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0 likes | 853 Views
보육시설˙설비. 학과 : 아동보육학과 학번 : 07506018 박슬기 07506027 오나경 07506032 이소라. 목차. Ⅰ 서 론 1. 보육시설 시설 · 설비의 개념 2. 보육시설 시설 · 설비의 중요성 Ⅱ 본 론 1. 보육시설 시설 · 설비의 구성 1) 보육시설 건축 시 고려사항 2) 보육시설 법적 기준 2. 보육시설 실내 공간 1) 실내 공간 구성 시 고려사항 2) 실내 환경의 시설 3) 실내 환경의 설비.
E N D
보육시설˙설비 학과: 아동보육학과 학번: 07506018 박슬기 07506027 오나경 07506032 이소라
목차 Ⅰ 서 론 1. 보육시설 시설·설비의 개념 2. 보육시설 시설·설비의 중요성 Ⅱ 본 론 1. 보육시설 시설·설비의 구성 1) 보육시설 건축 시 고려사항 2) 보육시설 법적 기준 2. 보육시설 실내 공간 1) 실내 공간 구성 시 고려사항 2) 실내 환경의 시설 3) 실내 환경의 설비 1) 실외놀이터의 고려사항 2) 실외 환경의 시설 3) 실외 환경의 설비 4. 보육시설 유지 및 관리 1) 시설 유지 및 관리의 중요성 2) 시설 유지 및 관리의 내용 Ⅲ 결 론 1. 느낀 점 2. 참고문헌
1. 보육시설˙설비의 개념 1) 시설 2) 설비 일련의 목적달성을 위해 활용되는 물리적 환경 -넓은의미: 물적요소+인적요소 -좁은의미: 토지,건물의 물적요소 시설을 구성하는 부분이며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물적요소를 의미 예) 조명, 난방, 방음, 급수 시설과 관련되어 유아의 보호 및 교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물적 요소의 총체 예) 야외 놀이터, 정원, 교문, 담장
2. 보육시설˙설비의 중요성 (1) 보육시설의 환경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① 신체발달:대근육운동 기술 발달을 위해 필수적이므로 공간 운동기술 발달에 따라 놀잇감 변화 ② 인지발달 -문제해결 기술발달:다양, 연령에 적합한 놀잇감이 갖춰 있을 때 문제해결 기술발달 -논리적 사고발달: 사물들의 관계를 아는 것이 중요 →활동영역, 교재 교구를 통한 놀이공간제공 ③ 언어발달 -언어능력: 또래 간 상호작용 격려 활동, 놀잇감이 갖춰진 환경에서 잘 발달 -읽기능력: 인쇄물을 자주 접하는 것은 유아의 읽기능력과 의미 있는 관련 ④ 사회˙정서발달 -자존감 발달: 환경은 가치, 능력, 통제 등의 자존감 발달 돕는다. -사회적 행동: 사회적바람직한 행동을 하는 능력은 실내환경의 여러 요소의 영향 또래와의 상호작용: 적당히 넓고 잘 설계된 영역에서 또래와 빈번, 긍정적 상호작용 경험
2. 보육시설˙설비의 중요성 (2)물리적 환경의 구분
2. 보육시설 실내 공간 • 실내 공간 구성 시 고려사항 • (1) 발달적으로 적합한 공간 • (2) 교육과 양육이 복합된 공간 • (3) 생활행위, 놀이 및 학습이 통합된 공간 • (4) 성인과 영유아가 공존하는 공간 • (5) 다른 자원과 함께 존재하는 공간
2) 실내 환경의 시설 (1) 출입문 및 현관 ① 활동실과 가까우며 현관에서 실내 활동실과 실외가 보여야 함 ② 보호자가 현관 앞에 잠시 머물면서 유아를 살펴주고 유아가 스스로 놀이 영역에 흡수되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함 ③ 현관 부분에 상담실의 기능을 포함시키는 것이 좋음 ④ 현관의 문과 바닥은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함 ⑤ 신체장애아도 출입이 용이하도록 계단이 없는 경사로로 만들어져야 함
2) 실내 환경의 시설 (2) 교실 ①반일반의 활동실 크기 교실 면적이 작을 경우 활동 영역의 구별이 뚜렷하지 못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이 감소되며, 의자에 앉아 활동에 집중하는 태도가 감소 ②종일반의 활동실 크기 반일반과 달리 휴식과 낮잠을 잘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함 ③천정의 높이 너무 높을 경우→유아에게 교사 지배적인 느낌 너무 낮을 경우 → 공기 순환이 어려워 비위생적
2) 실내 환경의 시설 (3)낮잠 또는 휴식을 위한 방 ① 매트나 담요 등이 한 곳에 있으므로 교사의 번거로운 노력을 줄일 수 있음 ② 가정에서와 같은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 ③ 유아가 잠자는 동안 활동실이 정돈, 재배치될 수 있음 ④ 활동실과 낮잠실을 옮겨 다님으로써 공간의 변화 느낌 ⑤ 잠에서 먼저 깬 유아가 다른 유아의 잠을 방해하지 않고 다른 곳에서 활동할 수 있게 함
2) 실내 환경의 시설 • (4) 화장실 • 교실과 교실 바깥쪽에서 모두 출입이 가능한 곳 • 낮은 칸막이를 설치하여 지도, 감독 • 변기의 수는 8~10명당 1개로 하며, 크기는 유아용 • 화장실의 바닥은 청소하기 쉽고 미끄럽지 않게 해야 함 • (5) 실내 놀이터(유희실) • 주로 비나 눈으로 인해 바깥 놀이가 힘들 경우에 활용 • 공간이 넓을 경우에는 강당의 용도로 사용되어 부모교육이나 행사 장소로 이용
2) 실내 환경의 시설 • (6) 교사실 • 교사들이 교육활동을 계획하며, 교사 간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곳 • 학급지도를 위한 여러 문서가 보관되는 곳 •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책장, 책상, 컴퓨터 설비 등을 배치 • (7) 교재 교구실 • 주제, 영역, 계절 등 일정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잘 분류하여 보관 • 교재, 교구 대장을 마련하여 필요할 때 교재, 교구를 찾는 것이 더 효과적
2) 실내 환경의 시설 • (8) 양호실 • 몸이 아픈 유아를 보호자가 올 때까지 돌보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격리된 방 • 약품장은 유아의 손이 닿지 않게 성인 높이에 위치 • 작은 화장실이 옆에 있으면 더욱 바람직함 • (9) 조리실 • 환기가 잘되며 밝은 곳에 위치 • 안전을 고려하여 조용한 곳에 위치하도록 하고, 교실과는 떨어져 있는 것이 좋음 • 음식을 조리하는데 필요한 기본시설과 설비를 갖추어야 하며 항상 깨끗하게 유지
3) 실내 환경의 설비 • (1) 환경설비 • ① 채광과 조명 • -창, 문 등을 통해 자연적인 햇빛을 받는 것 • -유아의 시력에 영향 • -감각기관을 통해 사물을 정확히 보아야 하는 유아에게 학습의 • 중요한 조건 • ② 창문 • 창문유리는 파손되지 않도록 특수유리를 사용 • 창문의 면적은 바닥면적의 1/5~1/4정도가 적절 • 창턱은 벽면에서 튀어나오지 않아야 함 • 바닥에서의 높이는 영아반의 경우 50~60cm, 유아반의 경우는 60~70cm가 적당 • 창문에는 방충망을 설치해야 하며, 방음과 열 손실을 막기 위해 이중창이 바람직함
3) 실내 환경의 설비 • ③ 바닥 • -탄성, 견고성, 안정성, 관리, 음향 통제 등을 고려 • -나무바닥▶관리에 유의 • -카펫 바닥▶안정되고 소음을 적게 해주는 효과 • ④ 벽 • 게시판이나 다른 자료를 쉽게 붙일 수 있는 표면 재료 사용 • 게시판은 유아의 키 높이에 적합해야 유아가 전시물을 볼 수 있고, 유아 자신이 만든 것을 제시하기 쉬움 • 전축, 녹음기, 컴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전원구비
3) 실내 환경의 설비 • ⑤ 소음 • -흡음이 되지 않으면 유아의 바른 언어생활 지도가 어렵고, • 교사와 유아에게 피로를 주어 정서적 안정을 잃게 함 • -바닥에 카펫 또는 고무 재질을 깔거나 벽면, 천장에 방음 재료를사용 • -책상, 의자, 가구 등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다리에 고무, 헝겊 등을 부착 • ⑥ 냉, 난방 • 적합한 실내 온도는 20~22°C를 유지 • 적합한 습도는 50~60% •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환기를 자주 해야 함
3) 실내 환경의 설비 ⑦ 급수전 -고등학교 이하 각급 학교 설립․운영 규정 ▶급수 시설을 두어야 하되 수질 검사 결과 위생상 무해하다고 판명된 것,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시설 ⑧화장실의 변기, 소변기, 세면대 -어릴수록 많은 수의 변기가 요구되며, 보통 10인당 1개 이상 -가능한 수세식이 바람직 -화장실의 출입구 근처 편리한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 ★화장실에 유아가 몸을 씻을 수 있는 시설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 이유? ☞실외 활동으로 유아의 몸이 더러워질 수 있다. ☞ 유아가 다치게 될 경우 상처를 치료하기 전에 다친 곳을 씻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 대소변을 가릴 줄 아는 유아들이지만 때로는 실수하는 경우가 있다.
3) 실내 환경의 설비 (2) 기본설비 ① 책상 ▶책상의 종류 및 형태 -2~4인용 책상을 활동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모양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책상의 치수 -책상의 높이는 유아의 체위 기준에 따라 상이 -연령에 따라 유아의 크기가 다르므로 다른 높이의 책상을 준비
3) 실내 환경의 설비 ②걸상 ▶걸상의 종류와 형태 -종류: 활동실용, 유희실용, 유원장용 등 -형태: 보관하기 좋게 쌓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 팔걸이가 없는 것이 좋음 ▶걸상의 치수 -유아의 체위를 기준으로 함 -발걸이를 설치하여 높이를 조절 -앉는 면의 넓이는 유아가 옆으로 떨어지지 않을 만큼 충분히 넓고, 깊이가 충분하여 안정되게 앉을 수 있는 크기여야함
3) 실내 환경의 설비 ③개인 사물함 -유아 스스로 자신의 물건을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는 면에서 아주 중요한 의미 -실내⋅실외 신발, 여분의 옷, 외투, 자신의 작품 등을 보관 -외투나 신발을 보관하는 곳은 출입구(현관)에서 주요 놀이 장소로 가는 도중에 위치하는 것이 좋음 -어떤 소지품을 보관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음 -어떤 형태이든지 문을 닫지 않는 것을 장려
3) 실내 환경의 설비 ④교구 정리장 -형태 : 개방식교구 정리장과 선반식교구 정리장이 있으며 개방식교구 정리장이 유아 교육현장에 적절 -장 아래에 바퀴를 달아 움직이기 쉽게 할 수 있음 ※ 교구장 배치 시 주의할 점 → 유아의 눈높이를 고려 →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자료와 교구를 보관 → 유아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정리되어야 함 → 유아가 다양한 공간에서 활동할 때 교구 정리장으로 시야가 가려져서 교구나 자료의 사용을 방해 받는 일이 없어야 함
3) 실내 환경의 설비 ⑤싱크대 -교실마다 싱크대와 수도를 설치하여 유아들이 손을 씻거나 미술활동, 요리활동에 필요한 용구나 자료를 씻고 활동에 필요한 물을 공급받도록 해야 함 ⑥물놀이와 모래놀이대 -높이는 싱크대의 높이와 같은 크기로 할 수 있음. ⑦기저귀 갈이대 -화장실 내부나 화장실 가까운 곳에 배치 -아래 부분은 수납장이 되게 만들어 기저귀 갈아주는 데 필요한 물건들(개변 횟수 체크용지, 물, 휴지, 파우더 등)을 수납
3) 실내 환경의 설비 <교실의 공간 구분 및 시설 배치> -교실의 공간은 출입구, 물을 사용하며 활동적인 영역, 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활동적인 영역, 조용한 활동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시설을 배치 ※ 교실 구분 및 시설 배치에서 구체적으로 고려할 요인 ⋅ 1단계 : 교실의 기능적 요구를 확인 ⋅ 2단계 : 교실의 고정된 특징을 그림 ⋅ 3단계 : 출입구와 주요 통로를 확인 ⋅ 4단계 : 물을 사용하는 활동 영역과 물을 사용하지 않는 영역을 구분 ⋅ 5단계 : 출입구 영역을 지정 ⋅ 6단계 : 물을 사용하는 영역을 지정하고, 싱크대와 화장실을 배치 ⋅ 7단계 : 조용한 활동 영역을 지정
4) 보육시설 실외 공간<실외놀이터의 고려사항> • (1) 안전한 도전과 점진적 도전 • - 아동들은 놀이기구를 접하게 될 때 도전을 통해 자신감을 얻게 되고 자신의 한계를 깨닫게 된다. 점진적 도전은, 각 놀이 활동의 난이도를 여러 단계로 제시하는 것으로 이는 비슷한 형태 및 기능을 가진 놀이시설을 다양한 크기로 제공함으로써 아동들이 자신에게 너무 어렵지도 쉽지도 않은 최적의 놀이 활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 • (2) 다양성 • - 다양한 놀이 활동의 제공과 색깔, 모양, 느낌, 형태 등의 모든 면에서 다양성을 고려해야 아동의 창의적 에너지를 이끌어냄. • (3) 복합성 • - 아동의 개인적 요구를 보다 충족시키고 놀이를 통한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단순한 놀이시설과 복합적 놀이시설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필요. • (4) 융통성 • 융통성은 복합성과 밀접하게 연결되는 것. • 아동의 놀이에 대한 흥미를 유지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 융통성이 높은 놀잇감으로는 물, 모래, 나무 조각 등이 있다. • (5) 통합성 • - 놀이 시설 및 기구가 서로 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놀이 활동 간의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아동의 협동놀이를 촉진시킨다.
4) 보육시설 실외 공간<실외 환경의 시설> • (1) 실외 놀이터 • - 화장실이나 세면대로 이동이 쉬워야 하며, 실내 공간과 연결되어 이동이 자유로워야 한다.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실내와 실외공간 높이에 차이가 있을 때는 층계보다는 경사진 길이 되도록 설계 시 고려한다. • (2) 울타리 • - 관목이나 나무로 울타리를 설치하여 유아를 보호하고, 외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유아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 (3) 바닥 • 실외공간의 바닥은 배수가 잘 되어야 하며, 특히 건물 주변의 배수 처리가 잘 되어 바닥이 빨리 마르도록 처리하여야 한다. 바닥은 놀이 영역에 따라 다르게 처리되어야 하며 흙 바닥, 포장된 길이 있는 딱딱한 바닥, 모래밭, 잔디밭, 언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4) 보육시설 실외 공간<실외 환경의 시설> • (4) 지붕 씌운 실외 공간 (테라스, 놀이 정자) • 지붕을 씌운 실외공간은 날씨가 흐린 날이나,더운 날 실외에서 목공놀이나 미술활동, 동화 듣기, 책 읽기 등의 놀이를 할 수 있게 해준다. • 통풍이 잘되고 햇빛이 충분히 비치는 것에 놀이 정자를 두는 것이 좋다. • (5) 자연물과 접할 수 있는 공간(나무, 바위 등) • 개미의 움직임, 나뭇가지 등을 탐색하면서 유아는 스스로 발견하는 기회를 갖고아울러 계절이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면서 자연의 변화를 이해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유아가 충분히 탐색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는 것이 좋다. (6) 창고 -실외 창고를 설치하여 유아들이 탈 것, 큰 블록 등 실외 놀이기구를 쉽게 꺼내어 쓰고 제자리에 정돈할 수 있도록 한다. 창고 설치지역은 물이 고이지 않도록 약간 경사지게 하는 것이 좋으며, 딱딱한 표면으로 된 영역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4) 보육시설 실외 공간<실외 환경의 설비> (1) 대근육 활동 공간 ① 복합 놀이기구: 실외 놀이기구는 하나하나 떨어진 단조로운 구성보다는 다양한 움직임을 유아가 경험할 수 있도록 계속적 연결 상태로 설계되어야 한다. 영아용 복합 놀이기구는 낮은 미끄럼틀, 기어오를 수 있는 것, 터널, 놀이 집 등으로 영아의 크기에 맞게 준비해야 한다. 오르기의 계단 높이는 15cm 미만이어야 하며, 미끄럼틀 역시 90~120cm 범위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② 그네: 복합 놀이기구의 일부로 연장하여 설치하거나 분리하여 설치한다. 그네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지나가는 유아가 그네의 발판에 부딪히는 일이 없도록 하며 그네가 설치된 곳의 바닥은 모래나 고무바닥으로 처리하여 유아가 그네에서 떨어졌을 때 입는 부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야 한다. 모래로 처리할 경우 모래의 길이는 최소한 30cm는 되어야 한다. 그네와 그네, 그네와 바깥 버팀대 사이에는 최소한 70cm의 간격이 있어야 한다.
4) 보육시설 실외 공간<실외 환경의 설비> (2) 물놀이 시설 -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물놀이 시설은 작은 대야를 이용한 작은 규모에서 풀장을 이용한 대형규모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다. 다양한 물놀이 기구를 구비하여 활동한다면 유아들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된다. (3) 모래놀이터 - 모래놀이터는 습기가 차지 않도록 양지 바른 곳에 위치해야 하며, 더운 날씨에는 햇볕이 너무 뜨거우므로 그늘을 만들어 햇볕이 뜨거운 날에도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모래놀이터의 모래는 최소한 1년에 한 번씩은 갈아주거나 소독하여 먼지나 더러운 것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2. 느낀점 환경이 영유아들의 발달에 큰 도모할 수 있는 것이고 인지, 언어, 사회성, 정서, 신체발달에 즉, 전인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영유아들의 안전을 위한 환경이 중요하며 안전을 위해 실내, 실외의 시설˙설비 안전에 꼭 힘써야 한다고 느꼈다. 영유아가 함께 뛰어 놀고 생활하는 환경이 위험요소로 가득 차 있지 않고 영유아가 어디서 어떤 활동을 하게 되더라도 최우선의 목적이자 목표인 안전에 조금 더 신경을 써야 하며 그를 위해 시설˙설비의 유지 및 관리에도 철저히 하여 넘어짐, 충동, 미끄러짐 등의 사고에 미리미리 대비해 주어야 한다. 또한 영유아의 청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건들의 소독 또한 소흘히 해선 안되며 영유아의 발달에 큰 영향을 준다. 영유아가 마음껏 놀이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 또한 시설의 책임이자 임무라고 할 수 있으며 참된 보육교사의 몫이다.
참고문헌 - 강문희. 윤애희, 이경희, 정정옥(2007). 유치원, 보육시설 운영관리. 학지사. - 김수향, 이용주, 이은진 (2008).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동문사. - 김혜경. (2006). 영유아 교육기관 경영. 창지사. - 정정옥. (2006). 보육시설 운영관리. 교육아카데미. - 보건복지가족부 “영유아보육법” http://www.law.go.kr/DRF/lawService.do?OC=lrzh&target=law&MST=98618&type=HTML - 대덕특구복지센터(대덕특구어린이집) http://www.diw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