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likes | 1.05k Views
5-2.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 Contents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 순현가법이 내부수익률법에 비해 우월한 이유는 무엇인가 ?. (1)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의 관계. NPV 와 IRR 의 관계. 내부수익률이란 현금유입의 현가 (PVCI) 와 현금유출의 현가 (PVCO) 를 같게 만드는 할인율 순현가법의 관점에서 정의하면 순현가를 0 으로 만드는 할인율.
E N D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 • Contents •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 순현가법이 내부수익률법에 비해 우월한 이유는 무엇인가?
(1)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의 관계 • NPV와 IRR의 관계 • 내부수익률이란 현금유입의 현가(PVCI)와 현금유출의 현가(PVCO)를 같게 만드는 할인율 • 순현가법의 관점에서 정의하면 순현가를 0으로 만드는 할인율 순현가 = 현금유입의 현가 – 현금유출의 현가
예 • 1,000만원을 투자한 후 첫해에 500만원, 둘째 해에 400만원, 셋째 해에 300만원, 마지막 해에 100만원의 현금유입을 가져오는 투자안이 있을 때 할인율이 4, 10, 15, 20%일 때 각각의 순현가를 알아보자. • NPV와 IRR의 관계 (단위 : 만원)
순현가(만원) 300 200 100 할인율(%) 0 5 10 15 20 25 • NPV와 IRR의 관계 [그림 1] NPV와 할인율의 관계 그림에서 내부수익률은 약 15%(14.9%)
(2)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의 비교 • 독립적 투자안(단일투자안)에 대한 투자평가 • 독립적 투자안들을 평가하는 투자분석에 있어서는 순현가법이나 내부수익률법이나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 • 앞에서 예로 든 투자안의 내부수익률은 약 15%이므로 내부수익률법에 의해 투자결정을 내린다면 할인율이 15%보다 작은 경우에는 이 투자안이 투자가치가 있다. • 순현가법의 관점에서 보면 할인율이 내부수익률보다 작은 경우 순현가가 0보다 큰 값을 가지므로 투자가치가 있다.
상호배타적 투자안에 대한 비교평가 • 한 투자안의 채택이 다른 투자안의 기각을 의미하는 상호배타적인 투자안들에 대한 평가는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에 의한 평가결과가 다를 수 있다. • NPV법과 IRR법에 차이가 나는 세 가지 사례 • 투자규모가 현저히 차이나는 경우 • 투자안의 수명이 서로 다른 경우 • 투자로부터 예상되는 미래현금흐름의 양상이 크게 다른 경우
순현가(만원) 20 투자안 A 투자안 B 10 4 할인율(%) 0 10 20 30 40 17.8 • 투자규모가 서로 다른 경우 [표 1] 투자규모가 다른 두 투자안 (단위 : 원) 피셔(Fisher)의 수익률: 두 투자안의 순현가를 동일하게 하는 할인율
투자수명이 서로 다른 경우 • 투자규모가 서로 같다고 하더라도 투자안들의 수명이 서로 현저히 다른 경우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이 서로 다른 평가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표 2] 투자수명이 다른 두 투자안 (단위 : 원)
순현가(만원) 투자안 D 75 50 투자안 C 25 할인율(%) 0 11.9 15 25 • 투자수명이 서로 다른 경우 [그림 2] 투자안 C, D의 순현가와 할인율의 관계 피셔(Fisher)의 수익률 10%
현금흐름의 양상이 다른 경우 [표 3]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의 차이 (단위 : 원)
순현가(만원) 274 투자안 F 170 투자안 E 할인율(%) 0 16.9 23 26 • 현금흐름의 양상이 다른 경우 [그림 3] 투자안 E, F의 순현가와 할인율의 관계 피셔(Fisher)의 수익률 10
차이발생 원인 : 재투자 수익률에 대한 가정 • 순현가법: 투자안 평가에 사용되는 할인율로 재투자될 수 있다고 가정 - 내부수익률법에서는 투자안의 내부수익률로 재투자될 수 있다고 가정
(3) 순현가법의 우위 • 재투자수익률의 가정 • 할인율로 재투자한다고 보는 순현가법의 가정이 보다 합리적 • 내부수익률로 재투자할 수 있다는 가정은 현재와 같은 내부수익률을 지니는 투자기회가 미래에도 계속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것인데 너무 낙관적인 견해임 • 한 기업에서 여러 투자안에 투자하는 경우 각 투자안마다 내부수익률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같은 기업내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서로 다른 수익률로 재투자한다는 것은 모순임
내부수익률이 없는 경우와 복수해의 존재 • 내부수익률법으로 투자안을 평가할 때 투자안으로부터 예상되는 현금흐름의 양상에 따라 내부수익률이 존재하지 않거나 여러 개의 내부수익률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표 4] 내부수익률이 없는 경우와 복수해의 예 (단위 : 원) • 투자안 G의 경우 순현가를 0으로 만드는 할인율이 존재하지 않고 투자안 H의 경우 두 개(10%, 20%)가 존재한다.
이자율의 기간구조와 내부수익률 • 투자안 평가에 사용되는 할인율은 시장의 이자율 변동에 따라 달라진다. • 내부수익률법의 경우 내부수익률과 할인율을 비교하여 투자의 타당성을 살펴보는데 기간마다 할인율이 다를 경우 비교기준의 선택 문제가 발생한다. • 순현가법에서는 이러한 문제 없이 기간마다 다른 할인율을 적용 할 수 있다.
가치의 가산원칙 • 여러 투자대상을 결합시킨 투자평가를 할 때 순현가법을 이용하면 개별 투자안에 대해 독립적으로 분석해도 문제 없지만 내부수익률법을 이용하면 개별 투자안을 독립적으로 분석하는 투자결정을 하지 못한다.
가치의 가산원칙 [표 6] 가치 가산원칙의 예 (할인율 10%) - [표 6]에서 투자안 J와 K는 서로 배타적이며, L은 J나 K와 독립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