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 likes | 744 Views
정신건강론.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의 유형. : 부주의 우세형 / 과잉활동 - 충동성 우세형 / 부주의와 과잉활동 - 충동성 결합형.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의 특징. 주의폭의 문제 : 짧은 주의폭 , 그러나 매우 흥미있거나 흔히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서는
E N D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 ADHD의 유형 : 부주의 우세형/ 과잉활동-충동성 우세형/ 부주의와 과잉활동-충동성 결합형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 ADHD의 특징 • 주의폭의 문제 : 짧은 주의폭, 그러나 매우 • 흥미있거나 흔히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서는 • 오랜 시간 주의 집중 가능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 ADHD의 특징 • 충동성의 문제 : 대부분 감정과 행동을 잘 • 통제하지 못하는 충동 통제에 문제 有. • 과잉행동의 문제 : 모든 ADHD가 과잉행동 • 문제 갖지는 않으며, 나이가 들수록 점 점 완화.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1. 역사적 맥락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2. 기술과 진단 1) 핵심증상 - 부주의 - 과잉활동-충동행동(탈억제) 2) 상황적, 맥락적 요인들 - 과제 수행 위해 지구력 요구되는 상황, 대중이 보는 상황에서 행동문제 더 많이 나타냄.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2. 기술과 진단 3) 관련된 인지적 손상들 - 운동조정과 순서 짓기, 작동기억과 심적 계산, 계획과 예기, 언어유창성과 대립적 의사소통, 노력분배, 조직화 책략의 적용, 자기지향적 언어의 내면화, 구속적 지식에 따르기, 정서적 각성의 자기조정 ⇒ 실행기능(뇌의 전전두엽 담당), 상위인지와 관련된 영역들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3. 이론적 틀 - p.63의 그림2.1 참조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4. 진단기준과 관련된 쟁점들 2) 평가 ① 면접법에 의한 평가: 아동의 발달, 의학적인 면, 신경정신적인 면, 행동, 교육력 등에 대한 일반적 질문 포함 -구조적 면접(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진단적 면접 Diagnostic Interview for Children and Adolescents—Revised (DICA-R), 아동용 면접계획DISC) 면접소요시간 60~90분, 260~310항목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4. 진단기준과 관련된 쟁점들 - 반구조적 면접: 아동 평가 계획(CAS), Kiddie-SADS(K-SADS 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Schizophrenia-PresentandLifetimeVersion), 아동용 면접계획 등 증상은 양적으로 계산되므로 훈련된 임상가가 실시하는 것이 중요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4. 진단기준과 관련된 쟁점들 - 기타 면접 정보: 가족력, 여가활동, 또래관계, 집밖에서의 행동과 관련된 정보 조사 신체적 특성 유무 측정, 청력과 시력에 대한 손상여부 확인, 신경학적 성숙도 검사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4. 진단기준과 관련된 쟁점들 ② 지적 검사와 성취검사 -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WISC-III): 주의집중 요인과 처리 속도 요인 등을 참조로 판단 - 학업성취검사: Woodcock-Johnson 심리 교육 검사, Peabody 개별 성취도 검사, 광범위성취도 검사, Kaufman(K-TEA) 검사, 학습프로파일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4. 진단기준과 관련된 쟁점들 ③ 신경인지적 평가 - 연속수행검사(CPT/Continuous Performance Test) 주의력 결핍 측정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평가도구, 주의지속성과 주의 산만성을 평가하는데 유용, 선택적 주의력도 평가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4. 진단기준과 관련된 쟁점들 (예) *TOVA(Test of Variables of Attention) : 수직으로 세워진 직사각형 내부의 위쪽이 나 아래쪽에 작은 정사각형이 있는 단순한 기하학적 도형 제시, 이 표적 자극이 나타날 때 반응해야 함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4. 진단기준과 관련된 쟁점들 *ADS(ADHD Diagnostic System) : ADS 시각, 청각 검사에서 모두 3개의 요인 (주의력 요인, 정보처리속도요인, 충동성 요인) 산출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4. 진단기준과 관련된 쟁점들 - 실행기능검사(Executive Function Test) : 실행기능은 목표 지향적 활동에서 상황의 모든 면 고려해 행동 계획세우고 과제의 측정요구에 맞춰 행동을 조절하고 수정할 수 있는 능력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4. 진단기준과 관련된 쟁점들 (예) *같은 그림 찾기 검사(Matching Familiar Test: MFFT): 시각적 문제해결에 대한 아동의 인지 속도와 충동성 측정 *언어유창도 및 범주유창도 검사 : 전전두엽 피질 기능에 속하는 일정한 범주내에서 책략 수립하는 능력 측정 하는 검사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4. 진단기준과 관련된 쟁점들 *선로 잇기 검사 B형: 전전두엽 기능과 관련된 적절한 주의 분배 및 주의 조절 능력이 요구 되는 검사, 개념화와 인지도식 변경 능력을 평가하는 시각-운동 추적 검사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4. 진단기준과 관련된 쟁점들 ④ 평정척도 - Conners 평가척도(부모용, 교사용): Connersr(1970)가 제작한 93문항으로 된 평정척도 -Ulrich(1978)가 10문항으로 축약 개정한 단축형 척도(충동성-과잉 운동 요인)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4. 진단기준과 관련된 쟁점들 - 가정 상황 질문지: 가정과 공공장소 같은 16가지 상황에서 아동이 보일 수 있는 과잉 활동성과 주의산만성을 부모가 1~9점까지 평정 - 학교 상황 질문지: 학교상황과 관련된 12개 문항에 대해 1~9점까지 교사가 평정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4. 진단기준과 관련된 쟁점들 - 부모 행동 평정척도(CBCL): 사회능력척도와 문제행동증후군 척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후자에 주의집중 문제 하위척도가 포함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5. ADHD의 역학 1)유병률 - 4.2%~6.3% 사이 - 여아보다 남아의 유병률이 더 높음, 여(2~3%):남(6~9%)=1:3 - 청소년기에 들어서면 유병률 다소 하락, 이는 진단증상목록이 어린 아동에게 적용 가능한 항목이기 때문이기도 함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6. 발달과정과 성인결과들 - ADHD가 성인기로 지속되는 비율: 30~50%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7. 관련된 조건들 1) 합병 정신장애들 - 반항성 장애(35~60%), 품행장애(30~50%), 반사회적 성격장애(15~25%) - 불안장애(25~40%)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7. 관련된 조건들 2) 학업기능과 관련된 문제들 - 대부분 학업문제 동반 - 학습장애 보이는 아동 多(19~26%, 53%) - 말하기와 언어장애아(30~64%) 3) ADHD와 지능 - 지능과 약간의 상관성 보임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8. 잠재적 병인 1) 신경학적 요인 - 전전두엽의 손상 2) 유전적 요인 - ADHD 아동의 부모와 친적들의 유병률이 다른 집단에 비해 더 높음 - 입양연구 결과 생물학적 부모와의 관련성이 더 높음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8. 잠재적 병인 3) 환경적 독소 - 출생 전 알코올과 담배의 노출이 영향 미침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 9. 치료 • - 약물치료: 메칠페니데이트 • self-talk, self-intrusion 의 방법으로 충동통제 • 훈련을 시키는 것이 효과적. • - 부모교육이 필요. • →위의 세 가지가 동시에 행해져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