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likes | 634 Views
우리나라의 궁궐 창덕 궁. 6 학년 4 반 박주영. 창덕궁의 뜻.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에 있는 궁궐 . 조선 태종 때에 건립된 것으로 역대 왕이 정치를 하고 상주하던 곳이며 , 보물 383 호인 돈화문 따위가 있다 . 1997 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사적 제 122 호. 창덕궁이 세워진 때. 창덕궁이 창건된 것은 조선 전기에 한양천도가 있던 때로 태종이 즉위하여 도성을 한양으로 다시 옮기면서 동시에 이궁의 조성을 명하여 1405 년 ( 태종 5) 에 완성하였다.
E N D
우리나라의 궁궐창덕궁 6학년 4반 박주영
창덕궁의 뜻 •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에 있는 궁궐. 조선 태종 때에 건립된 것으로 역대 왕이 정치를 하고 상주하던 곳이며, 보물 383호인 돈화문 따위가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사적 제122호.
창덕궁이 세워진 때 • 창덕궁이 창건된 것은 조선 전기에 한양천도가 있던 때로 태종이 즉위하여 도성을 한양으로 다시 옮기면서 동시에 이궁의 조성을 명하여 1405년(태종 5)에 완성하였다.
경복궁의 유래 • 1963년 1월 18일 사적 제122호로 지정되었다. • 1405년(태종 5) 완공되었으며, 면적 43만 4877㎡이다. 태종이 즉위한 후 1404년(태종 4) 한성의 향교동에 이궁을 짓기 시작하여 이듬해 완공하고 창덕궁이라 명명하였다. 그 후 계속 인정전선정전,·소덕전 ,· 빈경당여일전·정월전 ,· 옥화당등 많은 전당을 건립하였는데, 1412년 돈화문을 건립하여 궁궐의 면모를 갖추었다. • 이 궁전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는데, 1607년(선조 40)에 그 복구가 시작되어 1610년(광해군 2)에 중건이 거의 끝났으나, 1623년 3월에 인정전을 제외한 대부분의 전각이 실화로 불탔으므로 1647년(인조 25)에야 그 복구가 완료되었다. 그 후에도 크고 작은 화재가 여러 차례 있었는데, 특히 1917년 대조전을 중심으로 내전 일곽이 소실되어 그 복구를 위하여 경복궁 내의 교태전을 비롯하여 강녕전 동·서 행각 등의 많은 건물이 해체 전용되었다. • 창덕궁은 많은 재앙을 입으면서도 여러 건물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왔는데, 1912년부터는 후원인 금원과 아울러 인정전을 관람할 수 있게 하였고, 8·15광복 후에도 창덕궁과 금원을 공개하고 있다. 창덕궁은 금원을 비롯하여 다른 부속건물이 비교적 원형으로 남아 있어 가장 중요한 고궁의 하나이다.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경복궁의 역사적 내용 • 태종이 즉위한후1405년 태종 5년 완공되었으며 창덕궁이라 명명하였다. • 그 후 계속 많은 전당을 건립하였는데, 1412년 돈화문을 건립하여 궁궐의 면모를 갖추었다. • 이 궁전도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는데, 1607년 선조 40년에 그 복구가 시작되어 1610년광해군2년에 • 중건이 거의 끝났으나, 1623년 3월에 인정전을 제외한 대부분의 전각이 실화로 불탔으므로 1647년 • 인조 25년에야 그 복구가 완료되었다.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창덕궁의 구조 • (1)돈화문 • 돈화문은 창덕궁의 정문으로 1412년에 차음 지어졌다 • 지금의 돈화문은1609년에 다시 지은 것으로 현재남아있는 • 궁궐정문으로 가장 오래되었다. • (2)금천교 • 금천교는1411년에 축조된 돌다리로 궁궐의 초입부에 놓인 돌다리로 • 풍수지리상 길한 명당수를흐르게한다. • 다리 아래에 궁궐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해태상과 거북상이 있다. • (3)인정전 • 인정전은 창덕궁의 정전으로 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외국 • 사신의 접견등 국가의 중요행사가 행해진 궁궐에 대표적인 공간이다. • (4)대조전 • 대조전은 대청마루를 가운데 두고 왕비의 침전인 서온돌과 • 임금의 침전인 동온돌로나우어지면 용마루가 없는 • 무랑각지봉을 하고 있다.
창덕궁의 구조 • (5)희저당 • 나중에 어전회의실로 사용되었으나 원래는 임금의 침실이 딸린 편전이다 • 내부 응접실에는 서양식 가구가 놓여져있다. • (6)낙선재 • 낙선제는1847년 후궁 김씨의 처소로 지어져 마지막 황후인 윤황후가 • 1963년부터 1989년 까지 거처하던 곳이다. • (7)부용정 • 부용정은+ 자형을 기본으로 하되 남쪽으로 양쪽에 한칸씩 보태 • 다각을이루고있는 독특한 형태의 정자이다 • (8)기오혼(의두합) • 기오헌9의두합)은 효명세자가 독서를 즐기던 건물로 단청을 칠 • 하지 않은 소박한 건물이다. • (9)연경당 • 순조28년 왕세자였던 효명세자가사대부집을 모방하여 궁궐안에 • 지은 120여칸 민가형식의 집이다 • (10)존덕정 • 존덕정은겹지붕이 특이한 육각정자 형태로 옛날 다리 남쪽에 • 일영대를 설치하여 시각을 측정했다고 한다
출처 • www.naver.com