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0 likes | 1.1k Views
노인복지론.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박 석 돈 http://www.parksimon.com. Ⅰ. 노인문제의 인구학적 특성. 노인과 노인문제의 개념 노인문제의 인구학적 배경 노인문제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인구고령화로 야기되는 변화. Ⅰ. 노인과 노인문제. 노인의 개념 노인문제의 개념. Ⅰ. 인간의 노화 ; Aging; Ageing. 늙음 : 나이 먹음 . 몸의 조직과 기능이 소모되어 낡아져 가고 있음 . 老化 : 정신적 · 신체적 기능의 감퇴 · 쇠퇴 노화의 시점 :
E N D
노인복지론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박 석 돈 http://www.parksimon.com
Ⅰ.노인문제의 인구학적 특성 • 노인과 노인문제의 개념 • 노인문제의 인구학적 배경 • 노인문제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 인구고령화로 야기되는 변화 노인복지론 34 / 60
Ⅰ. 노인과 노인문제 • 노인의 개념 • 노인문제의 개념 노인복지론 34 / 60
Ⅰ. 인간의 노화; Aging; Ageing • 늙음 : • 나이 먹음. • 몸의 조직과 기능이 소모되어 낡아져 가고 있음. • 老化 : • 정신적·신체적 기능의 감퇴·쇠퇴 • 노화의 시점: • 출생과 동시에 진행 • 20-25세를 정점으로 서서히 진행 • 노인의 연령적 구분 • 靑老 --- 60대(健老) : 고령 초기 • 中老 --- 70대(準健老) : 고령 중기 • 老老 --- 80대 이상(衰老) : 고령 후기 노인복지론 34 / 60
노인의 연령적 구분 • 생활연령(자연연령) :태어나면서부터 매년 할 살 씩 먹는 연령. • 생리연령(실질연령) :건강상태에 따라 좌우되는 연령. • 심리연령 :기분과 마음가짐에 따라 좌우되는 연령. 청노:60대 중노:70대 노노:80대이상 건로(健老) 준건로(準健老) 쇠로(衰老) 노인복지론 34 / 60
2. 노인문제의 유형 • 노인문제 vs노인의 문제 노인문제 : 전체 노인문제. 사회적 차원 정책적 접근 노인의 문제 : 개별 노인의 문제. 개인•가족차원 개별적 접근 노인복지론 34 / 60
노인의 삼고(三苦) : 사고(四苦) • 빈고(貧苦) : 가난 • 병고(病苦) : 질병 • 고독고(孤獨苦) : 외로움 • 신체적 :고립(isolation), 격리(insulation) --------- 물리적 • 심리적 :외로움(a lonely life) ---- 정서적 • 정신적 :고독(solitude) ----------- 철학적 • 무위고(無爲苦) ------------------- 역할상실 노인복지론 34 / 60
우리나라 노인들의 어려운 문제 노인복지론 34 / 60
1) 퇴직과 소득의 감소 노인복지론 34 / 60
65세 이상 노후준비 상태 노인복지론 34 / 60
노후준비방법(65세 이상) 노인복지론 34 / 60
노후준비 못한 이유(2009) 노인복지론 34 / 60
(1) 급여의 수준 최저생계비 의료·교육비, 자체소득 생계비•주거비 노인복지론 34 / 60
(2) 차상위계층 부족분보충급여수준 근로유인비용 실제소득 차상위계층 120% 최저생활수준 기초생활 보장예산 국가가 지급하는 생계비: 부족분보충급여의 원칙 0 실제소득이 최저생계비 120% 미만인 자 노인복지론 34 / 60
무료급식행렬 노인복지론 34 / 60
2) 심신의 약화와 질병 “Senectus ipsa est morbus” : 늙음 그 자체가 병이다. 노인복지론 34 / 60
(1) 만성질환유병율 노인복지론 34 / 60
(2) 치매노인수추계 노인복지론 34 / 60
(3) 가족의 보호기능의 약화 노인복지론 34 / 60
(4) 노인인구의 건강상태 노인복지론 34 / 60
노인사망원인 및 사망률(10만 명 당) 노인복지론 34 / 60
3) 외로움 : 소외감 • 노인이 자립능력을 잃게 되더라도 가족생활에 통합되어 있으면 고립은 면할 수 있다. • 독립생활을 하더라도 확대가족과 어느 정도 연결되어 있으면 고립을 면할 수 있다. • 노인들은 따로 사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외로움이 문제다. 노인복지론 34 / 60
노인주거형태 자립 핵가족 확대가족 Ⅱ 별거형태 통합 고립 시 설 확대가족 I 동일가구형태 의존 노인복지론 34 / 60
4) 역할상실과 사회적 고립 노인복지론 34 / 60
2. 사회적 노인문제 • 경제적 문제 : 사회적 부양비의 증가 • 건강보호문제 • 노인인구의 성별차이 • 여가문제 노인복지론 34 / 60
1) 경제적 문제:사회적 부양비의 증가 고령화 지수=고령인구/유소년인구 노년부양비=고령인구/생산가능인구 노인복지론 34 / 60
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 추이 노인복지론 34 / 60
2) 건강보호:의료비문제 노인복지론 34 / 60
(1) 만성질환유병율 노인복지론 34 / 60
(2) 치매노인수추계 노인복지론 34 / 60
3) 노인인구의 성별차이 노인복지론 34 / 60
4) 노인의 여가활동 실태(1) 가장 즐거움을 느꼈던 활동 노인복지론 34 / 60
2) 여가문제의 실태 노인복지론 34 / 60
Ⅱ. 노인문제의 인구학적 배경 • 고령화사회의 도래 • 인구구조의 변화 • 인구의 고령화 • 고령화의 요인 • 평균수명의 연장 • 유년인구의 감소 노인복지론 34 / 60
(1) 고령화사회의 도래 • 인구구조의 변화 • 인구의 고령화 노인복지론 34 / 60
1. 한국의 인구(통계청 2006 추계) 노인복지론 34 / 60
65세이상 노인인구 추이(p.18. 표 1-1) 37.3 20.8 초고령 14.3 고령 15.7 7.2 고령화 10.9 노인복지론 34 / 60
2010 인구조사 잠정집계 노인복지론 34 / 60
인구구조의 변화 p.19 <표 1-2> 노인복지론 34 / 60
외국의 노인인구비 및 노령화지수(2000년) p.21 표<1-4> 노인복지론 34 / 60
(2) 고령화의 요인 • 평균수명의 연장 • 유년인구의 감소 노인복지론 34 / 60
우리나라 평균수명 변화추세 p.21<표1-5> 노인복지론 34 / 60
국가별 평균수명 비교 중국 슬로베니아 포르투갈 칠레 룩셈부르그 아일랜드 미국 벨기에 프랑스 오스트리아 영국 이탈리아 네델란드 캐나다 그리스 호주 노르웨이 스위스 아이슬란드 스웨덴 일본 한국 노인복지론 34 / 60
2) 노인문제의 사회•문화적 배경 • 급속한 고령화의 속도 • 노년기의 연장 • 후기노인인구의 급증 • 고령인구의 지역간 차이 • 고령인구의 성별차이 노인복지론 34 / 60
(1) 급속한 고령화의 속도p.23<표1-7>(단위:년) 노인복지론 34 / 60
(2) 후기 노인인구의 급증 p.24 <표 1-8> 노인복지론 34 / 60
(3) 노년기의 연장 노인복지론 34 / 60
(4)노인인구의 지역간 차이 노인복지론 34 /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