 그리고 부도의 위험이 상존하며 일반적으로 부채상환 우선순위는 일반사채와 동일하며 • 후순위 전환사채의 경우는 뒤로 밀린다(주식투자자들보다는 우선 변제권을 갖음) • - 주식으로서의 특성은 주식으로 전환권을 행사할 때 발생하게 됨 • ※채권의 안정적인 수익과 주식의 잠재적인 성장성을 동시에 취할 수 있는 투자대상임.
1. 전환사채의 이해 2 ▷ 전환사채의 성공사례 • 2001년 봄 당시 현대건설은 법정관리 상태였으며, 2001년 만기가 돌아오는 • 전환사채(178회와 187회)는 액면가 1만원의 4,000원대에서 거래됨. • L씨는 5,000만원을 투자해서 전환사채를 취득하였으며, • 그해 가을 채권가격이 상승하면서 8,000원이 되었고 연말에는 12,000원이 넘음 • → L씨는 12,000원에 매도하여 200% 수익률을 거둠. 현대건설 전환사채 • 평소 동양종금증권 주식이 싸다고 생각한 큰손 A씨는 전환사채(’05.4) 5억 투자 • - 표면금리(매년 지급하는 금리) 연 5.5%, 원금 만기(6년)상환률 118.16% • - 주식전환가격 5,500원 • 채권은 상장후 5% 프리미엄 발생, ’06년 4월말 주가 14,000원 이상 형성됨 • → 큰손 A씨는 프리미엄이 16,000원 넘는 시점에 매도하여 160% 수익률 거둠 • (5억원 투자하여 8억원 벌어들임) 동양종금증권 전환사채
1. 전환사채의 이해 3 ▷ 전환사채 수익률 순위
2. 채권용어 따라잡기 4 전종목 시세 발행정보 5 6 4 2 9 3 7 1 8
2. 채권용어 따라잡기 표면금리 표면금리 1 1 보장수익률 (만기보장수익률) 만기상환률 보장수익률 (만기보장수익률) 2 3 2 5 • 매년 받을 수 있는 금리(이자) : 연 3~4%의 표면금리라면 양호한 수준 • (흥국쌍용화재 전환사채의 표면금리 연 7.5%로 은행1년 정기예금의 2배 정도) • 만기까지 채권을 팔지 않고 보유할 경우 받을 수 있는 금리 • : 보장수익률이 9.72%라면 연 9.72%의 이자를 확보 • → 전환사채는 무보증채권으로 보증보험이나 예금보험공사의 도움을 기대할 수 없음 • → 기업의 신용도를 고려한 전환사채를 고려해야 함. • 만기까지 채권을 팔지 않고 보유할 경우 받을 수 있는 금리 • : 보장수익률이 9.72%라면 연 9.72%의 이자를 확보 • → 전환사채는 무보증채권으로 보증보험이나 예금보험공사의 도움을 기대할 수 없음 • → 기업의 신용도를 고려한 전환사채를 고려해야 함. • 만기에 한꺼번에 받을 수 있는 금리와 원금의 합계 • ( 보장수익률-표면금리)*만기+알파(복리이자 감안) • - 동양메이저의 경우 (9.72%-1.00%)*3년 = 26.16%의 이자에다 복리이자분 • 2.17%를 더하여 28.83%를 받음 • - 실제 투자수익률은 “표면금리(마지막해 이자 제외)+만기상환률”임. • 총 30.8%로 연평균 수익률이 연 10%가 넘는 고수익 채권
2. 채권용어 따라잡기 전환가격 채권가격 패리티 (PARITY) 4 5 6 6 • 주식으로 전환(매수)할 수 있는 가격 • - 동양메이저의 경우 전환가는 5,229으로 주식 현재가가 7,925원이라고 하면 • 주식시장에서 1주당 7,925원주고 사야 하는데 전환사채보유자는 5,229원만 주면 • 한 주를 받을 수 있음. (전환한 주식을 시장에서 팔면 50% 고수익이 가능) • - 전환가 산정 : 기준주가에 10~20% 할증률 적용, 전환가는 하향조정 가능 • (기준주가는 1개월 평균주가, 1주 평균주가, 종가의 평균주가로 정함) • - 동양메이저의 전환가는 원래 5,816원이었다가 주가 하락으로 5,229원으로 조정 • (전환가의 하향조정 하한선은 최초 전환가의 70% 수준) • 채권의 가격으로 대개 액면가는 10만원임. • - 채권가격은 대개 만기수령이자(만기상환률 – 100%)에서 ±5%의 프리미엄이 붙음 • - 만기수령이자가 28.83%라면 23.83 ~ 33.83%의 프리미엄이 붙을 가능성이 많음 • 주가를 전환가로 나눈 비율 • - 주가의 전환가 상회 정도를 뜻하며 전환사채의 이론적 가치임. • - 패리티가 높을수록 전환해서 얻을 시세차익이 큼 • - 패리티에 액면 1만원을 곱한 가격을 패리티 가격이라고 하며, 대개 패리티 가격과 • 채권가격은 수렴함
2. 채권용어 따라잡기 만기(상환일) 전환비율 주식전환 7 8 9 7 • 채권의 만기로서 상환일(상장폐지일) • - 만기는 주로 3년이 많고 길게는 5년, 6년의 장기채권도 있음. • - 만기가 길수록 채권의 투자성은 더 높아지므로 가능하면 만기가 긴 전환사채를 • 골라야만 고수익을 올릴 가능성이 높아짐 • (발행기업의 신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경우) • 채권 액면당 주식으로 전환청구할 수 있는 비율 • - 전환비율이 100%라면 액면(10만원)당 10주의 주식을 발행해 줌. • - 전환비율이 높을수록 좋으나, 대부분 전환사채의 전환비율은 100%임. • 채권을 주식으로 바꾸는 것. • - 주식전환은 정해진 기간이 있어 이 기간 동안에만 전환이 가능함 • (공모채권의 경우 발행일로부터 1개월 뒤부터 상환일 1개월 전까지 가능함) • - 주식전환 청구를 한다고 해서 곧바로 주식으로 바꿔주지 않으며, 대개 1주일 정도 • 뒤에나 주식을 받을 수 있음.
3. 전환사채, 이렇게 투자하라 8 ▷ 공모(공개모집)에 참여한다. • 공모에 참여하여 액면가로 삼(프리미엄 지급하지 않음) • 정보원 • - 각 증권사, 경제신문, 금감원 사이트(DART), 재테크포털(웰시안닷컴), 전환사채 카페 등 • 경쟁률 체크 중요 • - 평균 10:1의 높은 경쟁률, 결국 자금동원력이 중요(청약증거금 100%) ▷ 장내 매수한다. • 상장후 5% 프리미엄 붙음. • 증권사 선택이 중요 • - 00종금증권, 00투자증권이 가장 편리 • 수수료, 세금 유의(0.2% 안팎의 수수료, 이자소득세 15.4%) • 세금우대도 가능 • 상장직후 매수 유리
4. 00카드 전환사채 9 전종목 시세 발행정보
4. 00카드 전환사채 10 ▷ 00카드 전환사채 특징 • 비상장 카드 회사로 상장 가능성이 높음 • 양호한 실적을 보이고 있음 • - 2005년 당기순이익 637억 → 2006년 2810억 • 가장 양질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을 만큼 내실 있는 카드사 • 장외에서 거래되고 있는 장외가격은 12,000원대임 • 따라서 상장만 된다면 대단한 폭발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됨 • 전환청구 기간 종료일(2008.12.31) 이전에 00카드㈜의 주권상장 등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 원금에 대하여는 2009.1.31에 원금의 112.63%에 해당하는 금액을 일시 상환함. • (만기내 상장되면 전환사채수익률 9% → 6% 조정) • 00카드의 현재 전환가는 8,831원이지만 상장할 경우 공모가격의 80%로 바뀜 • - 공모가보다 20% 낮은 가격으로 전환할 수 있어 상장차익에 대한 기대감이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