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 likes | 608 Views
제주워터 개요 - 지하수 중심 -. 제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박찬정 (cjpark@jejunu.ac.kr). 목 차. 한국수자원의 특성 지하수 제주워터 특성 – 지하수 중심 RFID/USN 기반 모니터링의 예 수자원 정보관리의 예 제주워터 정보관리. 한국 수자원의 특징. 수문순환 (hydrologic cycle). 물의 순환. 한국 수자원의 특징. 여건 ※ 자료 : 물 , 생명 그리고 환경 ( 건교부 , 한국수자원공사 ). 한국 수자원의 특징.
E N D
제주워터 개요-지하수 중심- 제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박찬정(cjpark@jejunu.ac.kr)
목 차 • 한국수자원의 특성 • 지하수 • 제주워터 특성 – 지하수중심 • RFID/USN기반 모니터링의 예 • 수자원 정보관리의 예 • 제주워터 정보관리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한국 수자원의 특징 수문순환(hydrologic cycle)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물의 순환
한국 수자원의 특징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여건 ※자료:물, 생명 그리고 환경(건교부,한국수자원공사)
한국 수자원의 특징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의 70%가 지면경사 20o이상으로서 일단 비가 내리면 단시간 내에 하천으로 흘러듬 • 소양강댐에서 5,000㎥/초 방류 시, 한강 인도교까지 14.5시간 소요 • 충주댐에서 15,000㎥/초 방류 시, 인도교까지 12.51시간 소요 • 하천의 유량변동이 매우 심하여 연간 731억㎥의 수자원 부존량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 67%인 493억㎥이 홍수로 유출되어 바다로 유입 • 33%인 238억㎥만 홍수기가 아닌 평상시에 유출
한국 수자원의 특징 http://www.kwra.or.kr/data/data5_1.html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지하수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 한국 지하수 부존 특성 • 동고서저의 지형 특성 • 동부 고지대에서 함양, 서부 저지대에서 배출이 우세 • 지역별 부존 특성 • 영남 지방 : 타 지역에 비해 지하수 산출이 양호 • 남한강 상류, 동해안 일부 : 지하수 산출 양호(석회암층) • 경기, 충청, 호남 : 결정질암으로 지하수 부존/산출이 불규칙 • 제주 : 대부분 용수를 지하수에 의존 (다공질 현무암)
지하수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지하수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지하수 관리 기본 계획
지하수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 국가지하수정보센터 • 설립연도 : 1994. 2 • 설립근거 : 지하수 보전관리를 위해 국가차원의 통합 지하수정보체계 운영을 위해 지하수조사전문기관인 한국수자원공사 내 설치 • 주요업무 • 지하수 기초자료 수집, 분석 및 정보제공 • 지하수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 지자체 공무원, 관련업체 교육 실시 • 지하수관련 질의/답변 제공 • Groundwater Korea, 지하수정보협력 포럼 개최
지하수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국가지하수정보센터
지하수 • 지하수 정보화를 추진하여 일반인의 지하수 개발에 이용 및 활용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국가지하수정보지도 구성체계
지하수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지하수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지하수 관측
지하수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지하수 관측 자료의 활용
제주워터의 특성 증발산량 직접유출량 지하수함양량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제주도의 유효지하수 함양량은 총 강우량의 46.1%에 해당하는 1,581백만㎥
제주워터의 특성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 지하수 적정 개발량(sustainable yield) • 수질과 양수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지하수를 양수할 수 있는 양 • 지하수 적정 개발량은 지하수 함양량의 41% • 1일 1,768천㎥으로 산정
제주워터의 특성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 문제 : 지하수부존형태에 따른 다음과 같은 분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 기저 (basal) 지하수 • 준기저 (parabasal) 지하수(상부 및 하부준기저지하수) • 상위 (high level) 지하수 • 기반암(basement)지하수
제주워터의 특성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 지하수부존특성 • 부존형태 • 기저 (basal) 지하수 • 준기저 (parabasal) 지하수(상부 및 하부준기저지하수) • 상위 (high level) 지하수 • 기반암(basement)지하수
제주워터의 특성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제주워터의 특성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 기저지하수 • 염수와 담수의 비중 차에 의해서 담수가 염수 상부에 렌즈형태로 부존하는 지하수 (담수의 밀도는 1.000g/㎤이고 해수의 밀도는 1.025g/㎤) • 조천읍 북촌리에서 남원읍 위미리에 이르는 동부의 해안지역과 서부지역의 한림읍 수원리-귀덕리에 이르는 해안지역, 모슬포 하모리-산이수동의 해안지역 • 준기저지하수 • 지하에 투수성이 낮은 서귀포층이 분포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담수지하수체가 해수와 직접 접하고 있지 않음
제주워터의 특성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 상위지하수 • 비포화대 내의 치밀질 화산암류나 고토양층·퇴적층 등의 저투수성 지층 상부를 따라 비교적 빠른 선형유속으로 유동하거나 고여 있는 일종의부유지하수체(Perched Water)를 말한다. • 대부분 중산간 및 고지대지역에 편중 • 기반암지하수 • 해수면 하 300∼400m 이하에 분포하는 기반암(화강암, 용결응회암)내에 발달된 파쇄대나 절리 등과 같은 1, 2차 유효공극에 부존하는 강우기원의 심부지하수
제주워터의 특성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 수질 • 용천수(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는 5.4∼7.4 범위의 pH를 가지며 평균 pH는 6.3이다. • 관정 지하수는 5.6∼9.0의 pH 범위를 가지며 평균 7.3이다 • 수질 분류 • 해수에 영향을 받는 군 • NO3-에 영향을 받는 군 • 해수나 NO3-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배경수질을 가진 군
제주워터의 특성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 체류시간과 속도 • 평균 체류시간은 16년 • 현생지하수의 범위에 포함되고 있으나 서부의 일부 지역에서는 40년 이상을 나타내는 지하수도 부존하고 있으며, 서귀포를 포함하는 남부지역은 10년 전후의 체류시간을 나타냄 • 지하수의 유동속도 또한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 느린 것은 1년에 70m 정도이지만 빠른 것은 연간 1,500m 이동하며, 제주도 전체적인 평균 이동속도는 연간 475m.
참고문헌 제주물산업센터 - 수자원데이터베이스 (제주대학교) 김계호, 제주도의 수자원 개발과 보전대책,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지 제43권 제7호, 1995. 7, pp. 5 ~ 9 (5pages) 고기원, 제주도 지하수의 특성과 수자원관리(I) – 제주지하수조사.연구발달사 -, 수자원학회 물과미래, 39권 7호, 2006. 고기원, 제주도 지하수의 특성과 수자원관리(II) – 제주지하수의 수문지질학적 특성-, 수자원학회 물과미래, 39권 7호, 2006. [online]지하수관리정책, http://www.kwater.or.kr/Kwateruser/ Common/Down Load.aspx?table=board_att&seq=39411 [online] http://www.uijae.com/include/filedown.asp?filename=제주도지하수관리 20조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